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신 : 2016-12-29

Cancer Prevention

암의 예방



Cigarette Smoking: Health Risks and How to Quit (PDQ®)

흡연: 건강상의 위험과 금연법



Summary of Evidence

(1) 증거의 요약



Drug Treatment and Smoking Cessation

약물치료와 금연


Note: A separate PDQ summary on Levels of Evidence for Cancer Screening and Prevention Studies is also available.

주의: 암 검진과 예방 연구에 대한 증거의 수준에 관한 별도의 PDQ 역시 볼 수 있다.


The cancer prevention summaries in PDQ refer to cancer prevention, defined as a reduction in the incidence of cancer. The PDQ includes summaries generally classified by histological type of cancer, especially when there are known risk factors for the specific types of cancer. This summary addresses a specific risk factor, tobacco use, which is associated with a large number of different cancers (and other chronic diseases) and unequivocally contains human carcinogens.[1] The focus of this summary is on clinical interventions by health professionals that decrease the use of tobacco.

PDQ 내에 수록된 암 예방 자료는 암의 발병 감소로 정의된 암의 예방을 지칭한다. PDQ는 특히 특정한 형태의 암에 대한 알려진 위험요인들이 있을 때 암에 대한 조직학적 형태 (종류)로 분류된 요약 자료가 포함된다. 이 자료는 다수의 여러 종류의 암과 연관되고 분명히 인간 발암물질을 함유한 특정의 위험요인들과 담배의 사용을 다루고 있다.

이 자료의 초점은 의료 전문인들에 의한 담배의 사용을 줄이는 임상적 개입에 관한 것이다.



Effects of Smoking Cessation

금연의 효과



Based on solid evidence, cigarette smoking causes cancers of the lung, oral cavity and pharynx, larynx, esophagus, bladder, kidney, pancreas, stomach, uterine cervix, and acute myeloid leukemia.[2] Smoking avoidance and smoking cessation result in decreased incidence and mortality from cancer.

확실한 증거에 입각하여, 담배의 흡연은 폐, 구강, 및 인두, 후두, 식도, 방광, 신장, 췌장, 위, 자궁경부의 암들과 급성 골수성 백혈병을 유발한다. 흡연의 회피 및 금연은 암으로 인한 발병률과 사망률을 줄이는 결과를 초래한다.



Description of the Evidence

증거의 서술


•Study Design: Evidence obtained fro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연구 설계: 무작위 통제실험에서 얻은 증거.


•Internal Validity: Good.

내부 타당성 : 양호.


•Consistency: Good.

일관성 : 양호.


•Magnitude of Effects on Health Outcomes: The relative risk (RR) of several cancers is much greater in cigarette smokers compared with nonsmokers (depending on the anatomical site of the cancer and the intensity and duration of smoking, the RR can range from twofold to tenfold or greater in smoking populations). A reduction of 15% is seen in the RR of all-cause mortality in heavy smokers subjected to intensive clinical cessation interventions.

건강상 결과에 관한 효과의 강도: 몇몇 암들의 상대적 위험 (RR)은 비 흡연자와 비교할 때 담배 흡연자들이 훨씬 크다. (암의 부위와 흡연의 강도 및 기간에 달렸지만, 상대적 위험도는 흡연 개체군이 2배에서 10배 혹은 그 이상이다.) 임상적 금연 개입치료를 받은 골초들은 전 원인 사망률의 상대적 위험이 15% 감소를 보인다.


•External Validity: Good.

외부 타당성 :양호



Counseling and Smoking Cessation

상담과 금연


Based on solid evidence, counseling by a health professional improves smoking cessation rates.

확실한 증거에 입각하여, 의료 종사자에 의한 상담은 금연률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of the Evidence

증거의 서술


•Study Design: Evidence obtained from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연구 설계 : 무작위 통제 임상실험에서 얻은 증거.


•Internal Validity: Good.

내부 타당성: 양호


•Consistency: Good.

일관성: 양호


•Magnitude of Effects on Health Outcomes: Counseling improves cessation rates (odds ratio [OR], 1.56; 95% confidence interval [CI], 1.32–1.84).[3,4]

건강상 결과에 관한 효과의 강도: 상담은 금연률을 향상시킨다.


•External Validity: Good.



Physician Advice and Smoking Cessation

의사의 조언과 금연


Based on solid evidence, simple advice from a physician to stop smoking improves smoking cessation rates.

확실한 증거에 입각하여, 흡연을 중단하기 위해 의사의 단순한 충고는 금연률을 향상시킨다.

\

•Study Design: Evidence obtained from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연구 설계: 무작위 통제실험에서 얻은 증거.


•Internal Validity: Good.

내부 타당성: 양호.


•Consistency: Good.

일관성: 양호.


•Magnitude of Effects on Health Outcomes: Physician advice improves cessation rates (relative risk [RR], 1.66; 95% CI, 1.42–1.94).[3]

건강상 결과에 관한 효과의 강도: 의사의 충고는 금연률을 향상시킨다.


•External Validity: Good.

외부 타당성: 양호



Drug Treatment and Smoking Cessation

약물치료와 금연


Based on solid evidence, drug treatments, including nicotine replacement therapies (gum, patch, spray, lozenge, and inhaler), selected antidepressant therapies (e.g., bupropion), and nicotinic receptor agonist therapy (varenicline), result in better smoking cessation rates than placebo.

확실한 증거에 입각하여, 니코틴 대체요법 (껌, 패치, 스프레이, 사탕, 및 흡입제), 선별적 항우울제 요법 (예를 들면, 부프로피온), 및 니코틴 수용체 길항제 요법 (바레니클린)을 포함한 약물 치료는 플라시보보다 양호한 금연률을 낳는다.



Description of the Evidence

증거의 서술


•Study Design: Evidence obtained from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연구 설계: 무작위 통제실험에서 획득한 증거.


•Internal Validity: Good.

내부 타당성: 양호.


•Consistency: Good.

일관성: 양호.


•Magnitude of Effects on Health Outcomes: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treatments, alone or in combination, improve cessation rates over placebo after 6 months (RR, 1.58; 95% CI, 1.50–1.66).[5] Treatment with bupropion improves cessation rates over placebo after 6 months (OR, 1.94; 95% CI, 1.72–2.19).[6] Varenicline therapy treatment improves cessation rates over placebo after 6 months (RR, 2.33; 95% CI, 1.95–2.80).[7]

건강상 결과에 관한 효과의 강도: 니코틴 대체요법 치료는, 단독이든 배합치료이든, 6개월 후에는 플라시보보다 금연률을 향상시킨다. 바레니클린 요법 치료는 6개월 후 플라시보에 비해 금연률을 향상시킨다.



•External Validity: Good.

외부 타당성: 양호.




