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신 : 2017-01-23

Prostate Cancer, Nutrition, and Dietary Supplements (PDQ®)

전립선 암, 영양 및 건강보조식품

Green Tea

녹차

Overview

개요

This section contains the following key information:

이편에는 다음과 같은 핵심 정보가 담겨있다:

•All tea originates from the Camellia sinensis (L.) Kuntze plant, and the methods by which the leaves are processed determine the type of tea produced. For green tea, the leaves are steamed and dried.

모든 차茶는 Camellia sinensis (L.) Kuntze plant에 기원을 두고, 그 잎을 가공하는 방식에 따라 생산된 차의 종류가 정해진다. 녹차는 잎을 쪄서 말린 것이다.

•Some research suggests that green tea may have a protective effect against cardiovascular disease and against various forms of cancer, including prostate cancer.

일부 연구에 의하면, 녹차는 심혈관 질환과 전립선암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암에 대한 예방효과가 있을지 모른다고 한다.

•Catechins are polyphenol compounds in tea that are associated with many of tea’s proposed health benefits.

카테킨은 차의 들어 있는 폴리페놀 화합물로서 차에 많다고 하는 건강에 좋은 것들과 유관하다.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the most abundant catechin in tea, acts as an androgen antagonist and can suppress prostate cancer cell proliferation, suppress production of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by prostate cancer cells, and increase prostate cancer cell death in vitro .

차에서 가장 풍부한 카테킨인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는 안드로겐(남성호르몬)의 길항제로 작용하며, 전립선암 세포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으며 전립선 암세포에 의한 전립선 특수 항원의 생산을 억제하고 시험관실험에서 전립선암세포의 사망을 증가시킬 수 있다.

•Results from one in vitro study showed that prostate cancer cells were less susceptible to radiation -induced apoptosis when exposed to EGCG 30 minutes before radiation exposure.

한 시험관 실험의 결과는 전립선암 세포는 방사선에 노출되기 전에 EGCG에 30분 노출되면 방사선에 유도된 세포자살에 덜 민감해짐을 보였다.

•Oral intake of either a green tea catechin solution or EGCG alone was associated with reduced development of prostate cancer in studies with transgenic adenocarcinoma of the mouse prostate (TRAMP) mice.

녹차 카테킨용액이나 EGCG 중 하나라도 경구 섭취하면, 생쥐 전립선 선암이식의(TRAMP) 생쥐 연구에서 전립선암의 발병 감소와 연관이 있었다.

•Epidemiologic studies of Japanese men have generally not shown a relationship between reported green tea consumption and prostate cancer development, but at least one study has shown an associ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advanced prostate cancer.

일본 남성들 대상의 역학조사에서는 보고된 녹차 소비량과 전립선암 발병간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않았지만, 최소한 진행성 전립선암의 발병과의 관련성은 보였다.

•Results from a small placebo-controlled study of green tea catechins in men with high-grade prostatic intraepithelial neoplasia (HGPI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development of prostate cancer among men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the catechin supplement. A larger, multicenter, randomized trial is now under way.

고 등급 전립선 상피내 신생물(HGPIN)이 있는 남성들 대상으로 녹차 카테킨을 시험한 한 건의 소형 플라시보 통제실험의 결과는, 카테킨 보조제를 투여 받도록 무작위로 배정된 남성들 중에 전립선암의 발병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감소를 보였다. 보다 대형의 다중센터, 무작위 실험이 현재 진행 중이다.

•Studies of orally administered mixtures of tea catechins in men with prostate cancer have begun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biologic effects in this setting but are too preliminary to draw conclusions about clinical effectiveness.

전립선암 환자 대상의 차 카테킨 혼합물의 경구투여 연구는 이 환경에서 생물학적 효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이미 시작했지만, 임상적 효과에 대한 결론을 끌어내기에는 너무 초기단계이다.

•Green tea has been well tolerated in clinical studies of prostate cancer patients, with the most common side effects being mild gastrointestinal symptoms.

녹차는 전립선암 환자들의 임상실험에서 잘 견디며 가장 흔한 부작용이 경미한 위장관계 증상이다.

General Information and History

일반정보 및 역사

Sailors first brought tea to England in 1644, although tea has been popular in Asia since ancient times. After water, tea is the most consumed beverage in the world.[1] Tea originates from the C. sinensis plant, and the methods by which the leaves are processed determine the type of tea produced. Green tea is not fermented but is made by an enzyme deactivation step where intensive heat (i.e., roasting the freshly collected tea leaves in a wok or, historically, steaming the leaves) is applied to preserve the tea's polyphenols (catechins) and freshness. In contrast, the enzyme catalyzed polymerization and oxidation of catechins and other components produces darker colored black tea.[2] Oolong, the third major type of tea, contains polyphenols that are partially oxidized.[1]

차는 옛날부터 아세아에서는 많이들 즐겼지만 1644년, 뱃사람들이 영국에 차를 처음 들여왔다. 물 다음으로, 차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음료이다. 차는 중국산 차나무에서 기원하며, 잎을 가공하는 방법에 따라 제품의 종류가 결정된다. 녹차는 발효시키지 않고 차의 폴리페놀(카테킨)과 신선함을 보존하기 위해 강력한 열(예를 들면, 웍/중국요리냄비에 신선한 찻잎을 넣고 볶거나 혹은 전통적으로 잎을 찐다.)을 투입하는 효소의 작용을 중지함으로써 만든다. 대조적으로, 효소가 중합과 카테킨과 다른 물질의 산화를 촉진하면 보다 짙은 색의 홍차가 만들어진다. 세 번째로 주요한 차종인 우룽차는 부분적으로 산화된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다.

The English word “tea” has its origins in China. Ch'a is the Mandarin word for “tea.” In the dialect spoken in the southern Chinese province of Fujian, the word for “tea” was pronounced “tay.” This term was borrowed by European traders who bought tea at the southern Chinese ports, and it evolved into tea (English), thé (French), and Tee (German). “Tea” is also used to describe infusions of medicinal herbs, such as sage and calamint.[3] In this PDQ information summary, “tea” refers to the leaves of the C. sinensis plant or the beverage brewed from those leaves.

