神経膠腫(しんけいこうしゅ)

신경교종

更新日:2006年10月01日 掲載日:1997年08月23日

갱신일 : 2006년 10월 1일

1.神経膠腫とは

신경교종이란?

神経膠腫(グリオーマ)とは、脳に発生する悪性腫瘍で、原発性脳腫瘍の約30%を占めます。腫瘍を構成する細胞の形態から、星細胞腫(せいさいぼうしゅ:最も悪性である膠芽腫を含めると原発性脳腫瘍の22%程度を占めます)、乏突起膠腫(ぼうとっきこうしゅ:原発性脳腫瘍の約1.3%)、上衣腫(じょういしゅ:約1.1%)、脈絡乳頭腫(みゃくらくにゅうとうしゅ:約0.4%)、髄芽腫(ずいがしゅ:約1.2%)などに分類されます。一般に、この腫瘍は周囲の脳にしみ込むように広がっていき(浸潤:しんじゅん)、正常脳との境界が不鮮明で、手術で全部摘出することは困難です。そのため、通常は再発を予防する目的で手術後の放射線療法や化学療法などが必要となります。

신경교종 (글리오마 ;glioma)이란, 뇌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원발성 뇌종양의 약 30%를 점하고 있다. 종양을 구성하는 세포의 형태로부터 성상세포종 (가장 악성인 교아종을 포함하면 원발성 뇌종양의 22% 정도를 점한다)과 핍돌기교종 (원발성 뇌종양의 1.3%), 상의종 (약 1.1%), 맥락 유두종 (약 0.4%), 수아종 (약 1.2%) 등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이 종양은 주위의 뇌에 스며들 듯이 퍼져가고 (침윤), 정상 뇌와의 경계가 불분명하여 수술로 전부 적출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통상적으로 재발을 예방하는 목적으로 수술 후 방사선요법이나 화학요법 등이 필요하게 된다.

国内における脳腫瘍(転移性脳腫瘍を除く)の発生頻度は、人口10万人に対し12人程度とされ、欧米とほぼ同じであるといわれています。神経膠腫はそのうちのおおよそ30%を占め、最も多い腫瘍です。神経膠腫の中で最も多いのは星細胞腫で、その悪性度によって大きく4段階(グレード1〜4)に分けられます。最も悪性度の低いグレード1は、小児の小脳に発生する星細胞腫で、この腫瘍だけはあまり周囲の脳に浸潤しないので、手術のみで治癒することが期待できます。グレード2以上は手術だけでは再発することが多く、手術後に放射線療法や抗がん剤による化学療法が行われます。特にグレード4は、脳腫瘍の中でも最も悪性度の高い腫瘍のひとつで、膠芽腫(こうがしゅ)と呼ばれています。膠芽腫は、現在なお治療が困難な疾患であり、手術だけでは大半が数ヶ月以内に再発するため、術後の放射線療法や化学療法は必須です。

일본 국내의 뇌종양 (전이성 뇌종양을 제외)의 발생 빈도는, 인구 10만 명 당 12명 정도로, 구미와 거의 같다고 한다. 신경교종은 그 중 대강 30%를 점하a, 가장 많은 종양이다. 신경교종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은 성상세포종으로, 그 악성도에 따라 크게 4단계 (grade 1-4)로 나누어진다. 가장 악성도가 낮은 grade1은, 소아의 소뇌에 발생하는 성성 세포종으로, 이 종양만으로는 r의 주위의 뇌에 침윤하지 않으므로, 수술만으로 치유를 기대할 수 있다. grade2 이상은 수술만으로는 재발하는 수가 많고, 수술 후에 방사선요법이나 항암제에 의한 화학요법이 행해진다. 특히 그레이드4는, 뇌종양 중에서도 가장 악성도가 높은 종양의 하나로, 교아종이라 부른다. 교아종은 지금도 여전히 치료가 곤란한 질환이며, 수술만으로는 대부분이 수개월 이내에 재발하기 때문에 수술 후 방사선요법이나 화학요법은 필수이다.

