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신 : 2016-12-29

Cell Phones and Cancer Risk

휴대전화와 암 위험

Key Points

Cell phones emit radiofrequency energy, a form of non-ioniz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which can be absorbed by tissues closest to where the phone is held.

The amount of radiofrequency energy a cell phone user is exposed to depends on the technology of the phone, the distance between the phone’s antenna and the user, the extent and type of use, and the user’s distance from cell phone towers.

Studies thus far have not shown a consistent link between cell phone use and cancers of the brain, nerves, or other tissues of the head or neck. More research is needed because cell phone technology and how people use cell phones have been changing rapidly.

요 점

▴ 휴대폰은 고주파에너지를 방출하는데 이것은 비이온화 전자기 방사선의 한 형태로 휴대폰이 자리 잡은 가장 가까운 조직에 흡수될 수 있다.

▴ 휴대폰 사용자가 노출되는 고주파에너지의 양은 휴대폰의 기술, 휴대폰 안테나와 사용자간의 거리, 사용의 정도와 형태 그리고 휴대폰 타워로부터 사용자의 거리 등에 달려있다.

▴ 현재까지의 연구로는, 휴대폰의 사용과 뇌, 신경 혹은 목과 머리의 다른 조직의 암과의 일관성 있는 연계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휴대폰의 기술과 사람들이 휴대폰을 사용하는 방법이 급격하게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1.Why is there concern that cell phones may cause cancer or other health problems?

There are three main reasons why people are concerned that cell phones (also known as “wireless” or “mobile” telephones) might have the potential to cause certain types of cancer or other health problems:

Cell phones emit radiofrequency energy (radio waves), a form of non-ionizing radiation. Tissues nearest to where the phone is held can absorb this energy.

The number of cell phone users has increased rapidly. As of 2010, there were more than 303 million subscribers to cell phone service in the United States, according to the Cellular Telecommunications and Internet Association. This is a nearly threefold increase from the 110 million users in 2000. Globally, the number of cell phone subscriptions is estimated by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to be 5 billion.

Over time, the number of cell phone calls per day, the length of each call, and the amount of time people use cell phones have increased. Cell phone technology has also undergone substantial changes.

1) 무슨 이유로 휴대폰이 암이나 기타 건강상의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는가?

사람들이 우려하는 이유가 주로 세가지가 있는데, 휴대폰은 어떤 종류의 암이나 기타 건강상의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잠재성이 있기 때문이다.

▲ 휴대폰은, 비이온화된 방사선의 한가지 형태인 고주파를 방출한다. 휴대폰이 들려있는 곳에서 가장 가까운 조직은 이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 휴대폰 사용자의 숫자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2010년 기준으로 ‘셀룰라’회사에 의하면, 미국내의 휴대폰 청약자는 3억 3백만명 이상이다. 2000년 1억 1천만명에서 보면 거의 3배나 증가하였다. 전서계적으로 휴대폰 청약자 수는 국제 원거리 통신 연맹의 추산으로는 50억명에 이를 것이라 한다.

▲ 시간이 지나면서, 일일 휴대폰 사용횟수와 각 통화의 길이 및 휴대폰 사용시간 등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휴대폰의 기술도 상당한 변화를 겪고 있다.

2.What is radiofrequency energy and how does it affect the body?

Radiofrequency energy is a form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Electromagnetic radiation can be categorized into two types: ionizing (e.g., x-rays, radon, and cosmic rays) and non-ionizing (e.g., radiofrequency and extremely low-frequency or power frequency).

Exposure to ionizing radiation, such as from radiation therapy, is known to increase the risk of cancer. However, although many studies have examined the potential health effects of non-ionizing radiation from radar, microwave ovens, and other sources, there is currently no consistent evidence that non-ionizing radiation increases cancer risk (1).

The only known biological effect of radiofrequency energy is heating. The ability of microwave ovens to heat food is one example of this effect of radiofrequency energy. Radiofrequency exposure from cell phone use does cause heating; however, it is not sufficient to measurably increase body temperature.

A recent study showed that when people used a cell phone for 50 minutes, brain tissues on the same side of the head as the phone’s antenna metabolized more glucose than did tissue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rain (2). The researchers noted that the results are preliminary, and possible health outcomes from this increase in glucose metabolism are still unknown.

2) 고주파 에너지는 무엇이며 또 그것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고주파 에너지는 전자기파 방사선의 한 종류이다. 전자기파 방사선은 두가지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이온화(즉, X-RAY, 라돈 및 우주광선)와 비이온화(즉 전파 및 초저주파 혹은 상용주파수)

방사선요법에서처럼, 이온화 방사선에 노출되면 암의 위험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레이더나 마이크로웨이브오븐 및 기타 제원으로부터의 비이온화 방사선이 건강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에 대해 많은 연구에서 검증을 했지만, 비이온화 방사선이 암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일관성 있는 증거는 없다.