영어의 “tea"라는 단어의 기권은 중국어에 기원한다. 차는 중국 표준어로 ”tea"를 말한다. 중국 남부 푸젠성 사투리로 "tea"는 “테이”로 발음된다. 이 단어를 남부 중국의 항구에서 차를 구입한 유럽 상인들이 빌려 쓰고 그것이 영어로 “tea" 불어로”the" 및 독일어로 “tee"로 변했다. ”Tea"는 세이지나 탑꽃 같은 약용 식물의 달인 물을 설명할 때도 사용된다. 이 PDQ 정보요약에서는, “tea"는 차나무의 잎이나 혹은 그런 잎으로 끓인 음료를 칭한다.

Some observational and interventional studies suggest that green tea may have a protective effect against cardiovascular disease,[4] and there is evidence that green tea may protect against various forms of cancer.[5] Many of the health benefits associated with tea have been attributed to polyphenols. Catechins compose most of the polyphenols found in tea; of these,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has been the most widely researched.[6] Tea leaves also contain considerable amounts of oligomeric catechins, commonly known as oligomeric proanthocyanidins. Together with the catechin monomers, they constitute the green tea polyphenols (GTPs). GTP composition varies widely, depending on processing and source of the tea leaves.

녹차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효과가 있을 수 있고 또 다양한 형태의 암을 예방할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고 일부 관찰 및 개입치료 연구에서 시사한다. 차와 관련된 건강상의 이점 중 다수는 폴리페놀의 작용이다. 카테킨은 차에서 발견되는 폴리페놀의 대부분을 구성한다. 이 중에서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는 가장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 찻잎은 또한 흔히 소중합 프로안토시아니딘이라 불리는 소중합 카테킨을 상당량 함유하고 있다. 카테킨 단량체와 더불어 소중합 카테킨은 녹차 폴리페놀(GTPs)을 형성한다. GTPs은 가공방법과 어느 찻잎이냐에 따라 아주 다양하다.

Preclinical/Animal Studies

임상 전/동물실험

In vitro studies

시험관 실험

Laboratory experiments have increased our understanding of the reported associations between green tea and prostate cancer. For example, in one study, prostate cancer cells treated with EGCG (concentrations, 0–80 μM) demonstrated suppressed cell proliferation and decreased levels of PSA protein and mRNA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drogen.[7]

실험실의 연구를 통하여 녹차와 전립선암 간의 그간 보고된 연관성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었다. 예를 들면, 한 연구에서, EGCG(농도, 0-80μM)로 치료한 전립선암 세포는 세포의 확산 억제와 안드로겐 유무와 관계없이 PSA단백질과 mRNA 수치 억제를 시현하였다.

In a 2011 study, human prostate cancer cells were treated initially with EGCG (concentrations, 1.5–7.5 μM) and then with radi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exposing cells to EGCG for 30 minutes before radiation significantly reduced apoptosis, compared to radiation alone.[8]

2011년 실험에서, 인간 전립선암 세포를 먼저 EGCG(농도, 1.5-7.5μM)로 치료하고 다음에 방사선으로 치료하였다. 결과는 방사선 치료 전에 EGCG에 30분간 노출된 세포들은 방사선 치료만 한 세포에 비해 세포자살(사망)이 눈에 띄게 줄었다.

In another study, prostate cancer cells treated with EGCG (0–50 μM) exhibited dose-dependent decreases in cellular proliferation and increases in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1/2 activity. To further examine the effect of EGCG on the ERK 1/2 pathway, cells were treated with EGCG (0–50 μM) and a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EK) inhibitor or phosphoinositide-3 kinase (PI3K) inhibitor. Inhibition of MEK did not prevent ERK 1/2 upregulation, although the increase in ERK 1/2 after EGCG treatment was partially inhibited with the PI3K inhibito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GCG may prevent prostate cancer cell proliferation by increasing the activity of ERK 1/2 via a MEK-independent, PI3K-dependent mechanism.[9]

또 다른 연구에서, EGCG(0-50μM)로 치료한 전립선암 세포는 세포 확산이 복용량에 따른 감소와 세포외 신호조절 키나제(ERK) 1/2 작용의 증가를 보였다. ERK1/2 경로에 관한 EGCG의 효과를 더 연구하기 위해, 세포들을 EGCG(0-50μM)와 미토겐 활성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MEK) 혹은 포스포이노스티드-3 키나제 억제제(PI3K)로 치료하였다. 비록 EGCG 치료 후 ERK 1/2의 증가가 부분적으로 PI3K 억제제를 억제하지만 MEK는 ERK1/2 상향조절을 예방하지 못했다. 이 발견이 의미하는 바는, EGCG는 MEK와 무관하고 PI3K 의존적인 메커니즘을 통하여 ERK1/2의 작용을 증가시킴으로써 전립선암 세포의 확산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According to a 2010 study, EGCG treatment (20–120 μM) resulted in changes in expression levels of 40 genes in prostate cancer cells, including a fourfold downregulation of inhibitor of DNA binding 2 (ID2; a protein involved in cell proliferation and survival). In addition, forced expression of ID2 in cells treated with 80 μM EGCG resulted in reduced apoptosis, suggesting that EGCG may cause cell death via an ID2-related mechanism.[10]

한 건의 2010년 연구에 의하면, EGCG 치료를 하면 DNA 결합 억제제 2(ID2; 세포의 확산과 생존에 관여하는 단백질)가 4배 하향조절 되는 것을 포함해 전립선 암세포의 40개 유전자의 발현 수치에 변화가 초래된다. 더욱이, 80 μM EGCG로 치료한 세포에서 ID2의 강제적 발현은 세포자살(사망)의 감소로 이어지는데, 이것은 EGCG는 ID2 관련 메커니즘을 통하여 세포사망을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dvances in nanotechnology—“nanochemoprevention”—may result in more effective administration of EGCG to men at risk of prostate cancer. Prostate cancer cells were treated with EGCG-loaded (100 μM EGCG) nanoparticles or free EGCG. Although both treatments decreased cell proliferation and induced apoptosis, the nanoparticle treatment had a greater effect at a lower concentration than did free EGCG. This finding suggests that using a nanoparticle delivery system for EGCG may increase its bioavailability and improve its chemopreventive actions.[11] In another study, EGCG (30 μM) was encapsulated in nanoparticles that contained polymers targeting prostate-specific membrane antigen (PSMA). Prostate cancer cells treated with this intervention exhibited decreases in proliferation; however, the intervention did not affect nonmalignant control cells. The results suggest that this delivery system may be effective for selective targeting of prostate cancer cells.[12]