Significance

(2). 의의意義/중요성



In the United States, smoking-related illnesses accounted for an estimated 443,000 deaths each year between 2000 and 2004.[1,2] (Also available online.) On average, these deaths occur 12 years earlier than would be expected, so the aggregate annual loss exceeds 5 million life-years.[3] These deaths are primarily due to smoking’s role as a major cause of cancer, cardiovascular diseases, and chronic lung diseases. The known adverse health effects also include other respiratory diseases and symptoms, nuclear cataract, hip fractures, reduced female fertility, and diminished health status. Maternal smoking during pregnancy is associated with fetal growth restriction, low birth weight, and complications of pregnancy.[4] It has been estimated that at least 30% of cancer deaths and 20% of all premature deaths in the United States are attributable to smoking.[1]

미국에서, 흡연에 관련된 질병은 2000년과 2004년 사이에 매년 추정치로 443,000명의 사망의 원인이 된다. 평균을 하면, 이런 사망률은 기대치보다 12년 일찍 나타났고, 누적 연간 사망은 5백만 수명 년을 초과한다. 이런 사망은 주로 암과 심혈관계, 및 만성 폐질환의 주요 원인으로서 흡연의 역할에 기인한다. 알려진 건강상의 역효과는 기타 호흡기 질환 및 증상과 백내장, 골반골절, 여성 생식률 저하, 및 건강상태의 약화 등이다. 임신 중 산모의 흡연은 태아발육부전과 저체중아 출산, 및 임신 합병증과 유관하다. 미국 내의 최소한 암 사망의 30%와 모든 조기 사망의 20%는 흡연의 탓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Tobacco products are the single, major avoidable cause of cancer, causing more than 155,000 deaths among smokers in the United States annually due to various cancers.[5] The majority of cancers of the lung, trachea, bronchus, larynx, pharynx, oral cavity, nasal cavity, and esophagus are attributable to tobacco products, particularly cigarettes. Smoking is also causally associated with cancers of the pancreas, kidney, bladder, stomach, and cervix and with myeloid leukemia.[4,6]

담배 제품은 단 하나의, 피해야하는 암의 주요 원인으로, 미국에서 매년 다양한 암 때문에 155,000명 이상의 사망자를 유발한다. 폐, 기관, 기관지, 후두, 인두, 구강, 비강, 및 식도암의 대부분은 담배 제품, 특히 시가레트 (권련)의 탓이다. 흡연은 통상적으로 췌장, 신장, 방광, 위, 및 자궁경부와 골수성 백혈병과 유관하다.



Smoking also has substantial effects on the health of nonsmokers. Environmental or secondhand tobacco smoke is implicated in causing lung cancer and coronary heart disease.[7] Among children, secondhand smoke exposure is causally associated with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lower respiratory tract illnesses, otitis media, middle ear effusion, exacerbated asthma, and respiratory effects such as cough, wheeze, and dyspnea.[7]

흡연은 또한 비 흡연자들의 건강에 실질적 영향을 미친다. 환경적 혹은 간접흡연 (2차 흡연)은 폐암과 관상 동맥성 심장질환의 유발에 연루되었다. 어린이들 중, 간접흡연에 노출은 보통 유아 돌연사 증후군, 하부 기관氣管 질환, 중이염, 중이 삼출액, 악성 천식, 및 기침과 쌕쌕거림, 호흡곤란 같은 호흡기에 영향과 연관이 있다.



Environmental tobacco smoke has the same components as inhaled mainstream smoke, although in lower absolute concentrations, between 1% and 10%, depending on the constituent. Carcinogenic compounds in tobacco smoke include the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cluding the carcinogen benzo[a]pyrene (BaP) and the nicotine-derived tobacco-specific nitrosamine, 4-(methylnitrosamino)-1-(3-pyridyl)-1-butanone (NNK).[8] Elevated biomarkers of tobacco exposure, including urinary cotinine, tobacco-related carcinogen metabolites, and carcinogen-protein adducts, are seen in passive or secondhand smokers.[7,9-11]

환경성 담배 연기는 구성성분에 따라 1%와 10% 사이로 절대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지만 흡연자가 흡입했을 때의 연기와 동일한 성분을 갖고 있다. 담배 연기 속의 발암성 화합물은 발암물질인 벤조피린과 니코틴에서 추출된 담배 특유의 니트로사민, 4-(methylnitrosamino)-1-(3-pyridyl)-1-butanone (NNK)을 포함한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등이다. 뇨중 코티닌과 담배와 관련된 발암물질대사, 및 발암-단백질 부산물을 포함한 담배에 노출의 생물지표들이 수동적 혹은 간접흡연에서 보인다.



In 2011, 21.6% of adult men and 16.5% of adult women in the United States were current smokers.[2] (Also available online.) Cigarette smoking is particularly common among American Indians and Alaska Natives.[2] The prevalence of smoking also varies inversely with education, and was highest among adults who had earned a General Educational Development diploma (49.1%) and gener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years of education.[12] (Also available online.) From 2000 to 2011, significant declines occurred in the use of cigarettes among middle school (10.7% to 4.3 %) and high school (27.9% to 15.8%) students.[13] (Also available online.) Cigarette smoking prevalence among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creased substantially during the early 1990s in all ethnic groups but appears to have been declining since approximately 1996.[14,15] (Also available online. Exit Disclaimer)

2011년, 미국의 성인 남자들의 21.6%와 성인 여성들의 16.5%가 진행형 흡연자들이다. 흡연은 미국 인디언들과 알라스카 원주민들 중에 특히 흔하다. 흡연의 유행은 교육과 역비례로 다양하며, 고졸학력인증서를 받은 성인들 가운데 가장 높고 (49.1%), 일반적으로 교육 연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한다. 2000년부터 2011년까지, 중학생들 (10.7%에서 4.3%로)과 고등학생 (27.9%에서 15.8%로)중에 담배의 사용이 급격하게 줄었다. 남녀 고등학생들 가운데 흡연의 유행은 1990년대 초반 소수민족 그룹에서 높았지만, 대강 1996년 이래 줄어드는 것처럼 보인다.



The effect of tobacco use on population-level health outcomes is illustrated by the example of lung cancer mortality trends. Smoking by women increased between 1940 and the early 1960s, resulting in a greater than 600% increase in female lung cancer mortality since 1950. Lung cancer is now the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in women.[14,16] In the last 30 years, prevalence of current cigarette use has generally decreased, though far more rapidly in males. Lung cancer mortality in men peaked in the 1980s, and has been declining since then; this decrease has occurred predominantly in squamous cell and small cell carcinomas, the histologic types most strongly associated with smoking.[14] Variations in lung cancer mortality rates by state also more or less parallel long-standing state-specific differences in tobacco use. Among men, the average annual age-adjusted lung cancer death rates from 2001 to 2005 were highest in Kentucky (111.5 per 100,000), where 29.1% of men were current smokers in 1997, and lowest in Utah (33.7 per 100,000), where only 10.4% of men smoked. Among women, lung cancer death rates were highest in Kentucky (55.9 per 100,000), where 28.0% of women were current smokers, and lowest in Utah (16.9 per 100,000), where only 9.3% of women smoked.[14]