고주파 에너지의 알려진 영향 중 오직 하나는 가열이다. 음식을 덮히는 전자오븐의 능력이 고주파에너지의 이런 효과의 한가지 예이다. 휴대폰 사용으로 인한 고주파에의 노출은 가열을 유발한다. 그러나 주목할만큼 체온을 증가시키기에는 미흡하다.

최근의 한 연구를 보면, 휴대폰을 50분 사용하였을 때, 휴대폰 안테나가 작동한쪽 머리의 뇌 조직이 반대쪽 머리의 조직에서보다 글루코스(糖) 대사가 많았다. 이 클루코스(당) 대사의 증가로 인한 1차적 및 잠재적 건강에의 영향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고 연구자들은 언급 했다.

3.How is radiofrequency energy exposure measured in epidemiologic studies?

Levels of radiofrequency exposure are indirectly estimated using information from interviews or questionnaires. These measures include the following:

How “regularly” study participants use cell phones (the minimum number of calls per week or month)

The age and the year when study participants first used a cell phone and the age and the year of last use (allows calculation of the duration of use and time since the start of use)

The average number of cell phone calls per day, week, or month (frequency)

The average length of a typical cell phone call

The total hours of lifetime use, calculated from the length of typical call times, the frequency of use, and the duration of use

3) 고주파 에너지에의 노출이 역학조사에서는 어떻게 측정되나?

고주파에의 노출 수치는 인터뷰나 설문지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측정된다. 이러한 측정에는 아래 방법이 포함된다.

▲ 연구 참가자들이 얼마나 “자주 휴대폰을 사용하나?

▲ 연구 참가자가 처음 휴대폰을 사용했을 때의 나이 및 연도와 마지막으로 사용했던 때의 나이 및 연도(처음 사용한 이래, 사용기간과 사용시간의 계산을 가능하게 해줌)

▲ 일, 주 및 월별 평균 통화 횟수(빈도)

▲ 전형적인 휴대폰 통화의 평균 시간(길이)

▲ 전형적인 통화시간의 길이, 사용빈도, 사용기간 등을 통해서 계산 가능한 생애 총 사용시간

4.What has research shown about the possible cancer-causing effects of radiofrequency energy?

Although there have been some concerns that radiofrequency energy from cell phones held closely to the head may affect the brain and other tissues, to date there is no evidence from studies of cells, animals, or humans that radiofrequency energy can cause cancer.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damage to DNA is necessary for cancer to develop. However, radiofrequency energy, unlike ionizing radiation, does not cause DNA damage in cells, and it has not been found to cause cancer in animals or to enhance the cancer-causing effects of known chemical carcinogens in animals (3–5).

Researchers have carried out several types of epidemiologic studie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a relationship between cell phone use and the risk of malignant (cancerous) brain tumors, such as gliomas, as well as benign (noncancerous) tumors, such as acoustic neuromas (tumors in the cells of the nerve responsible for hearing), most meningiomas (tumors in the meninges, membranes that cover and protect the brain and spinal cord), and parotid gland tumors (tumors in the salivary glands) (6).

In one type of study, called a case-control study, cell phone use is compared between people with these types of tumors and people without them. In another type of study, called a cohort study, a large group of people is followed over time and the rate of these tumors in people who did and didn’t use cell phones is compared. Cancer incidence data can also be analyzed over time to see if the rates of cancer changed in large populations during the time that cell phone use increased dramatically.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have generally not provided clear evidence of a relationship between cell phone use and cancer, but there have been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dings in certain subgroups of people.

Findings from specific research studies are summarized below:

The Interphone Study, conducted by a consortium of researchers from 13 countries, is the largest health-related case-control study of use of cell phones and head and neck tumors. Most published analyses from this study have show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brain or central nervous system cancers related to higher amounts of cell phone use. One recent analysi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lbeit modest, increase in the risk of glioma among the small proportion of study participants who spent the most total time on cell phone calls. However, the researchers considered this finding inconclusive because they felt that the amount of use reported by some respondents was unlikely and because the participants who reported lower levels of use appeared to have a slightly reduced risk of brain cancer compared with people who did not use cell phones regularly (7–9). Another recent study from the group found no relationship between brain tumor locations and regions of the brain that were exposed to the highest level of radiofrequency energy from cell phones (10).

A cohort study in Denmark linked billing information from more than 358,000 cell phone subscribers with brain tumor incidence data from the Danish Cancer Registry. The analyses found no association between cell phone use and the incidence of glioma, meningioma, or acoustic neuroma, even among people who had been cell phone subscribers for 13 or more years (11–13).

The prospective Million Women Study in the United Kingdom found that self-reported cell phone use was not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glioma, meningioma, or non-central nervous system tumors. The researchers did find that the use of cell phones for more than 5 years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acoustic neuroma, and that the risk of acoustic neuroma increased with increasing duration of cell phone use (14). However, the incidence of these tumors among men and women in the United Kingdom did not increase during 1998 to 2008, even though cell phone use increased dramatically over that decade (14).