나노 기술 즉 나노화학예방의 진보는 전립선암 위험이 있는 남성에게 보다 효과적인 EGCG의 투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전립선암 세포는 EGCG(100 μM EGCG)가 장착된 나노 입자나 혹은 자유로운 EGCG로 치료한다. 두 치료 모두 세포 확산을 감소시키고 세포 자살을 유도하지만, 나노입자 치료법은 자유로운 EGCG 치료보다 저 농도에서도 더 큰 효과를 갖는다. EGCG에 대한 나노입자 전달 시스템을 이용하면 그 생체 이용률을 높이고 그 화학예방작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연구에서, EGCG는 전립선 특수막 항원(PSMA)을 겨냥하는 중합체(고분자)를 포함한 나노입자에 캡슐에 넣어졌다. 이런 개입치료로 처치 받은 전립선 암세포들은 확산의 감소를 보였지만 개입치료는 비 악성 통제군 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 전달시스템은 전립선암 세포를 선별적으로 겨냥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결과가 시사한다.

Research also suggests that glutathione-S-transferase pi (GSTP1) may be a tumor suppressor and that hypermethylation of certain regions of this gene (i.e., CpG islands) may be a molecular marker of prostate cancer. Increased methylation leads to silencing of the gene. A set of experiment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reen tea polyphenols on GSTP1 expression. Treatment of different types of prostate cancer cells with green tea polyphenols (1–10 μg/mL Polyphenon E) resulted in re-expression of GSTP1 by reversing hypermethylation and by reducing expression of methyl-CpG binding domain (MBD) proteins, which bind to methylated DN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reen tea polyphenols may have chemopreventive effects via actions on gene-silencing processes.[13]

글루타티온-S-전달효소 pi(GSTPI)는 종양 억제제일 수 있으며, 이 유전자의 어떤 부위의 과메틸화(예를 들면, CpG섬)는 전립선암의 분자 표지자일 수 있다고 연구에서 시사한다. 과메틸화의 증가는 유전자의 침묵(발현억제)을 유도할 수 있다. 일련의 실험을 통하여 글루타티온 -S-전달효소 pi(GSTPI)의 발현에 관한 녹차 폴리페놀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녹차 폴리페놀로 다양한 종류의 전립선암 세포를 치료하면, 과메틸화의 역전과 메틸화 DNA에 결합하는 메틸l-CpG 결합 도메인 (MBD) 단백질의 발현 감소에 의한 GSTOI의 재 발현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런 결과는, 녹차 폴리페놀이 유전자-침묵(억제) 과정의 작용을 통하여 화학예방적 효과가 날 수 있음을 암시한다.

The results of a 2011 study suggested that green tea polyphenols may exert anticancer effects by inhibiting histone deacetylases (HDAC). Class 1 HDACs are often overexpressed in various cancers, including prostate cancer. Treatment of human prostate cancer cells with green tea polyphenols (10–80 μg/mL Polyphenon E) resulted in decreased class I HDAC activity and increased expression of Bax, a proapoptotic protein.[14]

2011년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녹차 페놀은 히스톤 디아세틸라제(탈아세틸화효소)(HDAC) 를 억제하여 항암 효과를 행사할 수 있다. Class 1 HDACs는 전립선암을 포함한 다양한 암에서 가끔 과잉발현 된다. 녹차 폴리페놀(10–80 μg/mL Polyphenon E)로 인간 전립선암 세포를 치료하면 Class 1 HDAC 작용 감소와 전구세포사멸 단백질인 백스의 발현증가를 초래한다.

Owing to the high concentrations of tea polyphenols used in some of the in vitro experiments, results should be interpreted with caution. Studies in humans have indicated that blood levels of EGCG are 0.1 to 0.6 µM after consumption of two to three cups of green tea and that drinking seven to nine cups of green tea results in EGCG blood levels still lower than 1 μM.[15,16] A 1 μM solution of EGCG would contain 0.458 μg of EGCG per mL.

일부 시험관 실험에서 사용되는 고농도의 차 폴리페놀을 감안하여, 실험결과의 해석에는 크게 주의를 해야 한다. 2내지 3잔의 녹차를 마신 후 EGCG의 혈액 수치는 0.1에서 0.6 µM(마이크로 몰)이며 녹차를 7내지 9잔을 마셔도 EGCG 혈액 수치는 아직 1μM 이하인 것을 인체실험에서 보여준다. EGCG 1 마이크로 몰은 ml당 EGCG가 0.458마이크로 그램을 함유하고 있다.

Animal studies

동물실험

Animal models have been used in numerous studies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green tea on prostate cancer. In one study, TRAMP mice were given access to water or green tea catechin-treated water (0.3% green tea catechin solution; this exposure mimics human consumption of 6 cups of green tea daily). After 24 weeks, water-fed TRAMP mice had developed prostate cancer whereas mice treated with green tea catechins showed only PIN lesions, suggesting that green tea catechins may help delay the development of prostate tumors. Furthermore, the results showed that mice treated with green tea catechins had lower prostate tissue levels of MCM7 (a protein that is important in DNA replication and that is up-regulated during cancer progression) than mice treated with water, suggesting that green tea may delay prostate cancer progression by inhibiting MCM7 expression.[17] In another study, castrated mice were injected with prostate cancer cells and then treated daily with intraperitoneal injections of 1 mg EGCG or vehicle. Treatment with EGCG resulted in reductions in tumor volume and decreases in serum PSA levels compared to vehicle treatment. These results provide a rationale for the exploration of EGCG treatment in patients with advanced prostate cancer.[7]