인구 수준 건강결과에 관한 담배 이용의 영향은 폐암 사망률 추세의 예에 의해 나타난다. 여성들의 흡연은 1940년대와 1960년대 초기 사이에 증가하였고, 1950년대 이래 여성들의 폐암 사망률이 600% 이상 증가를 초래하였다. 폐암은 이제 여성의 암 사망률 원인의 첫째로 꼽힌다. 지난 30년 내에, 흡연의 유행이 일반적으로 감소하였는데, 남성들 사이에서 크게 줄었다. 남성들의 폐암 사망률이 1980년대에 정점에 도달한 이래 계속 줄어들고 있다. 이런 감소는 조직학적으로 흡연과 가장 연관성이 있는 종류인 편평세포 암과 소세포 암에서 대부분 일어났다. 각 주별 폐암 사망률의 편차는 다소간 담배 제품 사용에 관한 장기적인 각 주 특유의 차이와 유사하다. 남성들 중에,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연평균 연령보정 폐암 사망률은 켄터키 주가 가장 높았고 (100,000명당 111.5명), 이곳은 1997년 기준 남선들의 29.1%가 흡연자였다. 유타 주는 가장 낮았고 (100,000명당 33.7명), 이곳은 남성들의 01.4%가 흡연자였다. 여성들 중에는, 폐암 사망률은 여성들의 28%가 현재 흡연자인 켄터키 주에서 가장 높았고 (100,000명당 55.9명), 여성들의 9.3%가 흡연자인 유타 주가 가장 낮았다(100,000명당 16.9명).




Evidence of Benefit

(3). 혜택의 증거



Background

배경


Many health risks related to tobacco smoking can be reduced by smoking cessation. Smokers who quit smoking before age 50 years have up to half the risk of dying within 15 years compared with people who continue to smoke, and the risk of dying is reduced substantially even among persons who stop smoking after age 70 years.[1] The risk of lung cancer is 30% to 50% lower than that of continuing smokers after 10 years of abstinence, and the risk of oral and esophageal cancer is halved within 5 years of cessation.[1] Smokers who quit also lower their risk of cervical, gastric, and bladder cancer.[1-3]

담배 흡연과 관련된 많은 건강상 위험은 금연으로 줄일 수 있다. 50세 이전에 금연한 흡연자들은 흡연을 계속하는 사람들에 비해 15년 이내에 사망할 위험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고, 사망의 위험은 70세 이후에 금연한 사람들 중에서도 실질적으로 감소한다. 폐암의 사망 위험은 금연 후 10년이면 계속하는 흡연자의 폐암 사망 위험의 30%-50%까지 낮아지고, 구강 및 식도암의 위험은 금연 5년 이내에 절반이 된다. 금연한 사람들은 자궁경부, 위 및 방광암의 위험도 줄인다.



In a randomized trial of heavy smokers, the long-term follow-up results demonstrated that compared with the nonintervention group (n = 1,964), those randomly assigned to a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n = 3,923) experienced a 15% reduction in all-cause mortality rates (8.83 vs. 10.38 per 1,000 person-years; P = .03).[4] The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consisted of a strong physician message plus 12 group sessions and nicotine gum administered during a 10-week period. Decreases in the risk of lung and other cancers, and coronary heart disease, cardiovascular disease, and respiratory disease contributed to the benefit in the group randomly assigned to the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한 건의 심한 흡연자들에 대한 무작위 실험에서 장기간 추적 결과, 비 개입 그룹 (1,964명)과 비교하여 금연 개입(치료)에 무작위로 배정된 사람들 (3,923명)은 전 원인 사망률이 15%의 감소를 경험하였다고 밝혔다. 금연 개입의 내용은 강력한 의사 메시지와 12번의 집단회의와 10주 동안 니코틴 껌의 투여로 구성되었다. 폐 및 기타 암과 관상동맥 심장질환, 심혈관계 질환, 및 호흡기계 질환의 감소는 금연 개입에 무작위로 배정된 그룹의 효험에 기여하였다.



A number of approaches at the policy, legislative, and regulatory levels have been attempted to effect widespread reduction in or prevention of commencement of tobacco use. Various efforts at the community, state, and national level have been credited with reducing the prevalence of smoking over time. These efforts include, reducing minors’ access to tobacco products, disseminating effective school-based prevention curricula together with media strategies, raising the cost of tobacco products, using tobacco excise taxes to fund community-level interventions including mass media, providing proven quitting strategies through health care organizations, and adopting smoke-free laws and policies.[5,6] School-based interventions alone have not demonstrated long-term impact for smoking prevention.[7] One of the highest quality studies was a large, randomized trial in which children received a theory-based program that incorporated various social-influence approaches from grade 3 through grade 12, with no difference in smoking outcomes observed either at grade 12 or at 2 years after high school between school districts receiving the intervention and those in the control arm.[8]

다방면에 걸쳐 담배에 손대기 시작의 감소나 예방을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정책과 입법 및 규제 차원에서 다양한 접근이 시도되었다. 지역사화나 주 및 국가 차원의 다양한 노력이 시간이 지나면서 흡연의 유행 감소와 더불어 신뢰를 쌓아왔다. 이런 노력들은, 담배제품에 대한 미성년자들의 접근 감소, 언론 전략과 더불어 효과적인 학교 기반의 예방 교과과정의 전파, 담배제품의 가격인상, 보건기구를 통한 입증된 금연 전략제공하고, 금연법과 정책을 채택하는 등이 포함된다. 학교를 기반으로 한 개입만은 금연 예방에 대한 장기적 영향을 제시하지 못했다. 가장 양질의 연구 중 하나는 어린이들이 3학년부터 12학년까지 다양한 사회적 영향 접근법을 채택한 이론 기조의 개입 치료를 받는 한 건의 대형 무작위 실험이었는데, 개입치료를 받은 학교지역과 통제 부문의 학교지역 간에 12학년이나 졸업 후 2년째에 흡연결과에는 아무런 차이도 관찰되지 않았다.



The Community Intervention Trial for Smoking Cessation (COMMIT) was a National Cancer Institute-funded large-scale study to assess a combination of community-based interventions designed to help smokers cease using tobacco. COMMIT involved 11 matched pairs of communities in North America, which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arm offering an active community-wide intervention or a control arm (no active intervention).[9] The 4-year intervention included messaging through existing media channels, major community organizations, and social institutions capable of influencing smoking behavior in large groups of people. The interventions were implemented in each community through a local community board that provided oversight and management of COMMIT activities.

금연을 위한 지역사회 개입 실험 (COMMIT)은 흡연자들의 금연을 돕기 위해 기획된 지역사회 기조의 개입의 배합을 평가하기 위한 국립암연구소가 자금을 지원한 대규모 연구이다. COMMIT는 북미에 11개의 상호 비교되는 지역사회의 그룹이 관련되었고, 여기에는 무작위로 배정된 적극적인 지역사회 범위의 개입을제공하는 부문과 통제부문 (적극적 개입을 하지 않는)이 있다. 4년의 개입 프로그램은 대규모 집단에서 흡연 행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현존하는 언론 채널과 주요 지역사회 기구, 및 사회 기관을 통한 메시지 전달하기 등이다. 개입 활동은 COMMIT의 활동에 대한 관리 및 감독을 하는 지역 위원회를 통하여 각 지역사회 내에서 시행되었다.