An early case-control study in the United States was unable to demonstrate a relationship between cell phone use and glioma or meningioma (15).

Some case-control studies in Sweden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rends of increasing brain cancer risk for the total amount of cell phone use and the years of use among people who began using cell phones before age 20 (16). However, another large, case-control study in Sweden did not find an increased risk of brain cancer among people between the ages of 20 and 69 (17). In addition, the international CEFALO study, which compared children who were diagnosed with brain cancer between ages 7 and 19 with similar children who were not, found no relationship between their cell phone use and risk for brain cancer (18).

NCI's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SEER) Program, which tracks cancer incidence in the United States over time, found no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brain or other central nervous system cancers between 1987 and 2007, despite the dramatic increase in cell phone use in this country during that time (19, 20). Similarly, incidence data from Denmark, Finland, Norway, and Sweden for the period 1974–2008 revealed no increase in age-adjusted incidence of brain tumors (21, 22). A 2012 study by NCI researchers, which compared observed glioma incidence rates in SEER with projected rates based on risks observed in the Interphone study (8), found that the projected rates were consistent with observed U.S. rates. The researchers also compared the SEER rates with projected rates based on a Swedish study published in 2011 (16). They determined that the projected rates were at least 40 percent higher than, and incompatible with, the actual U.S. rates.

Studies of workers exposed to radiofrequency energy have shown no evidence of increased risk of brain tumors among U.S. Navy electronics technicians, aviation technicians, or fire control technicians, those working in an electromagnetic pulse test program, plastic-ware workers, cellular phone manufacturing workers, or Navy personnel with a high probability of exposure to radar (6).

4) 고주파 에너지의 암 유발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는?

휴대폰을 머리 가까이 대고 사용하는 것으로 인한 고주파 에너지가 뇌 및 기타 조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지만, 현재까지 고주파 에너지가 암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것에 대해 세포와 동물 및 인간 대상의 연구로부터는 어떤 증거도 없다.

암이 발병하려면 DNA의 손상이 필요하다는게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이온화 방사선과는 달리 고주파 에너지는 세포 중의 DNA손상을 유발하지 않고, 동물실험에서 암을 유발하거나, 동물에 있어 알려진 화학적 발암물질의 암 유발효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연구자들은 휴대폰의 사용과 악성뇌종양 위험 간의 있을지도 모르는 연관성을 연구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역학조사를 수행했는데, 악성 뇌종양에는 양성종양뿐 아니라 악성 신경교종과 청각신경종, 대부분의 수막종 및 이하선종양 등이다.

사례 조절 연구(후향연구)라 불리는 한 종류의 연구에서는 이런 종류의 종양이 있는 사람들과 없는 사람들 사이에 휴대폰 사용이 비교된다. 코호트 연구(전향연구)라는 또 다른 연구에서는 대규모의 사람들이 일정한 시간에 걸쳐 관찰되며, 과거에 휴대폰을 사용했던 사람들과 사용하지 않았던 사람들 중에서 암의 발생율을 비교하는 것이다. 휴대폰 사용이 급증했던 시기 중에 많은 사람들 중에 암의 발생률이 변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간을 두고 새로운 암의 발생 데이터도 분석을 해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보니, 휴대폰의 사용과 암과의 상관관계에는 명백한 증거가 나오지 않았다. 그러나 일부 소그룹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특정한 조사 연구에서 발견된 사실을 아래와 같이 요약했다.

▲ 13개국의 연구자 컨소시움에 의해 수행된 Interphone Study는 휴대폰의 사용과 머리 및 목의 종양에 대한 가장 대형의 건강관련 사례조절 연구(후향연구)이다. 이 연구의 가장 많이 게재된 분석에 의하면 뇌나 중추신경계의 암의 증가가 휴대폰 사용의 증가가 통계적으로 아무런 의미를 보여주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다지 비중이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한 연구에서는, 가장 많은 시간을 휴대폰 통화에 보낸 소규모의 연구 참가자들 가운데서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신경교종의 위험의 증가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일부 응답자들에 의해 보고된 사용량이 개연성이 부족해 보이고 또 낮은 사용 수치를 보고한 참가자들이 뇌암 위험이 감소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이 발견이 결론을 내릴 수 없다고 간주한다.

또 다른 최근 연구에 의하면 뇌암의 부위와 휴대폰의 고주파 에너지에 가장 많이 노출된 뇌의 부위 간에 아무런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고 한다.

▲ 덴마크에 행한 집단연구(전향연구)는 덴마크 암 등록소로부터 뇌암의 신발(新發) 데이터로 358,000건 이상의 휴대폰 청약자의 청구서 정보를 연결시켜 보았다. 분석을 해보니, 13년 이상 휴대폰 청약자였던 사람들 중에서 휴대폰의 사용과 신경교종, 수막종 혹은 청각신경종과의 어떤 연관성도 발견할 수 없었다.