동물표본은 여러 연구에 사용되어 전립선암에 대한 녹차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한 연구에서, TRAMP(생쥐전립선암을 이식한)생쥐에게 물이나 녹차 카테킨을 녹인 물(0.3% 녹차 카테킨 용액; 이것은 인간이 매일 녹차 6잔을 마시는 것에 해당)을 먹도록 했다. 24주 후, 물을 먹인 TRAMP 생쥐는 전립선암이 발병한 반면, 녹차 카테킨 용액을 먹인 생쥐는 녹차 카테킨은 전립선 종양의 발병을 지연 시킬 수 있음을 암시하는 단지 PIN(전립선 상피 내 신생물) 병소만 나타났다. 더욱이, 물을 먹인 생쥐에 비해 녹차 카테킨으로 치료한 생쥐는 전립선조직의 MCM7(DNA의 복제에 중요하고, 암이 진행될 때 상향조절 하는 단백질) 수치가 보다 낮게 나타나, 녹차는 MCM7의 발현을 억제하여 전립선암의 진행을 지연시킬 수 있음을 암시하였다. 또 다른 연구에서, 거세한 생쥐에게 전립선암 세포를 주사하고, 그리고는 매일 1mg의 EGCG 복강내 주사나 혹은 전색체(용매)로 치료하였다. EGCG로 치료는 전색체로 치료보다 종양의 크기와 혈청 PSA(전립선 특이 항원) 수치를 줄였다. 이 결과는 진행성 암환자에 대한 EGCG 치료 탐색의 이유를 제공한다.

In a 2011 study, EGCG was shown to be an androgen antagonist; when added to prostate cancer cells, EGCG physically interacted with the androgen receptor’s ligand-binding domain. In addition, mice implanted with tumor cells and treated with EGCG (intraperitoneal injections of 1 mg EGCG, 3/week) exhibited less androgen receptor protein expression than did mice that were treated with vehicl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beneficial effects of green tea may be a result of EGCG’s inhibitory actions on the androgen receptor, and, because androgen receptor signaling is generally intact in hormone-refractory and hormone-sensitive prostate cancer, green tea has the potential to be useful in both forms of the disease.[18]

한 건의 2011년 연구에서, EGCG은 안드로겐의 길항제임을 보였다. 즉, EGCG를 전립선암 세포에 덧붙였을 때, EGCG는 안드로겐 수용기(체)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과 물리적으로 상호작용을 하였다. 더욱이, 암세포를 심어놓고, EGCG로 치료(주 3회, EGCG 1mg을 복강 내 주사)한 생쥐는 전색제로 치료한 생쥐보다 안드로겐 수용기 단백질 발현을 덜 보여주었다. 이런 발견(결과)이 암시하는 바는, 녹차의 유용한 효과는 안드로겐 수용기에 대한 egcg의 억제작용의 결과일 수 있으며, 안드로겐 수용기의 신호전달은 호르몬에 내성을 보이고 또 호르몬에 민감한 전립선암에서는 보통 손상을 받지 않으므로, 녹차는 이런 종류의 질환 모두에 유용할 잠재력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The age at which green tea consumption begins may determine how effective it is in prostate cancer prevention. In a 2009 study, TRAMP mice were started on a green tea polyphenol intervention (0.1% green tea polyphenols in drinking water) at various ages (meant to represent different stages of prostate cancer development).[19] The results showed that, although all of the green tea–fed mice exhibited longer tumor-free survival than did water-fed control mice, there was an advantage for the mice that were fed with green tea the longes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reen tea may be most beneficial in men diagnosed with early prostatic intraepithelial neoplasia (PIN) lesions, men who are at high risk of developing prostate cancer, or men who are undergoing watchful waiting.[19] In another study, EGCG treatment (0.06% EGCG in drinking water; this exposure mimics human consumption of 6 cups of green tea daily) was initiated in TRAMP mice at age 12 or 28 weeks. EGCG treatment suppressed HGPIN in mice treated at age 12 weeks; however, EGCG did not prevent prostate cancer development in mice that began treatment at age 28 weeks.[20] In a third study, TRAMP and wild-type mice were administered green tea polyphenols in drinking water (0.05% green tea polyphenols in drinking water) starting at 4 weeks or 25 weeks after weaning. Consumption of GTP did not affect prostate pathology, but there were systemic effects. Young animals who received green tea exhibited lower plasma lipid levels, regardless of genotype, than did older animals who received green te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ge and metabolic capacity may influence the chemopreventive effects of green tea polyphenols.[21] Using the TRAMP mice model,[22] one study demonstrated that oral infusion of GTP extract at a human-achievable dose (equivalent to 6 cups of green tea per day) significantly delayed primary tumor incidence and tumor burden, as assessed sequentially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decreased prostate weight (64% of baseline) and genitourinary weight (72%), inhibited serum insulin-like growth factor -1 (IGF-I), restored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 (IGFBP-3) levels, and produced marked reduction in the protein expression of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in the GTP-fed TRAMP mice, compared with water-fed TRAMP mice. Furthermore, GTP consumption caused significant apoptosis, which possibly resulted in reduced dissemination of cancer cells, thereby causing inhibition of development, progression, and metastasis to distant organ sites.