2.症状

증상

1)頭蓋内圧亢進症状(ずがいないあつこうしんしょうじょう)

두개내압 항진증상

脳腫瘍の症状として頭痛・吐き気・嘔吐がよくあげられますが、これは頭蓋骨の内部の圧が高くなることによっておこる症状(頭蓋内圧亢進症状)です。脳は頭蓋骨という硬い入れ物に囲まれているため、脳腫瘍によってこの入れ物の中の容積が増え、内圧が上昇した結果、これらの症状がおこります。特に悪性腫瘍においては、大きくなる速度が速く、しかも腫瘍の周囲に広範な脳のむくみを伴うため、急激に圧が上昇します。最も多い症状は頭痛で、腫瘍の部位に一致して痛くなることも少なくありません。腫瘍のできる部位によっては、腫瘍が小さくても脳の中にある特殊な水(脳脊髄液)の流れが障害されて、脳室といわれる所に水がたまってしまい、水頭症を引きおこします。この場合も、容積が一定の頭蓋骨の中に水がたまってくるので頭蓋内圧が高くなります。頭蓋内の圧が極度に高くなると、大脳と小脳の間にあるテントという膜の隙間や、脳と脊髄を連絡する大後頭孔に向かって脳の一部が陥入する脳ヘルニアがおこり、突然意識がなくなったり、呼吸が停止するなどの重篤な状態を引きおこします。

뇌종양의 증상으로서 두통 , 구역질 , 구토가 자주 거론되지만, 이것이 두개골 내부의 압력이 올라감으로써 생기는 증상 (두개내압 항진증상)이다. 뇌는 두개골이라는 딱딱한 용기에 싸여있기 때문에 뇌종양 때문에 이 용기 내의 용적이 증가하여, 내압이 상승한 결과, 이런 증상이 생긴다. 특히 악성종양에 있어서는 크게 자라는 속도가 빠르고, 더군다나 종양 주위에서 넓게 뇌의 부종을 동반하기 때문에 급격하게 압력이 상승한다. 가장 흔한 증상은 두통으로, 종양의 부위에 일치하여 아픈 것도 적지 않다. 종양이 생긴 부위에 따라서는, 종양이 작아도 뇌 속에 있는 특수한 물 (뇌척수액)의 흐름이 방해를 받아, 뇌실이라는 곳에 물이 차고 말아, 수두증 (뇌수종)을 초래하고 만다. 이 경우에도 용적이 일정한 두개골 속에 물이 차오기 때문에 두개골의 내압이 높아진다. 두개골 내의 압력이 극도로 높아지면, 대뇌와 소뇌 사이에 있는 텐트라는 막의 간격이나 뇌와 척수를 연락하는 대후두공을 향하여 뇌의 일부가 빠져 들어가는 뇌 헤르니아가 일어나, 갑자기 의식이 없어지거나 호흡이 정지하는 등의 중태에 빠진다.

2)局所症状

국소증상

脳腫瘍のもうひとつの症状は、腫瘍ができている部分の脳の働きが障害されることによっておこる症状です。脳は部位によって働きがはっきり分れているため、腫瘍のできた部位によって出現する症状が異なります。例えば、前頭葉と頭頂葉を分ける中心溝という溝のすぐ前は運動野と呼ばれ、運動神経細胞が中央から側方に向かって足、手、顔の順に並んでいます。この領域の障害により強い運動麻痺が出現します。中心溝のすぐ後ろが感覚野であり、感覚神経が同様に足、手、顔の順に並んでいます。

뇌종양의 또 한 가지의 증상은 종양이 생긴 부분의 뇌의 작용이 장애를 당하여 생기는 증상이다. 뇌는 부위에 따라 작용이 확실하게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종양이 생긴 부위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이 다르다. 예를 들면, 전두엽과 두정엽을 나누는 중심구라는 홈 (도랑)의 바로 앞은 운동영역이라 부르고, 운동신경세포가 중앙에서 옆으로 향하여 발과 손, 얼굴의 순으로 늘어서 있다. 이 영역의 장애 때문에 심한 운동마비가 나타난다. 중심구의 바로 뒤가 감각영역이고, 감각신경이 마찬가지로 발과 손, 얼굴의 순으로 늘어서 있다.