▲ 미국과 유럽 그리고 일본에서 초기의 사례조절연구(후향연구)를 해보니, 휴대폰의 사용과 신경교종이나 수막종간의 연관성을 입증할 수 없었다.

▲ 스웨덴에서 행한 일부 사례조절 연구에서는, 20세 이전에 휴대폰 사용을 시작한 사람들 중 휴대폰 사용총량과 사용연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는 뇌암 위험의 증가를 발견했다. 그러나 또 다른 대형 사례조절 연구에서는 20세에서 69세까지의 연령대 사람들 중에 뇌암의 위험 증가를 발견할 수 없었다. 아울러 7세부터 19세 사이에 뇌암 판정을 받은 어린이들과 그렇지 않은 어린이들을 비교한 국제 CEFALO 연구에서도 그들의 휴대폰 사용과 뇌암의 위험간의 어떤 관련성도 찾을 수 없었다.

▲ 오랜기간에 걸쳐 미국내의 암의 신발을 추적해온 NCI의 감시, 역학 및 최종결과(SEER) 프로그램은 1987년부터 2007년 동안 이 나라에서 휴대폰 사용이 급격한 증가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이 기간 동안 뇌 및 기타 중추신경계의 암 발생에서 어떤 증가도 찾을 수 없었다. 유사한 사례로서, 1974년부터 2008년까지 덴마크와 핀란드, 노르웨이 및 스웨덴의 암 신발 데이터를 보아도 연령에 따른 조정치의 뇌암 신발에 어떤 증가도 없었다.

연구자들이, Interphone Study라는 국제적 연구에서 관찰된 위험에 근거한 예상율과 SEER의 신경교종 신발율을 비교한, 2012년의 NCI 연구자들은, 예상율이 미국의 SEER 프로그램에서 관찰된 비율과 일관성이 있음을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또한 SEER의 비율과 2011년에 발표된 한 건의 스웨덴 연구에 의거한 예상율을 비교하였다. 연구자들은 예상율이 미국의 실제율보다 적어도 40퍼센트가 높으며 또 미국의 비율과는 전혀 맞지 않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 고주파 에너지에 노출된 근로자들에 대한 연구에서 미해군 전자기술자들, 혹은 소방전문가들, 전자기장 검사프로그램에 종사하는 사람들, 플라스틱 제품 공장 근로자들, 휴대폰 제조 근로자들 혹은 데이터에 가장 많이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해군관계자들 중에서 뇌암 위험의 증가의 어떤 증거도 발견할 수 없었다.

5.Why are the findings from different studies of cell phone use and cancer risk inconsistent?

A limited number of studies have shown some evidence of statistical association of cell phone use and brain tumor risks, but most studies have found no association. Reasons for these discrepancies include the following:

Recall bias, which may happen when a study collects data about prior habits and exposures using questionnaires administered after disease has been diagnosed in some of the study participants. It is possible that study participants who have brain tumors may remember their cell phone use differently than individuals without brain tumors. Many epidemiologic studies of cell phone use and brain cancer risk lack verifiable data about the total amount of cell phone use over time. In addition, people who develop a brain tumor may have a tendency to recall using their cell phone mostly on the same side of their head where the tumor was found, regardless of whether they actually used their phone on that side of their head a lot or only a little.

Inaccurate reporting, which may happen when people say that something has happened more or less often than it actually did. People may not remember how much they used cell phones in a given time period.

Morbidity and mortality among study participants who have brain cancer. Gliomas are particularly difficult to study, for example, because of their high death rate and the short survival of people who develop these tumors. Patients who survive initial treatment are often impaired, which may affect their responses to questions. Furthermore, for people who have died, next-of-kin are often less familiar with the cell phone use patterns of their deceased family member and may not accurately describe their patterns of use to an interviewer.

Participation bias, which can happen when people who are diagnosed with brain tumors are more likely than healthy people (known as controls) to enroll in a research study. Also, controls who did not or rarely used cell phones were less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Interphone study than controls who used cell phones regularly. For example, the Interphone study reported participation rates of 78 percent for meningioma patients (range 56–92 percent for the individual studies), 64 percent for the glioma patients (range 36–92 percent), and 53 percent for control subjects (range 42–74 percent) (9). One series of Swedish studies reported participation rates of 85 percent in people with brain cancer and 84 percent in control subjects (17).

Changing technology and methods of use. Older studies evaluated radiofrequency energy exposure from analog cell phones. However, most cell phones today use digital technology, which operates at a different frequency and a lower power level than analog phones. Digital cell phones have been in use for more than a decade in the United States, and cellular technology continues to change (6). Texting, for example, has become a popular way of using a cell phone to communicate that does not require bringing the phone close to the head. Furthermore, the use of hands-free technology, such as wired and wireless headsets, is increasing and may decrease radiofrequency energy exposure to the head and brain.

