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신 : 2017-01-23

Cannabis and Cannabinoids (PDQ®)

대마초 및 카나비노이드

Human/Clinical Studies

인체/임상실험

When Cannabis is ingested by mouth, there is a low (6%–20%) and variable oral bioavailability.[1,2] Peak plasma concentrations of delta-9-tetrahydrocannabinol (THC) occur after 1 to 6 hours and remain elevated with a terminal half-life of 20 to 30 hours. Taken by mouth, delta-9-THC is initially metabolized in the liver to 11-OH-THC, a potent psychoactive metabolite. When inhaled, cannabinoids are rapidly absorbed into the bloodstream with a peak concentration in 2 to 10 minutes, declining rapidly for a period of 30 minutes and with less generation of the psychoactive 11-OH metabolite.

대마초를 경구 섭취하면 생체 이용률은 낮고 (6%-20%)다양하다. 델타-9-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의 혈장 농도가 최고조가 1시간 내지 6시간 후에 일어나며 20 내지 30시간의 말단 반감기로 고양상태에 머무른다. 입으로 복용하면, 델타-9-THC는 처음에 간에서 11-OH-THC로 대사된다. 흡입을 하면, 카나비노이드는 2 내지 10분 내에 최고 농도로 혈류 속으로 빠르게 흡수되며, 30분 만에 급히 줄어들고 향정신성 11-OH 대사물질을 덜 생성한다.

Cannabinoids are known to interact with the hepatic cytochrome P450 enzyme system.[3,4] In one study, 24 cancer patients were treated with intravenous irinotecan (600 mg, n = 12) or docetaxel (180 mg, n = 12), followed 3 weeks later by the same drugs concomitant with medicinal Cannabis taken in the form of an herbal tea for 15 consecutive days, starting 12 days before the second treatment.[4] The administration of Cannabis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exposure to and clearance of irinotecan or docetaxel, although the herbal tea route of administration may not reproduce the effects of inhalation or oral ingestion of fat-soluble cannabinoids.

카나비노이드는 간의 시토크롬 P450 효소계와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연구에서, 24명의 암환자들이 정맥주사로 이리노테칸(600mg, 12명)이나 혹은 도세탁셀(180mg, 18명)로 치료받고, 3주 후 부수적으로 15일간 연속하여 한방차 형태로 대마초 차를 곁들여 동일한 약으로 치료하는데, 이것은 두 번째 치료를 시작하기 12일 전부터 시작한다. 한방차 형태의 투여가 지용성 카나비노이드의 흡입 및 경구복용의 효과는 재현하지 못하지만, 대마초의 투약은 이리노테칸이나 혹은 도세탁셀에 노출 및 정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Cancer Risk

암의 위험

A number of studies have yielded conflicting evidence regarding the risks of various cancers associated with Cannabis use.

일련의 연구에서 대마초의 사용과 관련된 다양한 암의 위험에 대해 엇갈린 증거들을 도출했다.

A pooled analysis of three case-cohort studies of men in northwestern Africa (430 cases and 778 controls) showed a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of lung cancer among tobacco smokers who also inhaled Cannabis.[5]

서북 아프리카에서 실시된 3건의 사례집단 연구(430명의 사례와 778명의 통제군)를 종합 분석한 결과 대마초를 흡입한 흡연자들 중에서 폐암의 증가율이 두드러졌다.

A large,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64,855 men aged 15 to 49 years from the United States found that Cannabis use was not associated with tobacco-related cancers and a number of other common malignancies. However, the study did find that, among nonsmokers of tobacco, ever having used Cannabis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prostate cancer.[6]

미국에서 15세부터 49세까지의 64,855명에 대한 한 건의 대형 후향 집단 연구에서 대마초의 사용은 흡연 관련 암과는 무관하였다. 그러나 연구에서 발견한 것은, 비흡연자들 중에 대마초를 사용하면 전립선암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A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of 611 lung cancer patients revealed that chronic low Cannabis exposure was not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lung cancer or other upper aerodigestive tract cancers and found no positive associations with any cancer type (oral, pharyngeal, laryngeal, lung, or esophagus) when adjusting for several confounders, including cigarette smoking.[7]