녹차 마시기를 시작하는 연령이 전립선암 예방에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2009년 실험에서, TRAMP 생쥐들은 다양한 나이(전립선암 발병의 다양한 병기를 나타내고자 함)에 녹차 폴리페놀 개입치료(음용수에 0.1%의 녹차 폴리페놀을 희석)를 시작하였다. 결과는, 녹차를 먹인 생쥐들이 물을 먹인 통제군 생쥐보다 무병 생존이 더 길었지만, 녹차를 먹인 생쥐들의 수명이 가장 길렀다는 이점이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런 발견의 결과는 녹차가 전립선암 위험도가 높거나 혹은 관찰 대기 중인 초기 전립선 상피 내 신생물(PIN) 병소의 진단을 받은 남성들에게 가장 이로운 것일 수 있음을 암시한다. 또 다른 연구에서, 12주 혹은 28주 나이의 TRAMP 생쥐에게 EGCG 치료(음용수에 0.6%의 EGCG를 희석; 이 양은사람이 매일 6잔의 녹차를 마시는 것에 해당)를 시작하였다. EGCG 치료는 12주의 나이에 치료한 생쥐에게 HGPIN(고등급 전립선 상피 내 신생물/전암상태)을 억제하였다. 그러나 EGCG는 28주 나이에 치료를 시작한 생쥐에게 전립선암의 발병을 예방하지 못했다. 세 번째 연구에서, TRAMP 및 야생 생쥐가 젖을 뗀 후 4주 혹은 25주에서 시작하여 음용수에 녹차 폴리페놀을 섞어(음용수에 0.05%의 녹차 폴리페놀 희석) 투여하였다. GTP(녹차 폴리페놀)의 섭취는 전립선 병리학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전신에 미치는 영향이 있다. 녹차를 투여 받은 어린 동물은 늙은 동물보다, 유전자형과 상관없이, 혈장지질 농도(수준)가 낮게 나타났다. 이런 발견은 연령과 대사능력은 녹차 폴리페놀의 화학예방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암시한다. TRAMP 생쥐 표본을 이용한 한 건의 연구에서, 사람이 섭취 가능한 투여량으로 GTP를 경구 투입한바, 원발 종양의 발생과 종양의 부담을 현저하게 줄였고, MRI로 순차적으로 검사했을 때, 전립선의 무게(기준선의 64%)와 비뇨생식기의 무게를 줄였으며(72%), 혈장의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1(IGF-1)을 억제하고, 인슐린유사 성장인자 결합 단백질 -3수치를 회복했으며, 물을 먹인 TRAMP 생쥐에 비해 녹차 폴리페놀을 먹인 TRAMP 생쥐의 증식 세포핵 항원의 단백질 발현이 눈에 띄는 감소를 초래했다. 더욱이, GTP의 섭취는 현저한 세포사망(자살)유발하여, 결과적으로 암세포의 전파 감소로 이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암의 발병과 진행 및 먼 장기로 전이를 억제한다.

These disparate observations in preclinical trials may be attributed to the pharmacokinetic properties of the individual catechin (i.e., EGCG vs. whole green tea polyphenols). Compared with green tea polyphenols, EGCG has relatively low oral bioavailability, possibly because of slow absorption and high metabolic clearance by the liver.[23,24] Other potential confounders may include dosage, method of infusion, duration of intervention, and timing of castration, all of which may influence the markers of progression and the antioxidant property of EGCG. Oral administration of GTP, versus pure EGCG, in drinking water to TRAMP mice may have contributed to higher systemic exposure compared with gavage administration. This may explain the protective effects observed,[19,22,25,26] compared with studies that failed to demonstrate similar effect.[23] Overall, these preclinical studies have informed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GTP in prostate cancer prevention and treatment.

임상 전 실험에서 이런 상이한 관찰결과는 개개의 카테킨의 약물 동력학적 성분의 차이 때문일 수 있다(예를 들면, EGCG 대 전 녹차 폴리페놀). 녹차 폴리페놀에 비해 EGCG는 상대적으로 낮은 경구 생체 이용율을 갖고 있는데, 아마도 간에 의한 느린 흡수와 높은 대사제거율 때문일 것이다. 다른 잠재적인 교란인자는 복용량과 투여 방법, 치료 기간, 및 거세의 타이밍 등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런 모든 것들이 EGCG의 진행의 표지와 항산화 성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순수한 EGCG와 대조적으로, TRAMP 생쥐에게 물에 탄 녹차 폴리페놀의 경구 투여는 튜브식 투여에 비해 보다 높은 전신 노출에 기여했을 수도 있다. 유사한 효과를 보여주지 못한 연구들과 비교할 때, 이것이 관찰된 보호효과를 설명해줄 열쇠일 수 있다. 총체적으로, 이런 임상 전 실험들은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 기획과 녹차 폴리페놀의 평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Safety Animal Studies

안전성 동물 실험

In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s (NCI) Division of Cancer Prevention (DCP) 9-month oral toxicity study, Polyphenon E, a botanical drug substance containing a mixture of catechins, was administered (200, 500, or 1000 mg/kg/day) to fasted male and female beagle dogs. The study was terminated prematurely because of excessive loss of animals due to morbidity and mortality in all treatment groups. Gross necropsy revealed therapy-induced lesion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liver, kidneys, reproductive organs, and hematopoietic tissues of treated male and female dogs. An investigation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toxicity is ongoing; administration of the agent to fasted dogs may have caused increased toxicity in the 9-month versus 13-week NCI DCP-sponsored follow-up study. In the 13-week follow-up study, the no-observed-adverse-effect–level was greater than 600 mg/kg/day of Polyphenon E. Nonspecific toxicity and a tenfold reduction in the maximum tolerated dose in fasted versus fed beagle dogs were also seen in another published 13-week toxicity study using a purified GTE containing less than 77% EGCG.[27] However, in the follow-up NCI DCP-sponsored study in fed versus fasted dogs using several Polyphenon E formulations, no deaths occurred; numerous biochemical endpoints are currently being evaluated.

국립 암 연구소의 암 예방부서에서 실시한 9개월간의 경구 독성 실험에서, 카테킨 혼합물을 함유한 식물성 약물인 폴리페논 E를 굶긴 암수의 비글 견들에게 투여하였다(매일, 체중 1kgekd 200, 500, 혹은 1,000mg씩). 이 연구는 모든 치료 그룹에서 유병과 사망에 의한 과도한 동물 손실로 인하여 조기에 종료되었다. 부검 결과, 치료를 받은 암수 견들의 위장관계와 간, 신장, 생식기, 및 조혈조직에서 치료로 인한 병소들을 밝혀냈다. 독성의 원인을 밝혀내려는 조사가 현재 진행 중이다. 9개월 대 NCI의 DCP가 후원한 13주의 후속관찰에서 굶긴 개에게 약물을 투여한 것이 독성을 유발했을 수도 있다. 13주의 후속 연구에서, the no-observed-adverse-effect–level은 폴리페논 E(상표명)를 매일, 체중 1kg당 600mg의 투여보다 더 컸다.(?) 굶긴 비글 견 대 먹인 비글 견들을 대상으로, 비 특이성 독성과 최대 내량耐量의 10배 감소가 EGCG가 77% 적게 포함된 정제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또 다른 발표된 13주 독성 연구에서도 나타났다. 그러나 몇 가지 폴리페논 E 제제를 사용하여, 먹인 개 대 굶긴 개를 대상으로 NCI DCP가 후원한 후속 연구에서는, 아무 사망도 발생하지 않았다. 수많은 생화학적 연구 종단점을 현재 평가 중이다.