5) 왜 휴대폰 사용과 암 위험에 대한 지역별(국가별) 연구결과가 일관성이 없나?

제한된 수의 연구에서는 휴대폰의 사용과 뇌암간에는 통계적인 연관성의 일부 증거가 보이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어떤 연관성도 찾을 수 없었다. 이러한 괴리의 원인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기억의 편차

일부 연구 참가자들의 경우, 암의 진단을 받은 후에 설문지를 이용한 이전의 습관과 노출에 대해 데이터를 수집할 때 기억의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뇌암에 걸린 연구 참가자들은 걸리지 않은 참가자들과는 휴대폰 사용에 대한 기억이 다를 수 있다. 휴대폰 사용과 뇌암의 역학 연구의 대다수가 오랜 기간에 걸쳐 휴대폰 사용량(시간)에 대한 증명 가능한 데이터가 부족하다. 더욱이, 뇌암에 걸린 사람들은, 그들이 휴대폰을 대부분 뇌암이 생긴 쪽만 이용했는지, 조금만 이용했는지와는 상관없이, 뇌암이 발생한 쪽으로 휴대폰을 대부분 tkdydd했다고 기억하는 경향이 있다.

▲ 부정확한 보도

어떤 일이 실제로 발생한 것보다 다소 자주 발생한다고 사람들이 말할 때, 부정확한 보도가 생길 수 있다. 사람들은 특정한 시기에 자신들이 휴대폰을 얼마나 사용했는지 기억을 할 수 없다.

▲ 뇌암에 걸린 연구 참가자들 가운데 병 걸림과 사망

예를 들면, 신경교종은, 높은 사망률과 이런 암에 걸린 사람들은 생존기간이 짧기 때문에 이 병을 연구하기는 특히 어렵다. 1차 치료를 살아남은 환자들은 자주 (뇌의) 손상을 입어 질문에 대답하는 것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죽은 사람의 경우, 최근친(가장 가까운 친척)은 자신들의 죽은 가족의 휴대폰 사용 패턴을 잘 알 수 없고 또 인터뷰 상대에게 그들의 휴대폰 사용형태를 정확하게 설명하기 어렵다.

▲ 참가의 편차

이 편차는, 뇌암으로 진단받은 사람들이 건강한 사람들(통제그룹으로 알려진)보다 연구조사에 더 많이 등록을 할 때 생길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았거나 적게 사용한 통제(그룹)은 휴대폰을 정기적으로 사용했던 사람들보다 Interphone Study에 보다 덜 참가한다.

예를 들면, Interphone Study에는 수막종 환자의 78%의 참가율을 기록했고 (개별연구에는 56~92%까지의 차이를 보임) 신경교종 환자의 64%가 참가했으며 (36~92%) 그리고 통제그룹은 53%가 참가했다.(42~74%) 일련의 스웨덴의 연구에서는, 뇌암에 걸린 사람들은 85%가 통제집단에서는 84%가 참가하였다.

▲ 사용하는 기술과 방법의 변천

보다 옛날의 연구에서는, 아날로그 휴대폰의 고주파 에너지 노출을 평가했지만, 오늘날의 대부분 휴대폰은, 다른 주파수대를 사용하고 또 아날로그폰보다 적은 용량을 사용하는 디지털폰이다. 디지털 휴대폰은 미국에서 10년 이상 사용되어 오고 있으며, 휴대폰 기술은 계속해서 변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문자 주고받기는 휴대폰을 머리에 가져갈 필요가 없는 인기 있는 휴대폰 통신방식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더욱이 유무선 헤드셋 같은 핸드프리 기술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또 고주파 에너지의 머리 및 뇌에 노출을 감소시키고 있다.

6.What do expert organizations conclude?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a component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has recently classified radiofrequency fields as “possibly carcinogenic to humans,” based on limited evidence from human studies, limited evidence from studies of radiofrequency energy and cancer in rodents, and weak mechanistic evidence (from studies of genotoxicity, effects on immune system function, gene and protein expression, cell signaling,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along with studies of the possible effects of radiofrequency energy on the blood-brain barrier).

The American Cancer Society (ACS) states that the IARC classification means that there could be some risk associated with cancer, but the evidence is not strong enough to be considered causal and needs to be investigated further. Individuals who are concerned about radiofrequency exposure can limit their exposure, including using an ear piece and limiting cell phone use, particularly among children.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NIEHS) states that the weight of the current scientific evidence has not conclusively linked cell phone use with any adverse health problems, but more research is needed.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which is responsible for regulating the safety of machines and devices that emit radiation (including cell phones), notes that studies reporting biological changes associated with radiofrequency energy have failed to be replicated and that the majority of human epidemiologic studies have failed to show a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radiofrequency energy from cell phones and health problems.

The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states that, although some studies have raised concerns about the possible risks of cell phone use, scientific research as a whole does not suppor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cell phone use and health effects.