611명의 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인구 기반의 사례-통제 연구결과에 의하면, 만성적으로 대마초에 노출 빈도가 낮으면 폐암이나 혹은 기타 호흡 소화관계 암의 위험 증가와 무관하며, 흡연을 포함한 다른 몇몇 공동 유발인자들을 조정하면 어떤 다른 암들(구강, 인두, 후두, 폐, 혹은 식도)과 연관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A systematic review assessing 19 studies that evaluated premalignant or malignant lung lesions in persons 18 years or older who inhaled marijuana concluded that observational studies failed to demonstrat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marijuana inhalation and lung cancer after adjusting for tobacco use.[8]

마리화나를 흡입한 18세 이상의 사람들 중, 폐의 전암 단계 혹은 암 병소를 조사한 19건의 연구에 대한 체계적 분석 결과 내린 결론은, 관찰 연구를 통해 볼 때 마리화나 흡입과 흡연 조절 후 폐암 간에 통계적으로 눈에 띄는 연관성을 제시할 수 없었다.

With a hypothesis that chronic marijuana use produces adverse effects on the human endocrine and reproductive systems, the association between marijuana use and incidence of testicular germ cell tumors (TGCTs) has been examined.[9-11] Three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ies report an association between marijuana use and elevated risk of TGCTs, especially nonseminoma or mixed-histology tumors.[9-11] However, the sample sizes in these studies were inadequate to address marijuana dose by addressing associations with respect to recency, frequency, and duration of use. These early reports of marijuana use and TGCTs establish the need for larger, well-powered, prospective studies, especially studies evaluating the role of endocannabinoid signaling and cannabinoid receptors in TGCTs.

마리화나를 만성적으로 사용하면 인간의 내분비 및 생식계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 하에, 마리화나의 사용과 고환의 생식세포 종양(TGCTs)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3건의 인구 기반 사례-통제 연구에서 보고한 바는, 마리화나의 사용과 고환의 생식세포 종양, 특히 비非 정상피종精上皮腫이나 혹은 혼합 조직학적 종양과 연관성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마리화나 사용의 기간과 빈도 및 얼마나 최근까지 이용했나 등의 관점에서 연관성을 주장할 때 이 연구의 규모는 부적절하다. 마리화나의 사용과 TGCTs에 대한 이런 초기의 보고서들은 보다 대형의, 강력한 전향적 연구 특히 내생적 카나비노이드 신호전달 및 TGCTs의 카나비노이드 수용기의 역할을 평가하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

A comprehensive Health Canada monograph on marijuana concluded that while there are many cellular and molecular studies that provide strong evidence that inhaled marijuana is carcinogenic, the epidemiologic evidence of a link between marijuana use and cancer is still inconclusive.[12]

마리화나 흡입이 암을 유발 할 수 있다는 많은 세포 및 분자적 연구가 있지만, 마리화나의 사용과 암 사아의 연관성에 대란 역학적 증거는 아직 미결론 상태라고 한 건의 캐나다 보건부가 발행한 포괄적인 논문에서 결론지었다.

Cancer Treatment

암의 치료

No clinical trials of Cannabis as a treatment for cancer in humans were identified in a PubMed search; however, a single, small study of intratumoral injection of delta-9-THC in patients with recurrent glioblastoma multiforme reported potential antitumoral activity.[13,14]

인간 대상의 암 치료제로서 대마초를 사용한 임상실험은 PubMed(대형 데이터 베이스)에서 찾아봐도 찾을 수 없다. 그러나 계속 재발하는 다형성 신경교아종 환자들에게 델타-9-THC를 종양 속에 주사하는 한 건의 소형 단일 연구에서 잠재적인 항종양효과가 있다고 보고했다.