Human Studies

인체 연구

Epidemiologic studies

역학적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green tea intake and prostate cancer has been examined in numerous clinical studies.

녹차의 섭취와 전립선암간의 관계는 수많은 임상실험에서 시험되어 왔다.

A 2011 meta-analysis examined the consumption of green and black tea and prostate cancer risk. For green tea, seven observational studies were identified, and most were from Asia. The results indic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verse association between green tea consumption and prostate cancer risk in the three case control studies, but no association was found in the four cohort studies. For black tea, no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black tea consumption and prostate cancer risk. The inconsistent results reported in these population studies may be attributed to confounding factors that include consumption of salted or very hot tea, geographical location, tobacco and alcohol use, and other dietary differences.[28-32] Overall, findings from population studies suggest that green tea may help protect against prostate cancer in Asian populations.[33] Currently, there are no epidemiological studies in other populations examining the association between green tea consumption and prostate cancer risk or protection from risk. With the increasing consumption of green tea worldwide, including by the U.S. population, emerging data from ongoing studies will further contribute to defining the cancer preventive activity of green tea or green tea catechins.

2011년에 실시한 한 건의 메타분석에서 녹차 및 홍차의 섭취와 전립선암의 위험을 시험하였다. 녹차의 경우, 7건의 관찰 연구를 찾아냈고 그 대부분이 아세아에서 실시된 것이었다. 3건의 사례 통제연구에서 결과는 녹차 소비와 전립선암 간에 통계적으로 뚜렷한 반비례적 연관성을 나타냈지만, 4개 집단연구에서는 아무 연관성도 발견할 수 없었다. 홍차의 경우, 홍차소비와 전립선암 간에 아무 연관도 찾을 수 없었다. 이런 집단연구에서 보고된 일관성이 없는 결과들은 소금을 타거나 혹은 너무 뜨겁게 마시는 것과 지리적 위치, 흡연과 음주, 및 기타 식사의 차이 등을 포함한 교란요소들 탓일 수 있다. 종합하면, 집단연구의 결과는 녹차는 아세아 사람들 집단에서 전립선암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현재, 다른 집단을 대상으로 녹차소비와 전립선암의 위험과 위험으로부터 보호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는 역학조사는 없다. 미국인들을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녹차소비의 증가와 더불어 진행 중인 연구들에서 나오는 데이터들은 녹차나 혹은 녹차의 카테킨의 암 예방작용을 밝히는데 더 많은 공헌을 할 것이다.

Safety Studies

안전성 연구

The safety of tea and tea compounds is supported by centuries of consumption by the human population. In four phase I, single-dose and multidose studies targeting healthy volunteers who took a botanical drug substance containing a mixture of catechins, Polyphenon E containing a dose range of 200 to 1200 mg EGCG was well tolerated.[34-37] Adverse effects have generally been mild, with no serious adverse events reported. Adverse effects reported with a possible relationship to the study drug included asthenia, headache, abdominal pain, chest pain, diarrhea, dyspepsia, eructation, flatulence, nausea, vomiting, dizziness, vasodilation, and rash. No grade 3 or higher events were reported with a possible relationship to study drug. Grade 2 events reported with a possible relationship to study drug included asthenia, headache, abdominal pain, dyspepsia, nausea, and rash. The most frequent events in completed studies that at times were considered drug-related included headache, nausea, abdominal pain, diarrhea, dyspepsia, dizziness, and asthenia.[34] Gastrointestinal adverse effects were usually mild, seen most often in the fasting condition and at the highest dose level. Onset of gastrointestinal events typically occurred within 2 to 3 hours of dosing and resolved within 2 hours. Headaches and fatigue were not dose-related and may have been related to abstinence from caffeine or other procedure-related stresses.

차와 차 혼합물의 안전성은 수세기 동안의 인류에 의한 소비가 뒷받침하고 있다. 카테킨 혼합물을 함유한 식물성 약물을 복용한 건강한 지원자들을 겨냥한 1회 복용 및 다중 복용 연구인 1상 실험 4건 중에, 복용량 범위가 200에서 1,200mg의 EGCG를 포함한 폴리페논 E(상품명)는 환자들이 잘 견딜 만했다. 부작용은 대체로 경미했으며 심각한 부작용 사건은 보고된 것이 없다. 연구 약물과 잠재적 관계가 있다고 보고된 부작용은 무기력과 두통, 복통, 흉통, 설사, 소화불량, 트림, 고창/속이 부글거림, 구역질, 구토, 어지럼증, 혈관확장, 및 발진 등이 포함된다. 연구 약물과 잠재적 관계가 있는 3등급 혹은 그 이상의 사고보고는 없었다. 연구 약물과 잠재적 관계로 보고된 2등급(중간 정도) 사고는 무기력과 두통, 복통, 소화불량, 구역질 및 발진이었다. 완료된 연구 중에서, 당시 약물과 관련되었다고 간주된 가장 흔했던 사고는 두통과 구역질, 복통, 설사, 소화불량, 어지럼증, 및 무기력 등이다. 위장관계의 부작용은 대체로 경미했고, 단식 상황과 최대 투여량 수준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위장관계 사고의 시작은 복용 2-3시간 내에 발생했으며 2시간 이내에 해소되었다. 두통과 피로는 복용과 관련이 없으며 카페인의 자제나 기타 시술관련 스트레스와 유관할 수 있다.

In recent years, oral consumption of varying doses and compositions of green tea extracts (GTEs) has been associated with several instances of hepatotoxicity.[27,38-40] Most affected patients were women, and many were consuming GTEs for the purpose of weight loss. Although hepatotoxicity in most cases resolved within 4 months of stopping GTE, there have been cases of positive rechallenge and liver failure requiring liver transplantation. One report described a case of acute liver failure that required transplantation in a woman who consumed green tea extract capsules.[39] The capsules contained Polyphenon 70A and 120 mg green tea extract. Because no other causal relationship could be identified, the treating physicians concluded that the fulminant liver failure experienced by this patient was most likely related to the consumption of over-the-counter GTE weight-loss supplements. In addition, the sale of an ethanolic GTE sold as a weight-reduction aid was suspended in 2003 after reports associated hepatotoxicity (four cases in Spain and nine cases in France) with its use.[40] Time to onset of hepatotoxicity following ingestion of GTEs ranged from several days to several months. Increased oral bioavailability occurs when GTEs are administered on an empty stomach after an overnight fast. Increased toxicity, including hepatotoxicity, is observed when Polyphenon E or EGCG is administered to fasted dogs.[27] Therefore, the FDA Division of Drug Oncology Products has recommended that Polyphenon E be taken with food by subjects participating in clinical studies. In addition, subjects should have liver function tests performed while on treatment.