The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FCC) concludes that there is no scientific evidence that proves that wireless phone use can lead to cancer or to other health problems, including headaches, dizziness, or memory loss.

6) 전문기관들은 무슨 결론을 내렸나?

세계보건기구의 한 부분인 암 연구를 위한 국제기구(IARC)는 인간대상의 연구에서 증거의 부족과 설치류암과 고주파 에너지의 연구로부터의 증거부족 그리고 기계론적 증거의 미약함(혈액, 뇌관문에의 고주파 에너지의 가능성 있는 영향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유전독성, 면역계 기능,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 세포신호, 산화(적) 스트레스 및 세포자살의 연구로부터)에 근거하여 최근 “인간에게 가능성 있는 발암물질”로 분류하였다.

미국 암협회(ACS)는, IARC가 분류한 것은 암과 약간의 관련성이 있을 수 있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증거는 항상적이라고 간주하기에는 충분하지 않고 또 더 조사가 필요하다고 천명하고 있다.

고주파 노출이 걱정스러운 사람들은, 특히 어린이들은 이어폰 사용과 휴대폰 사용제한을 포함하여 고주파에의 노출을 제한하는게 좋다.

국립 환경보건 과학연구소(NIEHS)는 현재의 과학적 증거의 비중으로는 휴대폰의 사용과 건강상의 질환을 결론적으로 연관 지을 수 없다고 말하고 있다.

휴대폰을 포함하여 고주파 에너지를 방출하는 기계 및 기구의 안전성을 규제할 책임이 있는 미식약청(FDA)은, 고주파 에너지와 관련된 생물학적 변이를 보고하는 연구들이 연구를 되풀이 할 이유를 찾는데 실패하였고 또 대다수의 인간역학 연구에서도 휴대폰의 고주파 에너지의 노출과 질환간의 연관성을 보여주는데 실패했다고 천명하였다.

미국 질병관리 예방센터(CDC)는, 일부 연구에서는 휴대폰 사용으로 인한 있을 수 있는 위험에 대해 우려를 제기하였지만, 과학적 조사전반으로 보면, 휴대폰 사용과 건강상 영향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연관성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천명하였다.

연방통신위원회(FCC)는 무선전화 사용이 두통, 어지러움증, 혹은 기억감퇴를 포함한 암이나 기타 질환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뒷받침할 어떤 과학적 증거도 없다라고 결론지었다.

7.What studies are under way that will help further our understanding of the health effects of cell phone use?

A large prospective cohort study of cell phone use and its possible long-term health effects was launched in Europe in March 2010. This study, known as COSMOS , has enrolled approximately 290,000 cell phone users aged 18 years or older to date and will follow them for 20 to 30 years.

Participants in COSMOS will complete a questionnaire about their health, lifestyle, and current and past cell phone use. This information will be supplemented with information from health records and cell phone records.

The challenge of this ambitious study is to continue following the participants for a range of health effects over many decades. Researchers will need to determine whether participants who leave are somehow different from those who remain throughout the follow-up period.

Another study already under way is a case-control study called Mobi-Kids , which will include 2000 young people (aged 10-24 years) with newly diagnosed brain tumors and 4000 healthy young people. The goal of the study is to learn more about risk factors for childhood brain tumors. Results are expected in 2016.

Although recall bias is minimized in studies that link participants to their cell phone records, such studies face other problems. For example, it is impossible to know who is using the listed cell phone or whether that individual also places calls using other cell phones. To a lesser extent, it is not clear whether multiple users of a single phone will be represented on a single phone company account.

The NIEHS, which is part of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is carrying out a study of risks related to exposure to radiofrequency energy (the type used in cell phones) in highly specialized labs that can specify and control sources of radiation and measure their effects on rodents.

7) 휴대폰 사용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해 어떤 연구들이 현재 진행 중인가?

휴대폰 사용과 그것이 장기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대형, 예상집단연구(예상 전향연구)가 2010년 3월 유럽에서 시작되었다. COSMOS로 알려진 이 연구에 18세 이상의 25만명 정도의 휴대폰 사용자들이 등록을 할 것이고 또 20년부터 30년간까지 추적을 할 것이다.

COSMOS의 참가자들은 자신의 건강, 생활양식 및 현재와 과거의 휴대폰 사용 등에 대한 설문지를 완성할 것이다. 이 정보는 건강기록과 휴대폰 기록 등에 의해 보완될 것이다.

이런 야심찬 연구 앞에 놓은 도전은 수십년에 걸쳐 그들 집단(코호트)의 완전성을 어떻게 유지하느냐이다. 연구자들은 연구에서 떠나는 참가자들이 후속의 전기간을 통해 잔류하는 참가자들과 다소 다른지 여부를 알아낼 필요가 있다.

또 다른 Mobikids라 불리는 사례조절연구(후향적 연구)가 어린이들 중 건강상의 영향을 조사 중에 있다.