Antiemetic Effect

항 구토 효과

Cannabinoids

카나비노이드

Despite advances in pharmacologic and nonpharmacologic management, nausea and vomiting (N/V) remain distressing side effects for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Dronabinol, a synthetically produced delta-9-THC, was approved in the United States in 1986 as an antiemetic to be used in cancer chemotherapy. Nabilone, a synthetic derivative of delta-9-THC, was first approved in Canada in 1982 and is now also available in the United States.[15] Both dronabinol and nabilone have been approved by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r the treatment of N/V associated with cancer chemotherapy in patients who have failed to respond to conventional antiemetic therapy. Numerous clinical trials and meta-analyses have shown that dronabinol and nabilone ar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N/V induced by chemotherapy.[16-19] The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Guidelines recommend cannabinoids as breakthrough treatment for chemotherapy-related N/V.

약리학적 및 비 약리학적 관리(치료)의 진보에도 불구하고 구역질과 구토(N/V)는 여전히 암환자와 가족들에게는 고통스러운 일이다. 인공적으로 생산된 델타-9-THC인 드로나비놀은 1986년에 암 화학요법에 사용되는 항 구토제로 미국에서 승인을 받았다. 델타-9-THC의 합성(인공적인) 파생물인 나빌론은 1982년에 처음 캐나다에서 승인되었고 지금은 미국에서도 구할 수 있다. 드로나비놀과 나빌론 모두 전통적인 항 구토요법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 대해 항암의 화학요법과 유관한 N/V의 치료제로 미국 식약청(FDA)이 승인하였다. 수많은 임상실험과 메타분석에서 드로나비놀과 나빌론은 화학요법으로 인한 N/V 치료에 효과적임을 밝혀냈다. The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Guidelines은 화학요법 관련 N/V에 대한 돌파 치료제로 카나비노이드를 추천한다.

One systematic review studied 30 randomized comparisons of delta-9-THC preparations with placebo or other antiemetics from which data on efficacy and harm were available.[20] Oral nabilone, oral dronabinol, and intramuscular levonantradol (a synthetic analog of dronabinol) were tested. Inhaled Cannabis trials were not included. Among all 1,366 patients included in the review, cannabinoids were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conventional antiemetics prochlorperazine, metoclopramide, chlorpromazine, thiethylperazine, haloperidol, domperidone, and alizapride. Cannabinoids, however, were not more effective for patients receiving very low or very high emetogenic chemotherapy. Side effects included a feeling of being high, euphoria, sedation or drowsiness, dizziness, dysphoria or depression, hallucinations, paranoia, and hypotension.[20] Newer antiemetics (e.g., 5-HT3 receptor antagonists) have not been directly compared with Cannabis or cannabinoids in cancer patients.

한 건의 체계적 검토에서 델타-9-THC 제품과 플라시보나 혹은 효험과 해로움에 대한 데이터가 알려진 전통적인 항 구토제에 대한 30건의 무작위 비교를 연구(실험)하였다. 경구복용 나빌론과 드로나비놀 및 근육 내 주사요법의 레보난트라돌(드로나비놀의 유사 합성품)을 시험하였다. 대마초 흡입 실험은 포함되지 않았다. 검토에 포함된 1,366명의 환자 중, 카나비노이드는 프로클로페라진과 메토클로프라미드, 클로르프로마진, 티에틸페라진, 핼로페리돌, 돔페리돈, 및 알리자프리드 같은 전통적인 항 구토제들보다 효과가 큰 것이 알려졌다. 그러나 카나비노이드는 매우 낮은 강도나 혹은 아주 높은 강도의 구토 유발성의 화학요법을 받는 환자들에게는 보다 효과적이질 않았다. 부작용은 고 행복감과 진정 혹은 졸림, 어지러움, 불행감, 혹은 우울증, 환각, 편집증 및 저혈압 등이다. 보다 신형의 구토 치료제(예를 들면, 5-HT-3 수용기 길항제)는 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대마초나 혹은 카나비노이드와 직접 비교하지는 않았다.

Another analysis of 15 controlled studies compared nabilone with placebo or available antiemetic drugs.[21] Among 600 cancer patients, nabilone was found to be superior to prochlorperazine, domperidone, and alizapride, with nabilone favored for continuous use.