근년에는, 다양한 함량과 구성의 녹차 추출물의 구두 소비는 몇 건의 간독성 사건과 관련이 있다. 대부분의 피해자들은 여성들이며 많은 여성들이 체중감소의 목적으로 GTE(녹차 추출물)를 복용했다. 대부분의 사례 중 간독성은 GTE 중단 4개월 이내에 해소되었지만, 긍정적인 재도전과 간이식이 필요한 간부전의 사례가 몇 건 발생하였다. 한 보고서에서는 녹차 추출물 캡슐을 복용한 여성에게 이식이 필요한 급성 간부전 사례를 한 건 서술했다. 캡슐에는 폴리페논 70A와 120mg의 녹차 추출물이 포함되었다. 다른 일상적인 관련은 찾을 수 없었기 때문에, 치료한 의사들은 이 환자가 겪은 전격성 간부전은 (처방전이 필요 없는)약국에서 구입한 GTE 체중감량 보조제의 복용과 가장 유관하다고 결론지었다. 더욱이, 체중감소 보조제로 팔리는 에타놀에 탄 GTE의 판매는 그것의 사용과 관련된 간독성 보고(스페인에서 4건 및 프랑스에서 9건) 후 2003년에 판매가 중지되었다. GTE 섭취에 따른 간독성의 시작은 수일부터 수개월까지 걸린다. 밤새 금식 후 공복에 GTE를 투여하면 구두 생체 이용률이 증가한다. 간 독성을 포함한 독성의 증가는 폴리페논E와 EGCG를 금식시킨 개에게 투여했을 때 관찰되었다. 따라서 FDA의 약물 종양학 제품과(Division of Drug Oncology Products)는 임상실험 참가자은 폴리페논 E를 음식과 함께 복용할 것을 권장했다. 덧붙여, 실험 대상자들은 치료 중에는 간 기능 검사를 받아야했다.

Green tea has been well tolerated in clinical studies of patients with prostate cancer.[41-43] In a 2005 study, the most commonly reported side effects were gastrointestinal symptoms. These symptoms were mild for all but two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severe anorexia and moderate dyspnea.[44] There is evidence that long-term consumption of ten or more cups of green tea daily may cause headaches, which may be related to the caffeine content in the tea.[45]

전립선암 환자들의 임상실험에서 녹차는 환자들이 잘 견디었다. 한 건의 2005년 실험에서, 가장 흔히 보고된 부작용은 위장관胃腸管 계통의 증상이었다. 이 증상은 심한 거식증과 중간 정도의 소화불량을 겪은 두 환자를 제외한 전부가 경미했다. 매일 10잔 이상의 녹차를 장기적으로 마시면 두통을 야기할 수있다는 증거가 있는데, 이는 차 속의 카페인 함량과 관계가 있을 수 있다.

Intervention studies

개입치료 연구

Prevention

예방

In a single-center Italian study, 60 men diagnosed with high-grade prostatic intraepithelial neoplasia (HGPIN)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green tea catechin capsules (600 mg green tea catechins daily) or a placebo every day for 1 year. After 6 months, 6 of the 30 men in the placebo group were diagnosed with prostate cancer, whereas none of the 30 subjects in the green tea catechin group were diagnosed with prostate cancer. After 1 year, nine men in the placebo group and one man in the green tea catechin group were diagnosed with prostate cancer (P < .01).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reen tea catechins may help prevent prostate cancer in groups at high risk for the disease.[41] In 2008, follow-up results to this study were published, indicating that the inhibitory effects of green tea catechins on prostate cancer progression were long-lasting.[46] A larger, multicenter, randomized trial (NCT00596011) in the United States studied men with either HGPIN or atypical small acinar proliferation (ASAP) who received a green tea catechin mixture (Polyphenon E, 200 mg, twice a day).[47] Results are pending.

단일 센터의 이탈리아 실험에서, 고 등급 전립선 상피 내 신생물(HGPIN) 진단을 받은 60명의 남성들은 1년간 녹차 카테킨 캡슐 치료(매일, 600mg의 녹차 카테킨)를 받거나 혹은 플라시보에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6개월 후, 플라시보 그룹의 30명 중 6명이 전립선암 진단을 받은 반면, 녹차 카테킨 그룹의 30명 중 아무도 전립선암 진단을 받지 않았다. 1년 후, 플라시보 그룹의 9명과 녹차 카테킨 그룹의 1명이 전립선암 진단을 받았다. 이 발견은 녹차 카테킨이 이 질환의 고 위험 그룹에게 전립선암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암시하였다. 2008년에, 녹차 카테킨의 억제효과는 전립선암의 진행에 오래 지속된다는 사실을 알리는 이 연구의 후속 결과가 발표되었다. 미국에서 한 건의 대형, 다중센터, 무작위 실험에서 녹차 카테킨 혼합물을 투여 받은(매일 2회, 폴리페논 E 200mg) HGPIN이나 혹은 비정형 소선포 증식(ASAP)이 있는 남성들을 조사하였다. 결과는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Treatment

치료

Preoperative therapy

수술 전 치료

In one study, patients scheduled for radical prostatectomy were randomly assigned to drink green tea, black tea, or a soda five times a day for 5 days. Bioavailable tea polyphenols were found in prostate samples of the patients who had consumed green tea and black tea. In addition, prostate cancer cells were treated with participants’ serum,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less proliferation using post-tea serum than using serum obtained before the tea intervention.[48] In another study, prostate cancer patients scheduled to undergo radical prostatectomy were randomly assigned to drink six cups of green tea or water daily for 3 to 6 weeks before surgery. An analysis of prostate tissue obtained from the green tea drinkers revealed that both methylated and nonmethylated forms of EGCG are found in the prostate following a short-term treatment with green tea, with 48% of EGCG in the methylated form. Methylated forms of EGCG are not as effective as EGCG in inhibiting cell proliferation and inducing apoptosis in prostate cancer cells, suggesting that methylation status of EGCG may affect the chemopreventive properties of green tea. Methylation status may be determined by polymorphisms of the catechol -O-methyltransferase (COMT; the molecule that methylates EGCG) gene.[42]