また、優位半球(多くは左大脳半球)の前頭葉の側方および側頭葉の後上方には言語中枢があり、それぞれ障害を受けると、相手の話は理解できるが自分ではしゃべれない運動性失語と、相手の話も理解できなくなる感覚性失語をきたします。後頭葉は視神経の中枢であり、一側の後頭葉の障害は、その反対側の半盲(左右ともに右半分あるいは左半分の視野が欠ける状態)をおこします。その他、腫瘍の発生部位により、左右を間違える、計算ができなくなる、読み書きができなくなる、記憶が悪くなるなどさまざまな症状が出現するため、その症状から逆に腫瘍の部位を推察することができます。

또한, 우위반구 (대부분은 좌측 대뇌반구)의 전두엽 측방 (옆) 및 측두엽의 후상방 (뒤의 위쪽)에는 언어 중추가 있고, 각각 장애를 받으면 상대의 이야기는 이해가 되지만 자신은 말할 수 없는 운동성 실어와 상대의 이야기도 이해할 수 없게 되는 감각성 실어를 초래한다. 후두엽은 시신경의 중추이고, 한쪽의 후두엽 장애는, 그 반대 측이 반소경 (좌우 모두 우반분 혹은 좌반분의 시야가 이지러지는 상태)이 된다. 그 외에 종양의 발생부위에 따라 좌우를 분간 못하고, 계산이 되지 않게 되고, 쓰고 읽기가 불가능해지고, 기억이 나빠지는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그 증상으로부터 역순으로 종양의 부위를 추찰할 수 있다.

小脳は運動のバランスをとる部分であるため、小脳腫瘍ではまっすぐに歩けないなどの歩行障害や手足のふるえが出現します。また、脳脊髄液の通路に近いため、その通過障害により水頭症も出現します。脳幹は脳のすべての神経が集まり脊髄に移行する部分であるため、小さな病変でも四肢が麻痺します。また、大脳の病変では反対側の片麻痺などをおこしますが、脳幹部では顔面や目の動きの麻痺と手足の麻痺が反対側になります。

소뇌는 운동의 균형을 잡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소뇌 종양이 생기면 똑바로 걸을 수 없는 등의 보행 장애나 손발의 떨림이 나타난다. 또한 뇌척수 액의 통로에 가깝기 때문에, 액의 통과 장애에 의한 수두증 (뇌수종)도 나타난다. 뇌간은 뇌의 모든 신경이 모여 척추로 옮겨가는 부분이기 때문에, 작은 병변이라도 사지가 마비된다. 또한 대뇌의 병변에서는 반대쪽에 반신불수 등이 생기지만, 뇌간 부에서는 안면이나 눈의 움직임의 마비와 수족의 마비가 반대쪽에 생긴다.

3.診断

진단

CT、MRIによってほとんどの脳腫瘍の診断は可能です。専門医が診れば、腫瘍の部位だけでなく、多くはその腫瘍の種類まで診断可能になります。CTはX線を用い、MRIは磁気を利用して断層写真をつくるものですが、情報量はMRIのほうが多く、人体に対する影響も少ないとされています。しかし、強力な磁気を用いるため、ペースメーカーを使用している場合や、過去の手術で体内に金属を埋め込んである場合などは検査ができないこともあります。

CT와 MRI로 대부분의 뇌종양 진단이 가능하다. 전문의가 보면, 종양의 부위뿐 아니라, 많게는 그 종양의 종류까지 진단이 가능하게 된다. CT는 X선을 사용하고, MRI는 자기를 이용하여 단층사진을 만드는 것이지만, 정보량은 MRI편이 많고, 인체에 대한 영향도 적다고들 한다. 그러나 강력한 자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페이스 메이커 (자동식 심실 수축기)를 사용 중인 경우나 과거의 수술로 체내에 금속을 심어놓은 경우 등은 검사가 불가할 수도 있다.