15건의 통제 실험에 대한 또 다른 분석에서 나빌론을 플라시보나 혹은 구입 가능한 구토 치료제들과 비교하였다. 600명의 암 환자들 가운데 나빌론은 프로클로르페라진과 돔페리돈 및 알리자 프리드보다 우수했으며, 나빌론을 계속 사용하겠다고 선호했다.

(Refer to the Cannabis section in the PDQ summary on Nausea and Vomiting for more information.)

(보다 자세한 정보는 구역질과 구토에 대한 PDQ요약의 대마초 편을 참조하라.)

Cannabis

대마초

Three trials have evaluated the efficacy of inhaled marijuana in chemotherapy-induced N/V.[22-24] In two of the studies, inhaled Cannabis was made available only after dronabinol failure. In the first trial, no antiemetic effect was achieved with marijuana in patients receiving cyclophosphamide or doxorubicin,[22] but in the second trial,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uperior antiemetic effect of inhaled Cannabis versus placebo was found among patients receiving high-dose methotrexate.[23] The third trial wa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ross-over trial involving 20 adults in which both inhaled marijuana and oral THC were evaluated. One-quarter of the patients reported a favorable antiemetic response to the cannabinoid therapies. This latter study was reported in abstract form in 1984. A full report, detailing the methods and outcomes apparently has not been published, which limits a thorough interpretation of the significance of these findings.[24]

3건의 실험에서, 화학요법으로 인한 N/V에 대한 마리화나 흡입의 효험을 평가하였다. 드로나비놀의 실패 후에야 대마초 흡입을 시도하였다. 첫 실험에서는, 사이클로포스파미드나 혹은 독소루비신 치료를 받은 환자들에서 마리화나로는 아무런 항 구토 효과를 얻을 수 없었지만, 두 번째 실험에서는 고용량 메쏘트렉세이트로 치료받은 환자들 중에서 플라시보 대비 마리화나 흡입의 항 구토 효과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우세를 보였다. 세 번째 실험은 마리화나 흡입과 경구복용 THC를 평가한 20명의 환자들이 참가한 무작위, 2중 맹검, 플라시보 통제의 교차실험이었다. 환자들의 1/3은 카나비노이드 요법에 선호할 만한 항 구토반응을 보였다. 이 세 번째 실험은 1984년 요약본 형태로 보고되었고, 실험 방법과 결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완전한 보고서는 발표되지 않아서 이 결과의 의미를 완전히 해석하는데 제약이 되었다.

Appetite Stimulation

식욕의 자극

Anorexia, early satiety, weight loss, and cachexia are problems experienced by cancer patients. Such patients are faced not only with the disfigurement associated with wasting but also with an inability to engage in the social interaction of meals.

식욕부진(거식증)과 때 이른 포만감(조금만 먹어도 포만감이 생김), 체중감소, 및 악액질 등이 암 환자들이 겪는 문제들이다. 그런 환자들은 (영양)손실로 인한 미관손상뿐 아니라 식사를 통한 사교에 참석이 불가함에 부닥친다.

Cannabinoids

카나비노이드

Three controlled trials demonstrated that oral THC has variable effects on appetite stimulation and weight loss in patients with advanced malignancies and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nfection.[21] One study evaluated whether dronabinol alone or with megestrol acetate was greater, less, or equal in efficacy to megestrol acetate alone for managing cancer-associated anorexia.[25] In this randomized, double-blind study of 469 adults with advanced cancer and weight loss, patients received 2.5 mg of oral THC twice daily, 800 mg of oral megestrol daily, or both. Appetite increased by 75% in the megestrol group and weight increased by 11%, compared with a 49% increase in appetite and a 3% increase in weight in the oral THC group after 8 to 11 weeks of treatment. These two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urthermore, the combined therapy did not offer additional benefits beyond those provided by megestrol acetate alone. The authors concluded that dronabinol did little to promote appetite or weight gain in advanced cancer patients compared with megestrol acetate. However, a smaller, placebo-controlled trial of dronabinol in cancer patients demonstrated improved and enhanced chemosensory perception in the cannabinoid group—food tasted better, appetite in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calories consumed as protein was greater than in the placebo recipients.[26]