In COMMI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an quit rate of heavy-smokers in the intervention communities (18.0%) compared with the control communities (18.7%). The light-to-moderate smoker quit rat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verages of 30.6% and 27.5% for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communities, respectively (P = .004).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quit rates between the sexes were observed, less-educated light-to-moderate smokers were more responsive to the intervention than were college-educated smokers with a light-to-moderate habit.[10,11]

금연을 위한 지역사회 개입 실험 (COMMIT)에서, 통제부문 지역사회 (18.7%)와 비교하여 개입부문 지역사회 (18.0%)의 골초들의 평균 금연율에서 아무런 차이가 없었다. 초-중급 흡연자의 금연율은 각각 개입 사회는 평균 30.6%와 통제부문 사회는 27.5%로 통계적으로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간의 금연율에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교육수준이 비교적 낮은 초-중급 흡연자들은 초-중급 흡연 습관의 대학 졸업자들보다 개이벵 더 반응이 좋았다.



Clinical interventions targeted at individuals have shown more promising result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shows that 6-month cessation rates are significantly improved with use of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NRT) products compared with placebo or no intervention (summary relative risk [RR], 1.58; 95% confidence interval [CI], 1.50–1.66).[12] The benefits of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product use have been consistently observed regardless of whether the product used was the patch, gum, nasal spray, inhaler, or lozenge.[12] Smoking cessation counseling alone is also effective;[13] even a brief intervention by a health care professional significantly increases the smoking cessation rate.[14]

개개인들을 표적으로 삼은 임상적 개입은 보다 가능성 있는 결과들을 보였다. 무작위 통제실험들에 대한 한건의 메타분석에서, 플라시보나 비 개입에 비해 니코틴 대체요법의 사용은 6개월 금연율의 향상을 보였다. 사용된 제품이 패치이든 껌, 코 스프레이, 흡입제 혹은 로젠지 사탕의 형태이든지 관계없이 니코틴 대체 요법제 사용의 이점은 꾸준히 관찰되었다. 금연 상담만으로도 효과가 있었다. 의료인에 의한 간단한 개입은 금연률을 크게 증가시켰다.



An important issue is whether pharmacotherapies are more effective in the presence of counseling. A randomized trial compared the following three levels of intervention that combined free pharmacotherapy (nicotine patch or bupropion) with or without counseling: 1) pharmacotherapy alone; 2) pharmacotherapy plus up to two counseling sessions every 6 months; and 3) pharmacotherapy plus up to six counseling sessions every 6 months. During the 24-month study, each group was offered a randomly assigned intervention at baseline, 6 months, 12 months, and 18 months later. For the primary study endpoint of 7-day point prevalence of smoking abstinence after 24 months of follow-up,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interventions.[1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of pharmacotherapy plus counseling is no better than intervention alone.

중요한 주제는 상담 중 약물요법이 더 효과적인지 여부이다. 한 건의 무작위 실험에서 상담을 제외하거나 포함한 자유로운 약물요법 (니코틴 패치 혹은 부프로피온)을 결합한 다음의 3가지 차원의 개입을 비교하였다. 즉 1) 약물요법 단독; 2) 약물요법+매 6개월마다 2회까지의 상담; 및 3) 약물요법+매 6개월마다 6회가지의 상담. 24개월의 연구 기간 동안, 각 그룹은 연구 시작점, 6개월 후, 12개월 후, 18개월 후에 무작위로 개입에 배정되었다. 24개월의 추적 후 7일 시점의 금연 우위라는 1차 연구 종단점에 대해, 개입치료 별로 통계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 연구의 결과가 암시하는 바는, 약물요법+상담이 상담 단독보다 나을 것이 없다는 점이다.



Promoting smoking cessation among cancer survivors is essential because the deleterious health effects of cigarette smoking may impact prognosis in both the short term and long term. 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peer-delivered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among childhood cancer survivors, a significantly higher 12-month quit rate was observed in the intervention group (15% vs. 9%; P < .01).[16]

암 생존자들 중에서 금연을 격려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담배 흡연의 유해한 건강효과는 장단기를 불문하고 예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어린이 암 생존자들 중 CSRN들이 권한 금연 개입에 대한 무작위 통제실험에서, 두렷하게 높은 12개월 금연율이 개입 그룹에서 관찰되었다.



Tobacco Cessation Guidelines

금연 지침들


In 1996, the Agency for Health Care Policy and Research (AHCPR), now the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released a landmark set of clinical smoking-cessation guidelines for helping nicotine-dependent patients and healthcare providers. Now sponsored by the Public Health Service, the updated 2008 guidelines, "Treating Tobacco Use and Dependence" are available online.[17] The broad elements of these guidelines are:

1996년, 보건 정책과 연구를 위한 기구 (AHCPR), 현행의 보건 연구 및 품질을 위한 기구는 니코틴 의존 환자와 의료 종사자들을 돕기 위한 기념비적인 임상적 금연 지침을 발표하였다. 지금은 공중 위생국의 지원을 받고 있는, 2008년에 갱신된 지침인 “담배 사용과 의존을 치료하기”가 온라인에서 볼 수 있다. 이 지침의 광범위한 요소들은:



1.Clinicians should document the tobacco-use status of every patient.

임상의臨床醫는 모든 환자의 담배 이용 상태를 기록해야 한다.


2.Clinicians should assess the readiness to quit of patients who use tobacco and assist those who wish to quit in setting a quit date.

임상의는 담배를 사용하는 환자들의 끊을 준비태세를 평가하고 끊을 날을 정하여 끊기를 원하는 사람들을 도와야 한다.


3.Patients using tobacco should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 effective brief cessation interventions that are available.

담배를 사용 중인 환자들에게 최소한 사용 가능한 효과적이며 간단한 금연 개입 중 한 가지를 제공해야 한다.


4.In general, more intense interventions are more effective than less intense interventions in producing long-term tobacco abstinence, reflecting the dose-respons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its outcome.

일반적으로, 보다 강력한 개입이 덜 강력한 개입보다 장기적 금연을 하는데 있어 개입과 그 결과 간에 투여량과 반응의 함수관계를 반영하며 보다 효과적이다.


5.One or more of the three treatment elements identified as being particularly effective should be included in smoking-cessation treatment: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된 3가지 치료 요소들 중 한 가지 이상을 금연 치료에 포함시켜야한다.


. a.Social support from clinicians in the form of encouragement, assistance.

격려와 도움의 형태로 임상의로부터 사회적 지원.


. b.Skills training/problem solving (cessation/abstinence techniques).

훈련 및 문제 해결 기술들 (금연 기술).


. c.Pharmacotherapy, such as nicotine-replacement (e.g., patches, gum).

니코틴 대체 같은 약물요법 (예를 들면, 패치, 껌)


6.To be effective, health care systems must make institutional changes resulting in systematic identification of tobacco users and intervention with these patients at every visit.

