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신 : 2017-01-23

Cannabis and Cannabinoids (PDQ®)

대마초 및 카나비노이드

Adverse Effects

부작용

Because cannabinoid receptors, unlike opioid receptors, are not located in the brainstem areas controlling respiration, lethal overdoses from Cannabis and cannabinoids do not occur.[1-4] However, cannabinoid receptors are present in other tissues throughout the body, not just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adverse effects include tachycardia, hypotension, conjunctival injection, bronchodilation, muscle relaxation, and decreased gastrointestinal motility.

카나보이드 수용기는 오피오이드 수용기와는 달리 뇌간腦幹 부위에 위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대마초와 카나비노이드로 인한 치사량에 달하는 약물과용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카나비노이드 수용기는 단지 중추신경계가 아닐 뿐, 전신에 다른 조직에 존재하며 그 부작용은 심계항진과 저혈압, 결막염, 기관지 확장, 근육이완, 및 위장관계의 운동 저하 등이다.

Although cannabinoids are considered by some to be addictive drugs, their addictive potential is considerably lower than that of other prescribed agents or substances of abuse.[4] The brain develops a tolerance to cannabinoids.

카나비노이드는 일부 사람들이 중독성 약물이라 생각하지만, 카나비노이드의 중독 잠재성은 다른 처방약이나 남용물질의 중독성보다 상당히 낮다. 뇌는 카나비노이드에 대한 내성을 기른다.

Withdrawal symptoms such as irritability, insomnia with sleep electroencephalogram disturbance, restlessness, hot flashes, and, rarely, nausea and cramping have been observed. However, these symptoms appear to be mild compared with withdrawal symptoms associated with opiates or benzodiazepines, and the symptoms usually dissipate after a few days.

짜증내기와 수면 뇌파교란의 불면증, 조급증, 일과성 열감, 및 드물게는 구역질 과 경련 같은 금단증상이 나타난다. 그러나 이런 증상들은 아편류나 혹은 벤조디아제핀과 관련된 금단증상과 비교할 때 경미하며, 이런 증상들은 며칠 후에는 사라지는 것 같다.

Unlike other commonly used drugs, cannabinoids are stored in adipose tissue and excreted at a low rate (half-life 1–3 days), so even abrupt cessation of cannabinoid intake is not associated with rapid declines in plasma concentrations that would precipitate severe or abrupt withdrawal symptoms or drug cravings.

흔히 사용되는 다른 약물과는 달리, 카나비노이드는 지방조직에 저장되어 천천히(반감기;1-3일) 분비되기 때문에 카나비노이드 섭취를 급격히 중단해도 심하고 돌연한 금단증상이나 약물에 대한 갈망을 촉진하는 혈장 농도의 급격한 감소와는 무관하다.

Since Cannabis smoke contains many of the same components as tobacco smoke, there are valid concerns about the adverse pulmonary effects of smoked Cannabis. A longitudinal study in a noncancer population evaluated repeated measurements of pulmonary function over 20 years in 5,115 men and women whose smoking histories were known.[5] While tobacco exposure was associated with decreased pulmonary function, the investigators concluded that occasional and low-cumulative Cannabis use was not associated with adverse effects on pulmonary function (forced expiratory volume in the first second of expiration [FEV1] and forced vital capacity [FVC]).대마초 흡연은 담배 흡연과 동일한 성분을 많이 갖고 있기 때문에 대마초 흡연이 폐에 미치는 역효과에 대한 정당한 우려가 있다. 암이 아닌 실험인구에 대한 장기적 관찰을 통해 흡연 이력이 잘 알려진 남녀 5,115명에 대해 20년에 걸쳐 반복적인 폐 기능 측정을 실시하였다. 담배에의 노출은 폐 기능의 하락과 유관한 반면, 연구자들은 간헐적이며 조금씩의 대마초 이용은 폐 기능에 역효과와는 무관하다는 결론을 내렸다.(호흡의 1초율[FEV1]과 노력성 폐활량[FCV])

저작권자 © 암스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