3건의 통제실험에서 경구복용 THC는 진행성 암과 인간 면역결핍증바이러스 (HIV) 감염 환자들에게 식욕 자극 및 체중감소에 관한 가변적 영향을 미침을 보였다. 한 연구에서 암 관련 식욕부진 관리용으로 드로나비놀 단독치료나 혹은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와 결합했을 때가 메게스테롤 단독 치료에 비해 효험이 큰지, 적은지 아니면 동일한지를 평가하였다. 진행성 암과 체중감소로 고통 받고 있는 46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이 무작위, 이중 맹검 연구에서, 환자들은 하루 2회씩 2,5mg의 경구복용 THC와 매일 800mg의 메게스테롤 경구복용이나 혹은 두 가지 모두를 치료받았다. 치료 8주 내지 11주 후, THC 그룹에서 식욕이 49%증가하고 체중이 3% 증가에 비해 메게스테롤 그룹에서 75%의 식욕 증진과 11%의 체중 증가를 보였다. 이 두 개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더욱이, 배합요법은 메게트롤 아세테이트 단독으로 치료했을 때의 효과보다 추가 효과를 제공하지 못했다. 저자들이 내린 결론은, 드로나비놀은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에 비해서 진행성 암 환자들에게는 식욕증진이나 체중증가에 별 역할을 못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암 환자들 대상으로 드로나비놀을 사용한 한 건의 비교적 소규모의, 플라시보 통제실험에서 카나비노이드 그룹이 플라시보 그룹에 비해 음식 맛이 더 좋고, 식욕이 증진되고 또 단백질 같은 소비 칼로리의 부분이 더 큰, 보다 향상된 화학 감각적 인지력을 보여주었다.

In a randomized clinical trial, researchers compared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orally administered Cannabis extract (2.5 mg THC and 1 mg cannabidinol), THC (2.5 mg), or placebo for the treatment of cancer-related anorexia-cachexia in 243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who received treatment twice daily for 6 weeks. Results demonstrated that although these agents were well tolerated by these patients,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patient appetite or quality of life among the three groups at this dose level and duration of intervention.[27]

한 건의 무작위 임상실험에서, 6주간 동안 매일 2회씩 치료를 받은 진행성 암 환자 243명의 암 관련 거식증-악액질 치료를 위해 연구자들은 경구 투여 대마초 추출물(2.5mg THC와 1mg의 카나비디놀)과 THC(2.5mg), 혹은 플라시보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결과는, 이 약물들을 환자들이 잘 견디어 냈지만 이 복용량과 이 치료 기간에서는 환자의 식욕이나 삶의 질에서 아무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Another clinical trial that involved 139 patients with HIV or AIDS and weight loss found that, compared with placebo, oral dronabinol was associated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appetite after 4 to 6 weeks of treatment. Patients receiving dronabinol tended to have weight stabilization, whereas patients receiving placebo continued to lose weight.[28]

HIV 혹은 AIDS 및 체중감소 환자 139명이 관여된 또 다른 임상실험에서, 플라시보와 비교했을 때, 경구복용 드로나비놀은 4 내지 6주간의 치료 후 통계적으로 두렷한 식욕의 증가가 있었다. 드로나비놀 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체중의 안정화 경향을 보인 반면 플라시보 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체중감소가 계속되었다.

Cannabis

카나비스

In trials conducted in the 1980s that involved healthy control subjects, inhaling Cannabis led to an increase in caloric intake, mainly in the form of between-meal snacks, with increased intakes of fatty and sweet foods.[29,30] No published studies have explored the effect of inhaled Cannabis on appetite in cancer patients.