효과적으로 하려면, 의료 시스템은 담배 이용자들의 전체적 탐지와 매 방문 시 이런 환자들에 대한 개입을 하도록 제도적 변화를 만들어야 한다.


For individual interventions, the guidelines [17] suggest a model based on outcomes from six major clinical trials of physician-delivered smoking intervention conducted in the late 1980s:[18] the ASK, ADVISE, ASSESS, ASSIST, and ARRANGE model. The physician provides a brief intervention that entails asking about smoking status at every visit, advising abstinence, assisting by setting a quit date, providing self-help materials and recommending use of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and arranging for a follow-up visit. See below for brief and expanded intervention outlines. The recommendations also strongly support the value of referral to more intensive counseling.

개인별 개입을 위해, 지침은 1980년대 후반에 시행된 의사가 제공한 금연 개입의 6가지의 주요 임상실험의 결과에 근거한 모델을 제시한다. 그 모델은

ASK (묻기), ADVISE (조언하기), ASSESS (평가), ASSIST (도움주기), and ARRANGE (협의) 등이다.


Ask, Advise, Assess, Assist, Arrange: Key Elements

질문, 조언, 평가, 지원, 주선 : 핵심 요소.


A.Ask

질문


•Screen for smoking status at every visit or admission.

매번 방문이나 입원할 때마다 흡연 상태를 검진함.


B.Advise

조언


•Minimal Advice: “As your physician, I must advise you that smoking is bad for your health, and it would be important for you to stop.”

최소한의 조언: “담당 의사로서, 흡연은 당신의 건강에 나쁘며 금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할 의무감을 느낀다.”


•Augmented Advice: “Because of your (__________) condition,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you to stop. If you stop now, (briefly educate patient about basic health benefits from quitting).”

격상된 조언 : “당신의 (-------) 질환 때문에, 금연하는 것은 특히 중요하다. 만일 지금 금연하면, (금연의 기본적인 건강상 이점에 대해 간단한 교육을 한다).”


C.Assess

평가


•Minimal Assessment: Ask every tobacco user if he/she is willing to make a quit attempt at this time.

최소한의 평가 : 자신이 지금 금연을 시도할 의사가 있는지 모든 담배 이용자들에게 질문하라.


•Augmented Assessment: Assess characteristics of smoking history and patterns.

격상된 평가 : 흡연 이력과 형태의 특징들을 평가하라.


. Amount smoked.

흡연의 양.


. Quit history.

금연 이력.


. Stage of Change:

변화의 상태:


•Precontemplator: Is not seriously considering stopping smoking.

단순 의도자 : 금연을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지 않다.


•Contemplator: Is seriously considering stopping within 3 to 6 months.

고려자 : 3 내지 6개월 이내에 금연을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다.


•Preparation: Is seriously considering stopping within the next week to month and has already made changes such as cutting back.

준비 : 다음 주 내지 다음 달 안에 금연을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으며, 흡연량 줄이기 같은 변화가 이미 시작되었다.


•Action: Has recently stopped smoking (within last 6 months).

행동 : 최근에 금연했다. (지난 6개월 이내에)


•Relapse: Has quit for at least 48 hours but is smoking again.

재발 : 최소한 48시간 동안 금연했으나 다시 피운다.


•Maintenance: Has quit for at least 6 months but may still be vulnerable to a relapse up to 1 year.

유지 : 최소한 6개월 동안 금연했으나 1년까지는 재발의 위험성이 있다.


. Nicotine Addiction: Fagerstrom Test Exit Disclaimer for nicotine dependency.

니코틴 중독 : 니코틴 의존에 대한 페이저스트롬 검사 Exit Disclaimer.


. Behavioral Patterns: "Why Do You Smoke?" Scale.

행동 패턴 : “당신이 담배를 피우는 이유는?” 척도.


D.Assist/Counsel

지원/상담


•Minimal Assistance: Provide self-help materials; assess interest in quitting; and assess interest in and appropriateness of pharmacological aids.

최소한의 지원 : 자가 지원 물품 지원; 금연에 대한 관심 평가; 약물의 도움에 대한 관심 및 적정성 평가.


•Augmented Assistance: Provide brief 5 to 7 minute patient-centered counseling. See below for an outline of the counseling content.

격상된 지원 : 5-7분 정도의 환자 중심 상담의 제공. 상담 내용의 윤곽을 파악하려면 아래를 보라.


E.Arrange Follow-up Support

후속 지원의 주선.


•Minimal Follow-up Support: Arrange for single follow-up contact by visit or by telephone in about 2 weeks; provide referral to a smoking counselor or group.

최소한의 후속 지원 : 약 2주일 이내에 방문이나 전화로 한 번의 후속 접촉을 주선하라. 흡연 상담사나 단체에 소개하라.


•Extended Follow-up Support: Establish “quit smoking” contract with quit date. Arrange three or more follow-up contacts by visit or by telephone.

후속 지원의 연장 : 금연 예정일자와 더불어 “ 금연” 계약을 수립하라. 방문이나 전화로 3번 이상의 후속 접촉을 주선하라.


Patient-Centered Counseling: Key Elements

환자 중심의 상담 : 핵심 요소.


•Motivation

동기부여


. Basic Question:

기본 질문;


•“How do you feel about smoking?”

“흡연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떠한가?”


. Follow-up Questions:

후속 질문 :


•“How do you feel about stopping smoking?”

“금연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Have you ever tried to stop before?” “What happened?”

“전에 금연을 시도한 적은?” “ 그 결과는?”


•“What do you like about smoking?”

“흡연의 어떤 점이 좋아?”


•“What do you not like about smoking?

“흡연의 어떤 점이 싫어?”


•Anticipated Problems

예상된 문제들


. Basic Question:

기본적 질문:


•“What problems will you have if you stop smoking?”

“금연을 하면 무슨 문제가 생길까?”


. Follow-up Questions:

후속 질문 :


•“Anything else?”

“그 외에 딴 것은 없나?”


•“On the ‘Why Do You Smoke?’ questionnaire, you scored high on (_______). How do you think you can handle that type of situation?”

“ ‘왜 담배를 피우나?’라는 설문에 대해, 당신은 (-----)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그런 종류의 상황에 대해 어떻게 대처할 수 있다고 생각하나?”


•Resources for Coping with Problems

문제에 대처를 위한 자료


. Basic Question:

기본적 질문


•“How do you think you can handle that?”

“그것을 어떻게 처리할 수 있다고 생각하나?”


. Follow-up Questions:

후속 질문


•“What else could you do?”

“그 외에 무엇을 할 수 있나?”


•“How do you expect your (family/spouse/friends) to help you?”

“당신의 (가족/배우자/친구들이) 어떻게 도울 수 있다고 생각하나?”