手術を行う際には、腫瘍と脳の血管との関係をみたり、腫瘍にどの程度血管が入っているかなどを調べる目的で脳血管撮影が行われます。足のつけ根の動脈から細い管を挿入し、頸動脈や椎骨動脈まで進めて造影剤を注入してレントゲン撮影を行います。より簡便な方法として、頸動脈に直接針を刺して造影剤を注入することもあります。また、最近ではMRIやCTを用いて脳血管を映し出す方法もとられています。

수술을 할 때에는, 종양과 뇌의 혈관과의 관계를 보거나, 종양에 어느 정ㄷ의 혈관이 들어 있는지 등을 조사할 목적으로 뇌혈관 촬영이 행해진다. 발목의 동맥에 가는 관을 삽입하여 경동맥이나 추골동맥까지 진입시켜 조영제를 주입하여 X선 촬영을 한다.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경동맥에 직접 바늘을 찔러 조영제를 주입하는 수도 있다. 또한 최근에는 MRI나 CT를 사용하여 뇌혈관을 영상으로 만드는 방법도 있다.

4.各種神経膠腫特徴

각종 신경교종의 특징

生存率は、通常、がんの進行度や治療内容別に算出しますが、患者さんの年齢や合併症(糖尿病などがん以外の病気)の有無などの影響も受けます。用いるデータによってこうした他の要素の分布(頻度)が異なるため、生存率の値が異なる可能性があります。

생존율은 보통, 암의 진행도나 치료 내용별로 산출하지만, 환자의 연령이나 합병증 (당뇨병 등 암 외의 질병)의 유무 등의 영향도 받는다. 사용하는 데이터에 따라 일한 다른 요소의 분포 (빈도)가 다르기 때문에, 생존율의 값이 다를 가능성이 있다.

ここにお示しする生存率は、これまでの国立がんセンターのホームページに掲載されていたものです。生存率の値そのものでなく、ある一定の幅(データによって異なりますが±5%とか10%等)をもたせて、大まかな目安としてお考え下さい。

여기에 보인 생존율은 지금까지의 국립암센터 홈페이지에 게재된 것이다. 생존율의 값 그 자체가 아니라, 어느 일정의 폭 (데이터에 따라서 다르지만 ±5%이든지 10% 등)을 두고, 대강의 기준으로 생각하기 바란다.

1)星細胞腫

성상 세포종 (별 모양 세포종)

一般に脳腫瘍の症状は、徐々に増強する頭痛と片麻痺などの神経症状を特徴とします。悪性度の高い星細胞腫では、症状の発現から重篤な意識障害をきたすまでの期間が短く、数週間〜数ヶ月ですが、悪性度の低いものでは数年におよぶこともあります。また、突然の痙攣(けいれん)発作で発症する場合もあります。一般に悪性度の低い星細胞腫は、CTでは黒くはれた画像として映ります。造影剤を静脈注射してもほとんど変化が認められないため、脳梗塞と区別のつきにくいものもありますが、多くは症状の出現のしかたで脳血管障害と区別されます。悪性度が高い星細胞腫は、造影剤により辺縁がリング状に白く造影され、内部は壊死(えし)をおこしているため黒く抜けたままです。また、周辺には広範な脳浮腫が認められます。MRIにより、腫瘍の広がりや周囲の正常脳との関係はよりいっそう明瞭になります。治療法については後述しますが、正常な脳との境界が不明瞭なため、手術のみでは腫瘍全部を摘出できないために、術後に放射線治療や化学療法が行われます。予後はグレードによって異なります。比較的おとなしいタイプのグレード2の星細胞腫であれば5年生存率は60〜70%ですが、最も悪性のグレード4では10%以下です。