건강한 통제대상들이 포함된 1980년대에 시행된 실험에서 대마초의 흡입은 칼로리 섭취의 증가, 주로 간식의 형태로 기름지고 단 음식의 섭취 증가로 이어졌다. 대마초 흡입이 암환자의 식욕에 미치는 영향을 탐사한 발표된 연구 결과가 없다.

Analgesia

무통증(통각 상실증)

Cannabinoids Pain management improves a patient’s quality of life throughout all stages of cancer. Through the study of cannabinoid receptors, endocannabinoids, and synthetic agonists and antagonists, the mechanisms of cannabinoid-induced analgesia have been analyzed. The CB1 receptor is found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and in peripheral nerve terminals.[31] CB2 receptors are located mainly in peripheral tissue and are expressed in only low amounts in the CNS. Whereas only CB1 agonists exert analgesic activity in the CNS, both CB1 and CB2 agonists have analgesic activity in peripheral tissue.[32,33]

카나비노이드의 통증관리는 암의 모든 병기를 통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카나비노이드 수용기와 내재적 카나비노이드, 및 합성 작용불질 및 길항제(반 작용물질)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카나비노이드가 유도한 무통증의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CB1 수용기는 중추신경계(CNS)와 말초신경 단말에서 발견된다. CB2 수용기는 주로 말초조직에 자리잡고 있고 중추 신경계에서는 단지 소량만 존재한다. 반면에, 오직 CB1 작용물질만은 중추 신경계에서 무통작용을 행사하고 CB1과 CB2 작용물질은 말초조직에서 무통작용을 하고 있다.

Cancer pain results from inflammation, invasion of bone or other pain-sensitive structures, or nerve injury. When cancer pain is severe and persistent, it is often resistant to treatment with opioids.

암의 통증은 염증과 뼈의 침윤이나 혹은 다른 통증에 민감한 조직 혹은 신경손상 등으로부터 온다. 암의 통증이 심하고 지속적이면, 가끔은 오피오이드(합성 마약) 치료에 저항한다.

Two studies examined the effects of oral delta-9-THC on cancer pain. The first,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involving ten patients, measured both pain intensity and pain relief.[34] It was reported that 15 mg and 20 mg doses of the cannabinoid delta-9-THC were associated with substantial analgesic effects, with antiemetic effects and appetite stimulation.

두 건의 실험에서 암의 통증에 대한 경구복용 델타-9-THC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10명의 환자들이 참가한 첫 번의 이중 맹검, 플라시보 통제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통증의 강도와 통증완화를 측정하였다. 카나비노이드 델타-9-THC의 15mg과 20mg은 항 구토 효과 및 식욕의 자극 효과와 더불어 실질적인 무통효과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In a follow-up, single-dose study involving 36 patients, it was reported that 10 mg doses of delta-9-THC produced analgesic effects during a 7-hour observation period that were comparable to 60 mg doses of codeine, and 20 mg doses of delta-9-THC induced effects equivalent to 120 mg doses of codeine.[35] Higher doses of THC were found to be more sedative than codeine.

36명의 환자들이 참가한 한 건의 후속, 단일 약제 복용 실험에서, 10mg의 델타-9-THC를 복용하면 7시간의 관찰기간 동안 60mg의 코데인 복용효과에 비할만한 무통효과와 20mg의 델타-9-THC의 복용은 120mg의 코데인 복용효과에 상당하는 효과를 유도했다고 보고하였다. THC의 복용량을 높이면 코데인보다 더 많은 진정(진통)이 됨을 발견했다.