Pharmacotherapy for Smoking Cessation

금연을 위한 약물요법


Pharmacological agents have been used successfully to aid in the cessation of smoking in the general population.[19] Since the original AHCPR guidelines [20] were published in 1996, various nicotine replacement products have been approved for over-the-counter sale, and additional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of therapies for smoking cessation has been published.[21-24] Pharmacotherapy of smoking, including nicotine replacement therapies (gum, patch, spray, lozenge, and inhaler) and nonnicotine medications (e.g., bupropion and varenicline) result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smoking cessation rates compared with a placebo. Based on a synthesis of the results of 110 randomized trials,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treatments, alone or in combination, improve cessation rates over placebos after 6 months (RR, 1.58; 95% CI, 1.50–1.66).[12]

약물요법의 약제들이 일반 국민들 사이에서 금연의 도움에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1996년, 보건 정책과 연구를 위한 기구 (AHCPR)의 지침이 발표된 이래, 다양한 니코틴 대체 제품들이 약국의 판매용으로 승인되었고, 금연에 대한 여러 요법들의 효율성에 대한 추가 증거들이 발표되었다. 니코틴 대체요법과 비니코틴 약제를 포함한 흡연에 대한 약물요법들은 플라시보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금연의 뚜렷한 증가를 유발하였다. 110건의 무작위 실험의 종합에 근거하여, 단독이든 배합이든 니코틴 대체요법 치료는 6개월 후 플라시보에 비해 금연율을 향상시켰다.



There are also nonnicotine pharmacotherapies that have been efficacious for smoking cessation, including bupropion and varenicline. Based on the results of 31 randomized trials that compared the antidepressant bupropion to placebo, after 6 months of follow-up, bupropion was associated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likelihood of quitting smoking (summary odds ratio [OR], 1.94; 95% CI, 1.72–2.19).[25] There is insufficient evidence to support the idea that combining bupropion plus NRT increases smoking cessation rates compared to NRT alone (summary OR, 1.37; 95% CI, 0.65–2.91).[25]

부프로피온과 바레니클린을 포함하여 금연에 효과적인 비니코틴 약물요법도 있다. 항우울제 부프로피온을 플라시보와 비교한 31건의 무작위 실험의 결과에 근거하여, 6개월의 후속관찰 후에 보면, 부프로피온은 금연의 개연성에서 통계적으로 뚜렷한 증가와 유관하였다. 부프로피온과 니코틴 대체요법 (NRT)을 배합하는 것이 NRT 단독에 비해 금연율을 증가시킨다는 생각을 지지하는 증거는 불충분하다.



Varenicline is a selective alpha-4-beta-2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partial agonist. In two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for smoking cessation, varenicline titrated to a dose of 1.0 mg twice a day and was compared with bupropion sustained-release (SR) 150 mg twice a day and with a placebo group.[26,27] Treatment lasted for 12 weeks, with an additional 40 weeks of posttreatment follow-up. In both studies, varenicline was more efficacious than bupropion and placebo for continuous abstinence from smoking at 9 to 12 weeks and at 9 to 24 weeks of follow-up. For 9 to 52 weeks of follow-up, varenicline was more efficacious than placebo in both studies.[26,27] At 52 weeks of follow-up, the 7-day point prevalence of smoking abstinence was 46% higher in the varenicline group than in the bupropion SR group (OR, 1.46; 95% CI, 1.04–2.06).[26] The other study also showed a 46% higher continuous abstinence in the varenicline group (OR, 1.46; 95% CI, 0.99–2.17).[27] Approximately 30% of the participants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varenicline reported nausea, more than double that in the bupropion groups, and triple that seen in the placebo groups. In a randomized trial comparing varenicline with transdermal nicotine, continuous abstinence was greater in the varenicline group than in the transdermal nicotine group at the end of treatment (56% vs. 43%; P < .001) and during posttreatment follow-up (26% vs. 20%; P = .06).[28] The prevalence of nausea in the varenicline group (37%) was more than triple that in the transdermal nicotine group (10%).

바레니클린은 선별적 알파-4-베타-2 아세틸콜린 수용체 부분 길항제이다. 금연에 대한 두 건의 무작위 통제실험에서, 바레니클린을 하루에 두 번 1.0mg의 복용량에 적정滴定하였고, 하루에 두 번 150mg의 지효성 부프로피온 및 플라시보 그룹과 비교하였다. 치료는 12주 지속되었고, 추가로 40주의 치료 후 후속관리가 뒤따랐다. 두 연구에서, 바레니클린은 9내지 12주 지속적인 금연과 9내지 24주의 후속관리에서 부프로피온과 플라시보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9주에서 52주의 후속관리 중, 두 연구 모두에서, 바레니클린은 플라시보보다 효과적이었다. 후속관리 52주째, 7일 시점 금연 지속은 지효성 부프로피온 그룹보다 바레니클린 그룹에서 46% 더 높았다. 다른 연구 역시 바레니클린 그룹에서 46% 더 높은 지속적 금연을 보였다. 무작위로 바레니클린을 받도록 배정된 참가자들의 약 30%가 구역질을 호소했는데, 이것은 부프로피온 그룹의 2배 이상이며 플라시보 그룹의 3배 이상이다. 바레니클린을 피부 경유 니코틴 치료와 비교한 한 건의 무작위 실험에서, 금연 지속성은 치료 종료 및 치료 후 후속관리 기간 중 피부 경유 니코틴 치료보다 바레니클린 그룹이 보다 컸다. 바레니클린 그룹의 구역질의 우세는 피부 경유 니코틴 그룹보다 3배 이상이었다.



Based on postmarketing surveillance, on July 1, 2009,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required additions to the Boxed Warnings for both bupropion and varenicline to describe the risk of serious neuropsychiatric symptoms associated with these products. Symptoms include: “changes in behavior, hostility, agitation, depressed mood, suicidal thoughts and behavior, and attempted suicide.”[29] The FDA goes on to advise that the important health benefits of quitting smoking “should be weighed against the small, but real, risk of serious adverse events with the use of varenicline or bupropion.”[29] A meta-analysis of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randomized trials of varenicline administered for at least 1 week (N = 14 trials) indicated that varenicline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serious adverse cardiovascular events (RR, 1.72; 95% CI, 1.09–2.71).[30] This finding is particularly noteworthy because almost all of the randomized trials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had the following in common: they excluded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CVD) at baseline; the usual average age of the patient populations (early 40s) was young for CVD; varenicline was usually administered for only 12 weeks or less; and, varenicline is efficacious for smoking cessation, which would act to decrease CVD risk.

2009년 7월 1일, 시판 후 조사에 근거하여, 미국 식약청 (FDA)은 부프로피온과 바레니클린이 제품들과 연관된 심한 정신신경과적 증상의 위험을 설명하는 박스 경고를 하도록 요구하였다. 증상들은 “행도의 변화, 적의, 동요, 기분의 우울, 자살충동과 행동, 및 자살의 시도”가 포함된다. FDA는 계속하여 충고하기를, 금연의 중대한 건강상 이점은 바레니클린이나 부프로피온의 사용에 따른 적지만 현실적인 부작용의 위험에 대해 판단해야 한다. 최소 1주일 동안 투여한 바레니클린의 이중맹검, 플라시보 통제, 무작위 실험의 메타분석에서, 바레니클린은 심각한 심혈관계 부작용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시사하였다. 이 발견은 특별히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그 이유는 메타분석에 포함된 무작위 실험의 거의 모두가 다음의 것을 공유하였다: 실험의 시작 시점에 심혈관계 질환 환자들을 제외하였다; 환자군의 평균 연령 (40대 초기)은 심혈관계 질환 (CVD)에 걸리기에는 젊었다; 바레니클린은 통상 12주 이내의 투여하였다; 그리고 바레니클린은 금연에 효과적이어서 CVD 위험의 감소에 영향을 줄 수 있었다.