한 연구에서, 근치적 전립선절제술 스케줄이 잡힌 환자들은 무작위로 5일간 녹차나 홍차 혹은 소다수를 매일 5차례 마시도록 배정하였다. 생체 활용 가능한 차 폴리페놀이 녹차와 홍차를 복용한 환자들의 전립선 표본에서 발견되었다. 덧붙여, 전립선암 세포는 환자들의 혈청으로 치료를 받았고, 그 결과는 차의 개입치료 전에 채취한 혈청을 사용했을 때보다 차 이후 혈청을 이용했을 때 확산이 적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 다른 연구에서,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 시술이 예정된 환자들은 수술 전 3내지 6주 동안 매일 6잔의 녹차나 물을 마시도록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녹차 음용자로부터 채취한 전립선 조직의 분석 결과는, 녹차로 단기간 치료 후 메틸화 및 비메틸화된 EGCG가 전립선에서 발견되었는데, 메틸화된 형태 속에 48%의 EGCG를 함유하고 있었다. 메틸화 EGCG는 세포 확산의 억제와 전립선암 세포이 자살을 유도하는 데 EGCG만큼 효과적이지 않다. 이는 EGCG의 메틸화 상태가 녹차의 화학예방 성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메틸화 상태는 카테콜오메틸트랜스페라제(COMT; EGCG를 메틸화시키는 분자) 유전자의 다형화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In another open-label, phase II clinical study, prostate cancer patients scheduled for radical prostatectomy consumed four Polyphenon E tablets containing tea polyphenols, including EGCG, daily (providing 800 mg EGCG daily) until surgery. The Polyphenon E trea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a number of prostate cancer biomarkers, including PSA,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IGF-1 (a protein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prostate cancer).[43]

또 다른 내용 공개 2상 임상실험에서, 근치적 전립선절제술이 예정된 전립선암 환자들은 수술까지 매일, EGCG가 포함된(매일, EGCG 800mg) 차茶 폴리페놀이 들어 있는 폴리페논 E 정제를 4알씩 복용했다. 폴리페논 E 치료는, PSA(전립선특수 항원)와 혈관내피성장인자(VEGF), 및 IGF-1(전립선암 위험 증가와 유관한 단백질)를 포함한 일련의 전립선암 생체지표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In a 2011 study, 50 prostate cancer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Polyphenon E (800 mg EGCG) or a placebo daily for 3 to 6 weeks before surgery. Treatment with Polyphenon E resulted in greater decreases in serum levels of PSA and IGF-1 than did treatment with placebo, but thes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hemopreventive effects of green tea polyphenols may be through indirect means and that longer intervention studies may be needed.[49]

한 건의 2011년 연구에서, 50명의 전립선암 환자들이 수술 전 3내지 6주 동안 매일 폴리페논 E(EGCG 800mg)나 혹은 플라시보를 받도록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폴리페논 E로 치료는 플라시보의 치료보다 PSA와 IGF-1의 혈청 수치가 크게 감소했지만 이런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적었다. 이 연구를 통한 발견 사항은, 녹차 폴리페놀의 화학예방 효과는 아마도 간접 수단을 통한 것일지 모르며 보다 장기간의 개입치료 연구가 필요할 수 있음을 암사한다.

Advanced prostate cancer

진행성 전립선암

In a small, single-arm study, hormone-refractory prostate cancer patients received capsules of green tea extract twice daily (375 mg polyphenols daily) for up to 5 months. Although the green tea intervention was well tolerated by most study participants, no patient had a PSA response (i.e., at least 50% decrease from baseline), and all 19 patients were deemed to have progressive disease within 1 to 5 months.[44]

하나의 소형, 단일 부문 실험에서, 호르몬에 내성을 보이는 전립선암 환자들이 최대 5개월까지 하루 2회씩 녹차 추출물 캡슐(매일, 375mg의 폴리페놀)을 투여 받았다. 녹차 개입치료는 대부분의 실험 참가자들이 잘 견디었지만 환자 중 아무도 PSA 반응이 없었고(예를 들면, 최소 기준선에서 50% 감소) 19명 전부가 1개월 내지 5개월 내에 진행 암이 생긴 것으로 추정되었다.

In a 2003 study, patients with androgen-independent metastatic prostate cancer consumed 6 g of green tea daily for up to 4 months. Among 42 participants, 1 patient exhibited a 50% decrease in serum PSA level compared to baseline, but this response was not sustained beyond 2 months. Green tea was well tolerated by most study participants. However, six episodes of grade 3 toxicity occurred, involving insomnia, confusion, and fatigu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patients with advanced prostate cancer, green tea may have limited benefits.[50]

2003년의 연구(실험)에서, 안드로겐(남성 호르몬) 비의존성 전이 전립선암 환자들은 최대 4개월까지 매일 6그램의 녹차를 섭취하였다. 42명의 참가자 가운데, 1명의 환자는 기준선과 비교했을 때 혈청 PSA 수치가 50% 감소를 보였지만, 이 반응은 2개월 이상 지속되지 않았다. 녹차는 연구 참가자들이 잘 견디었다. 그러나 불면증과 정신상태의 혼란, 및 피로와 관련된 6건의 3등급(심한) 독성 사례가 발생하였다. 이런 결과는, 진행성 전립선암 환자의 경우, 녹차는 효과가 제한적인 것을 암시한다.

Current Clinical Trials

진행 중 임상실험

Check NCI’s list of cancer clinical trials for CAM clinical trials on green tea for prostate cancer and green tea extract for prostate cancer that are actively enrolling patients.

활발하게 환자를 등록하고 있는 전립선암에 대한 녹차와 녹차 추출물에 관한 보완 및 대체의학 임상실험을 찾으려면 암 임상실험에 대한 NCI 목록을 조사하라.

General information about clinical trials is also available from the NCI Web site.

임상실험에 대한 일반정보는 NCI 웹 사이트에서도 볼 수 있다.

저작권자 © 암스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