Another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whole-plant extract with controlled cannabinoid content in an oromucosal spray. In a multicenter,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the THC:cannabidiol nabiximols (THC:CBD) extract and THC extract alone were compared in the analgesic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and with moderate-to-severe cancer-related pain. Patients were assigned to one of three treatment groups: THC:CBD extract, THC extract, or placebo. The researchers concluded that the THC:CBD extract was efficacious for pain relief in advanced cancer patients whose pain was not fully relieved by strong opioids.[36] In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graded-dose trial, opioid-treated cancer patients with poorly controlled chronic pain demonstrated significantly better control of pain and sleep disruption with THC:CBD oromucosal spray at lower doses (1–4 and 6–10 sprays/day), compared with placebo. Adverse events were dose related, with only the high-dose group (11–16 sprays/day) comparing unfavorably with the placebo arm. These studies provide promising evidence of an “adjuvant analgesic” effect of THC:CBD in this opioid-refractory patient population and may provide an opportunity to address this significant clinical challenge.[37] An open-label extension study of 43 patie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randomized trial found that some patients continued to obtain relief of their cancer-related pain with long-term use of the THC:CBD oromucosal spray without increasing their dose of the spray or the dose of their other analgesics.[38]

또 다른 실험에서 구강점막 스프레이 속에 용량을 조절한 카나비노이드와 더불어 대마초 전초 추출물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한 건의 다중센터, 이중 맹검, 플라시보 통제실험에서, THC:카나비디올 나빅시몰(THC:CBD) 추출물과 THC 추출물 단독치료를 진행성 암이 있고 또한 중간급에서 심한 암 관련 통증 환자들의 무통 관리 효과를 비교하였다. 환자들은 3종류의 치료 그룹 중 하나에 배정되었다. 즉, THC:CBD 추출물과 THC추출물, 혹은 플라시보이다. THC:CBD 추출물은 암의 통증이 강력한 오피오이드(합성 마약)에 의해서도 완전히 완화되지 않는 진행성 암 환자의 통증관리에 효과적이었다. 한 건의 무작위, 플라시보 통제, 단계별 복용량 증가 실험에서 만성 통증관리가 미비했던 오피오이드로 치료한 환자들이 플라시보와 비교할 때 적은 복용량의 THC:CBD 구강점막 스프레이(일일 1-4 및 6-10회 스프레이)로 통증관리와 수면장애를 눈에 띄게 양호하게 개선하였다. 불리한 플라시보 부문과 비교하여 오직 고용량 그룹에서 부작용은 용량과 관련이 있다. 이런 연구들은 오피오이드 치료에 난치성을 보이는 환자군群에서 THC:CBD의 “보조적 무통”효과의 유망한 증거들을 제공하고, 이런 중요한 임상적 도전을 떠맡을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그 무작위 실험에 참가한 43명의 환자에 대한 내용 공개 연장 실험에서 일부 환자들은 스프레이 투여량이나 혹은 다른 무통제를 증가시키지 않고 THC:CBD 점막 스프레이를 장기간 사용하여 암 관련 통증 완화를 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An observational study assessed the effectiveness of nabilone in advanced cancer patients who were experiencing pain and other symptoms (anorexia, depression, and anxiety). The researchers reported that patients who used nabilone experienced improved management of pain, nausea, anxiety, and distress when compared with untreated patients. Nabilone was also associated with a decreased use of opioid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tricyclic antidepressants, gabapentin, dexamethasone, metoclopramide, and ondansetron.[39]

한 건의 관찰 시험에서 통증과 기타 증상(거식증, 우울증, 및 불안)을 겪고 있는 진행성 암 환자 대상으로 나빌론의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연구자들은 나빌론을 사용한 환자들은 비 치료 환자들과 비교할 때 통증과 불안 및 고통의 관리가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나빌론은 또한 오피오이드와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제, 삼환계 항우울제, 가바페닌, 덱사메싸손, 메토클로프라미드 및 온단스테론의 사용 감소에도 상관이 있다.

Cannabis

카나비스

Animal studies have suggested a synergistic analgesic effect when cannabinoids are combined with opioids. The results from one pharmacokinetic interaction study have been reported. In this study, 21 patients with chronic pain were administered vaporized Cannabis along with sustained-release morphine or oxycodone for 5 days.[40] The patients who received vaporized Cannabis and sustained-release morphin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ir mean pain score over the 5-day period; those who received vaporized Cannabis and oxycodone did not. These findings should be verified by further studies before recommendations favoring such an approach are warranted in general clinical practice.