일반적으로 뇌종양의 증상은 서서히 증강하는 두통과 반신불수 등의 신경증상이 특징이다. 악성도가 높은 성상 세포종은 증상의 발현부터 중증 의식 장애를 초래할 때까지의 기간이 짧아, 수 주간 ⁓수개월이지만, 악성도가 낮은 종양은 소년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또한 갑작스런 경련 발작으로 증상이 발발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악성도가 낮은 성성 세포종은, CT에서는 검게 변한 화상으로 비친다. 조영제를 정맥주사 해도 거의 변화를 인지할 수 없기 때문에 뇌경색과 구별하기 어려운 점이 있지만, 대부분은 증상이 나타나는 방식에서 뇌혈관 장애와 구별된다. 악성도가 높은 성상 세포종은, 조영제에 의해 가장자리가 원형으로 희게 조영되어, 내부는 괴사를 일으켰기 때문에 검게 빠진 채이다. 또한 주변에는 넓게 퍼진 뇌종양이 인지되고 있다. MRI에 의해 종양의 확산이나 주위의 정상적인 뇌와의 관계가 보다 한층 더 명료해진다. 치료법에 관해서는 후술하겠지만, 정상적인 뇌와의 경계가 명료하지 않기 때문에, 수술만으로는 종양 전부를 적출할 수 없기 때문에 수술 후에 방사선치료나 화학요법이 행해진다. 예후는 그레이드에 따라 다르다. 비교적 얌전한 형태의 그레이드2의 성상 세포종이라면 5년 생존율은 60-70%이지만, 가장 악성인 그레이드4에서는 10% 이하이다.

2)乏突起膠腫

핍돌기교종

星細胞腫に比べ、経過が長いことが多く、数年来の痙攣発作を主症状とすることも珍しくありません。前頭葉に多くみられ、石灰化を伴うことが多く、ときに硬膜への浸潤や腫瘍内出血もみられます。まれには再発を繰り返し、頭蓋外への転移も報告されています。予後は星細胞腫よりもよく、5年生存率は70〜80%で、悪性の乏突起膠腫でも比較的よく化学療法に反応します。

성상 세포종에 비해 경과가 긴 것이 많고, 수년래의 경련발작을 주 증상으로 하는 것도 흔하지 않다. 전두엽에서 많이 나타나고, 석회화를 수반하는 수가 많아, 때로는 경막으로 침윤이나 종양내출혈도 보인다. 드물게는 반복적으로 재발되고, 두개 밖으로 전이도 보고되고 있다. 5년 생존율은 70-80%로 악성의 핍돌기교종에서도 화학요법에 비교적 잘 반응한다.

3)上衣腫

상의종

大脳の深部には脳室と呼ばれる脳脊髄液を貯留する部屋があり、その壁を形成しているのが上衣細胞と呼ばれる細胞です。その上衣細胞より発生するのが上衣腫であり、普通は脳室壁に接する形で存在します。悪性度はあまり高くありませんが、大脳深部に発生することが多いため、手術で全部摘出することが難しく、術後に放射線療法や化学療法が追加されます。上衣腫の中には治療後すぐに再発し、急速に病状が進行する場合もあります。5年生存率は60〜70%程度です。

대뇌의 깊은 곳에는 뇌실이라는 뇌척수 액을 담아두는 방이 있고, 그 벽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상의세포라 부르는 세포이다. 그 상의세포에서 발병하는 것이 상의세포종이며, 보통 뇌실 벽에 접하는 형태로 존재한다. 악성도가 그다지 높지는 않지만, 대뇌 깊은 곳에 발생하는 수가 많기 때문에, 수술로 전부 적출하기 어렵고, 수술 후에 방사선요법이나 화학요법이 추가된다. 5년 생존율은 60-70% 정도이다.

4)脳幹グリオーマ

뇌간 글리오마 (뇌 줄기교종)

脳幹部、特に橋と呼ばれる大脳と脊髄の中間部分に発生する星細胞腫は、特別に脳幹グリオーマとして扱われ、小児に好発します。眼の動きをつかさどる動眼神経や顔の筋肉を動かす顔面神経などの脳神経の障害側と手足の麻痺が反対側になるのが特徴です。また、両手両足の四肢が麻痺することもあります。手術が困難な部位であるため、手術が行われたとしても組織を確認するだけのことが多く、放射線照射主体の治療が行われていますが、予後はよくありません。