기억편차는, 휴대폰 기록과 연관된 사례조절 연구에서 가장 최소화되지만, 그러한 연구들은 다른 문제들에 직면한다. 예를 들면, 등록된 휴대폰을 누가 사용하는지 혹은, 그 개인도 다른 휴대폰을 사용하여 통화를 하는지를 알 길이 없다. 보다 적게는, 전화기 한 대를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경우도 한 사람의 청구서에 반영되는지도 명확하지 않다.

국립 환경보건 및 과학 연구소(NIEHS)는 국립보건원의 일부로서, 방사선의 방출원을 분류하고 또 조절하며, 설치류에 대한 방사선의 영향을 측정할 수 있는 최고로 전문화된 연구실에서 고주파 에너지의 노출 위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8.Do children have a higher risk of developing cancer due to cell phone use than adults?

In theory, children have the potential to be at greater risk than adults for developing brain cancer from cell phones. Their nervous systems are still developing and therefore more vulnerable to factors that may cause cancer. Their heads are smaller than those of adults and therefore have a greater proportional exposure to the field of radiofrequency radiation that is emitted by cell phones. And children have the potential of accumulating more years of cell phone exposure than adults do.

So far, the data from studies in children with cancer do not support this theory. The first published analysis came from a large case-control study called CEFALO, which was conducted in Denmark, Sweden, Norway, and Switzerland. The study included children who were diagnosed with brain tumors between 2004 and 2008, when their ages ranged from 7 to 19. Researchers did not find an association between cell phone use and brain tumor risk in this group of children. However, they noted that their results did not rule out the possibility of a slight increase in brain cancer risk among children who use cell phones, and that data gathered through prospective studies and objective measurements, rather than participant surveys and recollections, will be key in clarifying whether there is an increased risk (19).

Researchers from the Centre for Research in Environmental Epidemiology in Spain are conducting another international study—Mobi-Kids —to evaluate the risk associated with new communications technologies (including cell phones)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in young people newly diagnosed with brain tumors at ages 10 to 24 years.

8) 어린이들은 어른들보다 휴대폰 사용으로 인한 암 발병 위험이 더 큰가?

이론적으로는 어린이들은 어른들보다 휴대폰 사용으로 인한 뇌암 발병의 위험이 보다 클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아이들의 신경계는 아직 발달중에 있고 그래서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들에 보다 취약할 수 있다. 아이들의 머리는 성인들의 머리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그래서 휴대폰에서 방출되는 고주파 에너지의 장에 노출되는 머리의 비율이 보다 크다. 그리고 어린이들은 어른들이 노출되는 것보다 휴대폰 노출의 축적연수가 더 클 가능성이 있다.

지금까지의 어린이들에 대한 임상실험의 데이터들은 이 이론을 뒷받침하지 않는다. 첫 번째로 공표된 분석은, 덴마크와 스웨덴, 노르웨이 그리고 스위스에서 수행된 CEFALO라고 불리는 한 개의 대형 사례조절연구에서 나온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그들의 나이가 7살에서 19살 사이였을 때인 2004년부터 2008년 사이에 뇌암의 진단을 받은 어린이들을 포함시켰다. 연구자들은 이 어린이들 그룹에서 휴대폰의 사용과 뇌암 위험간에 어떤 연관성도 발견하지 못했다. 그러나 연구자들이 주목한 바는 그 연구결과가 휴대폰을 사용한 어린이들 중에 뇌암의 위험이 약간 증가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는 것과 참가자들에 대한 조사와 기억보다 전향적인 연구와 객관적인 측정으로 얻은 데이터들이 정말 위험성의 증가가 있는지를 밝히는 열쇠가 될 것이다.

스페인에 있는 환경적 역학조사 센터의 연구원들은 Mobi-kids 라는 또 다른 국제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데, 그 목적은 10살에서 24살까지의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휴대폰을 포함한) 새로운 통신기술과 기타 환경적 요인과 연관된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서이다.

9.What can cell phone users do to reduce their exposure to radiofrequency energy?

The FDA and FCC have suggested some steps that concerned cell phone users can take to reduce their exposure to radiofrequency energy (1, 23):

Reserve the use of cell phones for shorter conversations or for times when a landline phone is not available.

Use a hands-free device, which places more distance between the phone and the head of the user.

Hands-free kits reduce the amount of radiofrequency energy exposure to the head because the antenna, which is the source of energy, is not placed against the head.

9) 휴대폰 사용자들이 고주파 에너지에의 노출을 줄이려면 무엇을 해야 하나?

연방식약청(FDA)과 여방통신위원회(FCC)는 관심이 많은 휴대폰 사용자들이 고주파 에너지에 노출되는 것을 줄이기 위해 취할 수 있는 몇 가지 조치들을 제안하고 있다.

▲ 휴대폰의 사용을 보다 짧게 하거나, 혹은 유선통화가 불가능할 때 만으로 제한하라.