동물실험의 결과는 카나비노이드가 오피오이드와 결합될 때 상승효과(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시사했다. 한건의 약물 동력학(약동학)적 상호작용의 결과가 보고되었다. 이 연구에서, 만성 통증이 있는 21명의 환자들이 5일간 증류 대마초액과 더불어 지효성 모르핀이나 옥시코돈을 투여 받았다. 증류 대마액과 지효성 모르핀을 투여 받은 환자들은 5일간에 걸쳐 평균 통증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뚜렷한 감소를 초래하였다. 증류 대마액과 옥시코돈을 투여 받은 환자들은 효과가 없었다. 이 결과는 그런 접근법을 애호하여 추천이 일반적 임상실습에서 보증되기 전까지 더 많은 연구에 의해 확인되어야 한다.

Neuropathic pain is a symptom cancer patients may experience, especially if treated with platinum-based chemotherapy or taxanes. To date, no clinical trial has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cannabinoid preparations in the treatment of chemotherapy-induced neuropathic pain.

신경성 동통은 암 환자들이 특히 플라티늄 기조의 화학요법이나 탁산으로 치료 받을 경우 겪을 수 있는 증상 중 하나이다. 지금까지, 화학요법으로 인한 신경성 동통의 치료에서 카나비노이드 제품의 효율성을 시험하였다.

Two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inhaled Cannabis in patients with peripheral neuropathy or neuropathic pain of various etiologies found that pain was reduced in patients who received inhaled Cannabis, compared with those who received placebo.[41,42] Two additional trials of inhaled Cannabis have also demonstrated the benefit of Cannabis over placebo in HIV-associated neuropathic pain.[43,44]

말초 신경증이나 다양한 병인의 신경성 동통 환자들 대상으로 실시한 2건의 무작위, 통제실험에서 플라시보를 흡입한 환자들에 비해 대마초를 흡입한 환자들에게 통증이 감소된 것을 발경하였다. 대마초 흡입에 대한 두 건의 추가 실험에서 HIV 관련 동통에 플라시보에 대한 대마초의 이점을 보여 주었다.

Anxiety and Sleep

불안과 수면

Cannabis

카나비스

Patients often experience mood elevation after exposure to Cannabis, depending on their prior experience. In a five-patient case series of inhaled marijuana that examined the analgesic effects of THC, it was reported that patients administered THC had improved mood, improved sense of well-being, and less anxiety.[45]

환자들은 자신의 이전의 경험에 따라 다르지만, 대마초에 노출이 되면 가끔 기분이 고조되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THC의 무통효과를 검사한 흡입한 마리화나에 대한 5건의 환자 사례연구에서, THC를 투여한 환자들은 기분이 고양되고 행복감은 고조되며 불안은 줄어든다고 보고했다.

Another common effect of Cannabis is sleepiness. In a trial of a sublingual spray, a Cannabis-based mixture was able to improve sleep quality.[46] A small placebo-controlled study of dronabinol in cancer patients with altered chemosensory perception also noted increased quality of sleep and relaxation in THC-treated patients.[26]

또 다른 대마초의 흔한 효과는 졸음이다. 혀밑에 뿌리는 스프레이의 실험에서, 대마초 기조의 내용물은 수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화학 감각 인지능력이 바뀐 암 환자에 대한 드로나비놀을 이용한 한 건의 소형 플라시보 통제실험에서도 THC로 치료한 환자의 수면과 휴식의 질이 향상되었다.

Current Clinical Trials

진행 중 임상실험

Check NCI’s list of cancer clinical trials for cancer CAM clinical trials on dronabinol, marijuana, nabiximols and nabilone that are actively enrolling patients.

활발하게 환자를 등록하고 있는 드로나비놀과 마리화나, 나빅시몰 및 SQLF론에 관한 암의 보완 및 대체의학 임상실험을 찾으려면 암 임상실험에 대한 NCI 목록을 조사하라.

General information about clinical trials is also available from the NCI Web site.

임상실험에 대한 일반정보는 NCI 웹 사이트에서도 볼 수 있다.

저작권자 © 암스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