뇌 줄기부, 특히 다리라고 부르는 대뇌와 척추의 중간 부분에 발생하는 성상 세포종은 특별히 뇌간 글리오마로 취급되고, 소아에게 발생한다. 눈의 움직임을 관장하는 동안신경이나 얼굴의 근육을 움직이는 안면신경 등의 뇌신경 장애측과 손발의 마비가 반대측에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양손과 양발 즉 사지가 마비되는 수도 있다. 수술이 곤란한 부위이기 때문에, 수술을 했다 해도 단지 조직을 확인하기 위한 수술인 경우가 많고, 방사선조사가 주 치료로서 행해지지만, 예후는 좋지 않다.

5)髄芽腫

수아종

小脳の中央部(虫部)より発生する小児の悪性腫瘍です。脳脊髄液の通過障害により、水頭症をきたしやすい疾患です。頭痛、嘔気、嘔吐などの頭蓋内圧亢進症状があらわれる他、歩行失調をきたしたり、姿勢保持が困難になったりします。元来、極めて悪性度が高く予後不良の腫瘍ですが、放射線の治療効果が高く、手術で摘出後、全脳、全脊髄に放射線照射を行うことにより、長期生存が期待できるようになってきました。また、抗がん剤が有効で、放射線と同時に用いられる他、放射線照射前に化学療法を行って照射量を減少させる試みがなされています。

소뇌의 중앙부 (충부)에서 발병하는 소아의 악성종양이다. 뇌척수 액의 통과 장애로 인하여 수두증 (뇌수종)을 초래하기 쉬운 질병이다. 두통과 구역질, 구토 등의 두개내압 항진증이 나타나는 외에 보행실조를 초래하거나, 자세의 유지가 곤란해지거나 한다. 원래 극히 악성도가 높고 예후마저 불량한 종양이지만, 방사선의 치료효과가 높고 수술로 적출 후 전뇌, 전 척추에 방사선 조사를 함으로써 장기생존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항암제가 유효하여, 방사선과 동시에 사용되는 외에, 방사선조사 전에 화학요법을 하여 조사량을 감소시키는 시험이 이루어지고 있다.

. 治療

치료

悪性神経膠腫に対しては手術、放射線療法、化学療法などを組み合わせた治療が行われます。この腫瘍は、正常脳に浸潤する形で発育するため、手術で全部摘出することは不可能ですが、最も悪性度の高い膠芽腫でも可能な限り広範に切除できた場合ほど生存期間が延びています。しかし、腫瘍を全部摘出すると正常な脳の機能を損なう可能性もあります。

악성 신경교종에 대해서는 수술과 방사선요법, 화학요법 등을 배합한 치료를 한다. 이 종양은 정상 뇌에 침윤하는 형태로 발육하기 때문에, 수술로 전부 적출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가장 악성도가 높은 교아종이라도 가능한 한 넓게 절제 가능한 경우일수록 생존기간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종양을 전부 적출하면 정상적인 뇌의 기능을 손상시킬 가능성도 있다.

放射線療法は、原則としてすべての悪性神経膠腫に対して行われます。かつては全脳に照射されていましたが、最近では放射線治療後の障害を少なくするため、腫瘍になるべく限局して照射するようになってきました。

방사선요법은 원칙적으로 모든 악성 신경교종에 대해 행해진다. 예전에는 전뇌에 조사하였지만, 최근에는 방사선 치료 후의 장애를 줄이기 위해, 가급적 종양에만 국한시켜 조사하도록 되었다.

抗がん剤は、単独では脳腫瘍に対する治療効果は大きくありませんが、放射線との併用により、その治療効果が高まります。わが国においては、ニトロソウレア系の薬剤であるACNU(ニドラン)が多く用いられます。一般には放射線療法開始時と6週目の2回静脈内注射されますが、さらに他の抗がん剤やインターフェロンなども組み合わせて投与されることがあります。その後も約2ヶ月ごとに繰り返し、維持療法としてこれらの薬剤が投与されます。

항암제는, 단독으로는 뇌종양에 대한 치료효과는 크지 않지만, 방사선과의 병용에 의해 그 치료효과가 높아진다. 일본에서는 니트로소우레아 계열의 약제인 ACNU (니드란)가 많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는 방사선요법 개시와 6주째의 2회 정맥 내에 주사하지만, 나아가 다른 항암제나 인터페론 등도 배합으로 투여되기도 한다. 그 후에도 약 2개월마다 반복하여 유지요법으로서 이런 약제들이 투여된다.