There is a growing number of smoking cessation pharmacotherapies that have been shown to be efficacious in significantly increasing rates of smoking cessation. The choice of therapy should be individualized based on a number of factors, including past experience, patient and/or physician preference, and potential agent side effects. As more is learned about specific genetic variants that influence a smoker's response to smoking cessation pharmacotherapies—such as polymorphisms in genes encoding enzymes involved in nicotine metabolism—this information could eventually be integrated into smoking cessation treatment planning.[31] Presently, the evidence is not yet sufficient to be integrated into clinical practice.

금연율의 뚜렷한 증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난 금연 약물요법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요법의 선택은 과거의 경험과 환자 및/혹은 의사의 선호, 및 잠재적 약물 부작용을 포함한 여러 요이넹 근거하여 개별화되어야 한다. 니코틴 대사에 관여된 유전자를 암호화하는 효소들의 다형성 같은 금연 약물요법에 대한 흡연자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유전자 변형체에 대한 지식이 늘어감에 따라, 이 정보는 실제로 금연 치료 계획 수립에 통합될 수 있다. 현재로는, 증거들은 임상 실습에 통합하기에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



The following sections summarize available pharmacologic interventions to assist in tobacco cessation. More comprehensive information is available from product package inserts.

다음은 금연에 도움이 되는 가능한 약물요법의 개입을 요약하였다. 보다 포괄적인 정보는 제품 포장 삽입지에서 볼 수 있다.



Pharmacologic interventions to assist in tobacco cessation

금연에 도움이 되는 약물요법의 개입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니코틴 대체요법


These products are designed to aid in the withdrawal symptoms associated with nicotine. Several precautions are warranted before initiating therapy,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se precautions do not constitute absolute contraindications. In particular, special considerations are necessary in some patient groups (e.g., those with medical conditions such as arrhythmias, uncontrolled hypertension, esophagitis, peptic ulcer disease, insulin-treated diabetes, or asthma, pregnant or breast-feeding women, and adolescent smokers).[32]

이런 제품들은 니코틴과 관련된 금단 증상들에 대해 도움이 되도록 만들어졌다. 요법을 시작하기 전에 몇 가지 경고를 해 놓았지만, 이런 경고를 한다고 절대 사용금지 사유가 되지 못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특히, 일부 환자 그룹에 대해 특별한 배려가 필요하다 ( 예를 들면, 부정맥, 통제 불가한 고혈압, 식도염, 펩틱 위궤양, 인슐린 치료의 당뇨병, 혹은 천식, 임신부 혹은 모유수유 여성들, 및 청소년 흡연자).



Table 1. Nicotine Patches

도표 1. 니코틴 패치



품 명

복용량

부작용

비 고

Rx

하비트롤

7-21mg/일

홍반

6-12주 동안 사용

OTC

니코덤 CQ

7-21mg/일

가려움증

6-12주 동안 사용

OTC

니코트롤

5-15mg/일

해당 부위의 작열감

14-20주 동안 사용

Rx

프로스텝

11-22mg/일

국부 염증

6-12주 동안 사용

OTC =약국에서 살 수 있음; Rx=처방전;



Current guidelines recommend 8 weeks of transdermal nicotine therapy. Findings from two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s of transdermal therapy are divergent in their findings as to whether extended therapy (22–24 weeks vs. 8 weeks) improves quit rates.[33,34]

현행 지침은 8주간의 피부 경유 니코틴 요법을 추천한다. 피부경유 요법의 두 건의 무작위, 플라시보 통제실험에서의 발견사항은 치료법의 연장이 금연율을 향상시키는지 여부에 관한 자신들의 발견과 다르다.



Table 2. Nicotine Polacrilex Gums

니코틴 폴라크리렉스 껌

품 명

복용량

부작용

비고

OTC

니코레트

18-24mg/일

위염, 인후염

최대 30알/일;매4-7일마다 한 알씩 감소.

OTC

니코레트 DS

36-48mg/일

턱의 통증

최대 20알/일;매4-7일마다 한 알씩 감소.

OTC = 약국에서 살 수 있음.



Table 3. Nicotine Lozenges

니코틴 로젠지 사탕

품 명

복용량

부작용

비고

OTC

코미트

40-80mg/일

국소 염증 (미열감과 따끔거림)

12주 동안 사용;최대 20알/일; 1-6주: 매1-2시간마다 1-2개 로젠지 사탕; 7-9주:2-4시간마다 1개 로젠지 사탕; 10-12주 : 매4-8시간마다 1개 로젠지.

OTC = 약국에서 살 수 있음.



Table 4. Nicotine Inhalers

도표 4. 니코틴 흡입제



품 명

복용량

부작용

비고

Rx

니코틴 흡입제

개인별로 다름.

국부 염증

24주까지 사용

Rx = 약방에서 처방전 없이 살 수 있음.



Table 5. Nicotine Nasal Sprays

도표 5. 니코틴 코에 뿌리는 스프레이


품 명

복용량

부작용

비고

Rx

니코트롤 흡입제

최대 40mg/일

코의 염증

최대 3개월

Rx = 처방전



Nonnicotine products

비니코틴 제품



Bupropion HCl

부프로피온


Also used as an antidepressant, bupropion HCl is a nonnicotine aid to smoking cessation. It is a relatively weak inhibitor of the neuronal uptake of norepinephrine, serotonin, and dopamine, and does not inhibit monoamine oxidase. The exact mechanism by which bupropion HCl enhances the ability of patients to abstain from smoking is unknown; however, it is presumed that this action is mediated by noradrenergic or dopaminergic mechanisms.

항우울제 (우울증 치료제)로도 사용되는 부프로피온 HCI는 금연을 위한 비니코틴 보조제이다. 이것은 상대적으로 약한 노레피네피린과 세로토닌 및 도파민의 뉴론 섭취 억제제이며, 모노아민 옥시다제 (항우울제, 혈압 강하제)를 억제하지 않는다. 부프로피온 HCIDL 금연을 위한 환자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정확한 메커니즘은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이 작용은 노르아드레날린성 혹은 도파민 작동성 메커니즘에 의해 매개된다고 추측하고 있다.



Table 6. Bupropion Hydrochloride

도표 6. 부프로피온 하이드로라이드


품 명

복용량

부작용

비고

Rx

지반

150mg/일 X 3일 그리고 300mg/일X7-12주

불면증,구강건조,어지럼증, 비염

웰부트린이나 웰부트린 SR과 함께 복용하지말 것.