▲ 전화기와 사용자의 머리 간의 거리를 보다 멀리 둘 수 있는 핸드프리 장치를 이용하라.

핸드프리 장치는 머리에 고주파 에너지의 노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에너지의 방출원인 안테나가 머리에 착 붙어있지 않기 때문이다.

10.Where can I find more information about radiofrequency energy from my cell phone?

The FCC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of cell phones produced and marketed within the last 1 to 2 years. The SAR corresponds with the relative amount of radiofrequency energy absorbed by the head of a cell phone user (24). Consumers can access this information using the phone’s FCC ID number, which is usually located on the case of the phone, and the FCC’s ID search form.

10) 나의 휴대폰에서 방출되는 고주파 에너지에 대해 보다 많은 정보는 어디에서 찾을 수 있나?

여방통신위원회(FCC)는 지난 1~2년 안에 생산되고 판매되고 있는 휴대폰의 특정흡수율(SAR)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SAR(특정주파수흡수율)은 휴대폰 사용자의 머리에 흡수되는 고주파 에너지의 상대적인 양과 부합된다. 사용자들은 보통 휴대폰 케이스 표면에 있는 FCC ID번호와 FCC의 ID Search Form 을 이용하여 이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11.What are other sources of radiofrequency energy?

The most common exposures to radiofrequency energy are from telecommunications devices and equipment (1). In the United States, cell phones currently operate in a frequency range of about 1,800 to 2,200 megahertz (MHz) (6). In this range, the electromagnetic radiation produced is in the form of non-ionizing radiofrequency energy.

Cordless phones (phones that have a base unit connected to the telephone wiring in a house) often operate at radio frequencies similar to those of cell phones; however, since cordless phones have a limited range and require a nearby base, their signals are generally much less powerful than those of cell phones.

Among other radiofrequency energy sources, AM/FM radios and VHF/UHF televisions operate at lower radio frequencies than cell phones, whereas sources such as radar, satellite st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devices, industrial equipment, and microwave ovens operate at somewhat higher radio frequencies (1).

11) 다른 고주파 에너지 방출원은 무엇인가?

고주파 에너지에 가장 흔히 노출되는 것은 원거리 통신 기구와 장비에 의해서이다. 미국에서는, 휴대폰은 현재 약 1,800메가헤르츠부터 2,200메가헤르츠의 주파수 대에서 운영되고 있다. 이 대역에서는 전자기 방사선은 비이온화 고주파 에너지의 형태로 생성된다.

무선전화(집안에 있는 전화선에 연결된 기지국을 갖고 있는 전화기)는 가끔 휴대폰의 안테나와 비슷한 전파로 운영된다.

그러나 무선전화는 제한된 범위와 가까운 베이스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무선전화의 신호는 일반적으로 휴대폰의 그것보다 훨씬 미약하다.

기타 고주파 에너지 방출원 가운데, AM/FM 라디오와 VHF/UHF 텔레비전은 휴대폰보다 낮은 주파수로 운영된다.

반면에 레이더, 위성기지국, MRI(자기공명영상)장치, 산업용 장비 및 마이크로웨이브오븐은 다소 높은 주파수로 운영된다.

12.How common is brain cancer? Has the incidence of brain cancer changed over time?

Brain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death) rates have changed little in the past decade. In the United States, 23,130 new diagnoses and 14,080 deaths from brain cancer are estimated for 2013.

The 5-year relative survival for brain cancers diagnosed from 2003 through 2009 was 35 percent (25). This is the percentage of people diagnosed with brain cancer who will still be alive 5 years after diagnosis compared with the survival of a person of the same age and sex who does not have cancer.

The risk of developing brain cancer increases with age. From 2006 through 2010, there were fewer than 5 brain cancer cases for every 100,000 people in the United States under age 65, compared with approximately 19 cases for every 100,000 people in the United States who were ages 65 or older (25).

12) 뇌암은 얼마나 흔한가? 시간이 지나면서 뇌암의 신발률은 변했는가?

뇌암의 발병률과 사망률은 지난 십년간 다소 변화되었다. 미국에서는 2012년에 22,190명의 새로운 뇌암 진단자와 뇌암으로 인한 사망자가 13,700명 정도로 추산된다.

2002년부터 2008년에 걸쳐 뇌암 진단을 받은 사람들의 상대적인 5년 생존율은 35%였다.

이것은 암에 걸리지 않은 같은 나이, 성별대의 사람들의 생존과 비교하여, 진단 5년 이후에도 아직 살아있는 뇌암 진단을 받는 사람들의 백분율이다.

뇌암 발병의 위험은 나이와 더불어 증가한다. 2005년부터 2009년까지 미국에서 65세 이하의 매 10만 명당 5간 이하의 뇌암 발병이 있었는데 반하여, 65세 이상의 경우 매 10만 명당 약 19건의 뇌암 발생사례가 있었다.

저작권자 © 암스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