また、最近では,経口の抗癌剤であるテモダールが新規の治療薬として認可され、悪性神経膠腫の治療に使われ始めています。

또한 최근에는 경구 항암제인 테모달 (temodar)이 신규 치료제로 인가되어, 악성 신경교종의 치료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6.再発時の治療

재발 시의 치료

悪性神経膠腫の多くは、上記のような治療を行っていても初期治療から数ヶ月〜数年で再発し、その際はさらに治療が困難になっているのが現状です。再発しても再手術が可能な場合もありますが、運動野、言語野などの深部に進展した場合は、再手術が難しくなります。可能な限り手術で腫瘍を摘出し、できれば放射線の追加照射を行います。しかし、多くの場合、すでに大線量の照射が行われており、追加照射による正常脳への影響を考えると照射できる放射線の量は限られるので、初回の照射に比べ治療効果も低くなります。また、抗がん剤もACNUを用いていながらの再発の場合は、それ以外の薬剤の選択が必要となり、やはり治療効果は低くなります。最近では、再発の病巣が小さければ、その部分だけに絞って放射線の照射を行うことができる定位的放射線治療が行われています(詳しくは「定位放射線照射」の項を参照して下さい)。

악성 신경교종의 대부분은, 위와 같이 치료를 해도 초기 치료부터 수개월부터 수년 만에 재발하고, 그 때에는 한층 더 치료가 곤란해지는 것이 현상이다. 재발해도 재수술이 가능한 경우도 있지만, 운동영역과 언어영역 등의 깊은 곳으로 진전되는 경우는, 재수술이 어렵게 된다. 가능한 한 수술로 종양을 적출하고, 가능하면 방사선의 추가조사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이미 선량이 대량으로 조사되었고, 추가조사에 의한 정상적인 뇌에 영향을 고려하면 방사선의 양이 제한되므로 첫 회의 조사에 비해 치료적 효과도 낮아진다. 또한 항암제도 ACNU를 사용 중의 잽ㄹ의 경우는, 그 외의 약제의 선택이 필요하고, 치료효과 역시 낮아진다. 최근에는 재발된 병소가 작으면 그 부분만 좁혀서 방사선 조사를 할 수 있는 정위 방사선 치료가 행해지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정위방사선조사」의 항목을 참조하기 바란다).

7.治療副作用外科療法による副作用対策

치료의 부작용 (외과요법에 의한 부작용 대책)

脳腫瘍に対する開頭手術は、他の臓器の手術と比較して合併症が多いということはありません。最近の画像診断の進歩により、術前に腫瘍のある部位や広がりが詳細に描出されるようになりました。手術中も顕微鏡の使用や各種のモニタリングにより、摘出範囲がかなり正確に把握できるために、予定通りの手術が行われた際には、術前に比べ手術後の神経症状が悪化することは少ないといえます。しかし、ひとたび術後出血などをおこすとその症状は重篤であり、強い麻痺を残したり、意識障害をきたしたりすることもあるため、特に手術終了時の止血は慎重に行われます。術後血腫は、摘出した腫瘍腔内、脳内、硬膜下、硬膜外のいずれの部位にもおこりえます。術後に強度の頭痛が続いたり、意識障害や運動麻痺などが出現した場合には、術後血腫を疑い早急にCTを行い、必要に応じて再手術を行います。血腫のない場合でも術後数日間は脳浮腫が強まり、神経症状が悪化することがあります。一般には、ステロイド剤やグリセロールなどの脳圧降下剤の使用により改善しますが、ときには減圧のための開頭が必要になることもあります。術後に運動麻痺がある場合は、関節の拘縮(こうしゅく)の予防や運動機能回復のため、早期からのリハビリが必要です。運動麻痺に対するリハビリだけでなく、言語障害に対するリハビリも行われています。

뇌종양에 대한 개두수술은, 다른 장기의 수술과 비교하여 합병증이 많다는 것이 아니다. 최근의 화상진단의 진보에 의해 수술 전에 종양이 있는 부위나 넓이가 상세하게 묘출이 가능하게 되었다. 수술 중에도 현미경의 사용이나 각종 모니터링에 의해, 적출범위가 상당히 정확하게 파악되기 때문에 예정대로 수술이 행해진 때에는 수술 전에 비해 수술 후의 신경증상이 악화되는 일이 적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한 번 수술 후 출혈 등이 생기면 그 증상이 중증으로, 심한 마비를 남기거나, 의식장애를 초래하거나 할 수도 있기 때문에 특히 수술 종료 시의 지혈은 신중하게 한다. 수술 후 혈종은 적출한 종양의 빈 공간 내, 뇌 속, 경막 아래, 경막 바깥의 어느 부위에도 일어날 수 있다. 수술 후에 RDEH 높은 두통이 계속되거나 의식장애나 운동마비 등이 나타난 경우에는, 수술 후 혈종이 의심스러우면 바로 CT를 찍고, 필요에 따라 재수술을 한다. 혈종이 없는 경우에도 수술 후 수일간은 뇌부종이 심하고, 신경증상이 악화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스테로이드제나 글리세롤 등의 뇌압 강하제의 사용으로 개선할 수 있지만, 때로는 감압을 위해 개두 (두개골을 여는 수술)가 필요할 수도 있다. 수술 후에 운동마비가 있는 경우는, 관절 구부리기의 예방이나 운동기능 회복을 위해 일찍부터 재활이 필요하다. 운동마비에 대한 재활뿐 아니라 언어장애에 대한 재활도 필요하다.

8.合併症

합병증

手術に伴う合併症以外では、放射線療法や化学療法に伴う合併症が問題になります。放射線の照射に伴う脳浮腫により、照射期間中の頭痛や嘔気、倦怠感などが出現することがあります。抗がん剤を併用しない場合は、白血球数や血小板数が減少することは少ないですが、髄芽腫に対する治療などで全脊髄に照射を行う際は、骨髄の血液を造る機能が強度に抑制されることがあります(骨髄抑制)。白血球数が減少して重篤な感染症をおこしたり、血を止める時に重要な働きをする血小板数が少なくなって出血をしやすくなったりするので注意を要します。抗がん剤だけの治療でも骨髄抑制をきたします。薬剤の種類により、1週間〜数週間にわたり血液状態が悪化します。特に脳腫瘍に対して用いられることの多いACNUでは、治療後3〜4週後に骨髄抑制が最も強くみられます。次回の抗がん剤投与を延期したり、投与量を減らすなどの工夫が必要です。

수술에 따르는 합병증 이외에도 방사선요법이나 화학요법에 뒤따르는 합병증이 문제가 된다. 방사선 조사에 동반되는 뇌부종 때문에 조사기간 중의 두통이나 구역질, 권태감 등이 나타나는 수가 있다. 항암제를 병용하지 않는 경우는, 백혈구 수나 혈소판 수가 감소하는 일이 적지 않지만, 수아종에 대한 치료 등으로 전 척추에 조사할 때는 골수의 혈액을 만드는 기능이 극도로 억제되는 수가 있다 (골수억제). 백혈구 수가 감소하여 중증의 감염증을 일으키거나 피를 멈출 때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혈소판 수가 적어져서 출혈을 일으키기 쉬워지므로 주의를 요한다. 항암제만의 치료에서도 골수억재를 초래한다. 약제의 종류에 따라, 1주일에서 수 주일에 걸쳐 혈액상태가 악화된다. 특히 뇌종양에 대해 사용되는 수가 많은 ACNU에서는, 치료 후 3-4주 후에 골수억제가 가장 심해진다. 다음 번 항암제 투여를 연기하거나 투여량을 줄이는 등의 궁리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암스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