폭식증과 거식증에 대한 치료를 한 환자 중에 높은 발작증 발병


Rx = 처방전



Table 7. Varenicline

도표 7. 바레니클린


품 명

복용량

부작용

비고

Rx

챤틱스

1-3일은 0.5mg/일;4-7일은 하루에 두 번 0.5mg;그리고 12주까지 하루에 두 번 1.0mg.

구역질, 불면증

신장 기능이 손상된 환자들은 중독 위섬이 보다 크다.

어린이들과 임산부에게는 검사하지 않았다.

Rx = 처방전


Fluoxetine

플루옥세틴


Although Zyban (bupropion HCl) is the only antidepressant approved by the FDA for smoking cessation, Prozac (fluoxetine HCl)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35]

지반 (부프로피온 HCI)은 금연용으로 FDA가 승인한 유일한 항우울제이지만, 프로작 (플루옥세틴 HCI)도 효과적임을 보여 주었다.


Table 8. Fluoxetine

도표 8. 플루옥세틴


품 명

복용량

부작용

비고

Rx

프로작

30-60mg/일

불면증, 어지럼증, 거식증, 성 기능장애, 착란

인지 행동요법과 배합으로 사용에 관해서 제한적이 sepdlxk만 있음.

Rx = 처방전



Lobeline

로벨린


Lobeline (Bantron) is classified as a category III agent by the FDA, safe but no proven effectiveness. This product is not recommended for use in any smoking cessation program due to its lack of efficacy.[36]

로벨린 (반트론)은 미국 식약청이 카테고리 III 약물로 분류하였고 안전하지만 효과가 입증된 것은 없다. 이 제품은 효험의 부족 때문에 어떤 금연 프로그램에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지 않았다.



Other Agents

기타 약물



Clonidine and nortriptyline have been suggested as possibly useful second-line pharmacotherapies, but are not approved for smoking cessation by the FDA. Nortriptyline is an antidepressant that does not contain nicotine. A meta-analysis of f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found that smokers who received nortriptyline were 2.4 times more likely (95% CI, 1.7–3.6) than smokers who received a placebo to remain abstinent from smoking after 6 months.[37]

클로디닌과 노르트립틸린은 가능성 면에서 유용한 2선 약물요법제로 제안하지만 FDA는 금연용으로 승인하지 않았다. 노르트립틸린은 니코틴을 포함하지 않은 항우울제이다. 5건의 무작위 통제 실험의 메타분석에서 발견한 것은, 노르트립틸린으로 치료한 흡연자들은 플라시보로 치료한 흡연자들보다 6개월 후에도 금연하고 있을 가능성이 2.4배 높다.



Smoking Reduction

흡연량 감소



Among dependent smokers, complete abstinence from smoking is the ultimate goal. Even in instances when complete abstinence from smoking is not achieved, smoking cessation pharmacotherapies may benefit individual health—and ultimately the public’s health—if the smoker reduces the number of cigarettes smoked. The relationship between cigarette smoking and lung cancer, and other smoking-associated malignancies, is strongly dose-dependent. Thus, an individual smoker who is unable to achieve abstinence or who is not motivated to quit smoking may benefit by using pharmacotherapies (or other means) to reduce the number of cigarettes smoked per day. NRT has thus generated attention as a viable means of “harm reduction.” In studies that randomly assigned smokers who were not trying to quit to NRT or placebo, a greater proportion of those randomly assigned to NRT compared with placebo reduced the number of cigarettes per day.[38,39] However, the impact of NRT on smoking reduction appears not to be sustained in the long run.[40] Less evidence is available for bupropion, varenicline, and psychosocial interventions as a means of harm reduction. A potential problem with such a harm reduction strategy would be if it prevented cessation among smokers who would have otherwise quit smoking. Evidence shows that smoking reduction is actually associated with increased likelihood of future cessation.[39,41] Another potential negative aspect of harm reduction would be if smokers reduced the number of cigarettes smoked per day but modified the way the cigarettes were smoked in such a way that exposure to tobacco toxins was not actually reduced (e.g., by inhaling more deeply). Compensatory behaviors such as inhaling more deeply or smoking more of a cigarette are attempts by the smoker to try to maintain nicotine levels, so the use of supplemental NRT presumably safeguards against this. Evidence from studies of smoking reduction with NRT that measured smoking biomarkers indicates that compensation occurs, but not to such an extent that it would be expected to outweigh the reduction in exposure from the reduced number of cigarettes per day.[38]

의존성 흡연자들 중, 완전한 금연은 최종 목표이다. 완전한 금연이 달성되지 않는 경우에도, 금연 약물요법은 흡연자가 흡연량을 줄인다면 개인의 건강 나아가 궁극적으로 대중의 건강에 유익할 수 있다. 담배 흡연과 폐암, 및 다른 흡연관련 악성 질환 간의 관계는 심하게 흡연량에 비례한다. 그리하여, 절제를 할 수 없거나 혹은 금연할 동기부여가 안 된 개별 흡연자는 일일 피우는 담배의 수를 줄이기 위해 약물요법을 이용함으로써 이득을 볼 수 있다. 니코틴 대체요법은 이리하여 “피해 축소”의 사용 가능한 수단으로 주목을 끌었다. 니코틴 대체요법 (NRT)나 플라시보로 금연하려고 시도하지 않은 흡연자들을 무작위로 배정한 연구에서, 플라시보에 비해 무작위로 NRT에 배정된 사람들 중 많은 수가 일일 흡연량을 줄였다. 그러나 흡연 감소에 관한 NRT의 영향은 결국에는 유지되지 않는 것 같다. 피해 축소의 수단으로써 부프로피온과 바레니클린, 및 정신 사회적 개입에 대한 가용 증거가 부족하다. 그러한 피해 축소 전략이 갖고 있는 잠재적 문제들은 축소전략을 사용하지 않았다면 금연에 성공했을지 모르는 흡연자들 중 금연을 방해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흡연 감소는 실제로 장래의 금연 가능성의 증가와 유관하다. 피해 축소의 또 다른 부정적인 면은 흡연자들이 일일 흡연량은 줄였지만 담배의 독성이 실제로는 감소되지 않는 방식 (예를 들면, 더 깊게 흡입함으로써)으로 흡연 형태가 변경되었을지 모른다. 더 깊이 빨아들이거나 담배 한 개비를 더 많니 피우는 것 같은 보상적 행위는 흡연자가 니코틴 수준을 유지하려는 시도이며, 그래서 보조적 NRT는 이런 행동에 대한 안전판을 제공할 수도 있다. 흡연의 생물지표를 측정했던 NRT를 이용한 흡연 감소에 대한 연구의 증거가 나타내는 바는, 보상은 발생하지만 일일 흡연량의 감소로 인한 독성에 노출의 감소를 능가하리라고 예상되는 정도까지는 아니다.



A Changing Marketplace for Tobacco Products and Nicotine-Delivery Devices

담배 제품과 니코틴 공급 장치 시장의 변화



The expansion in the marketplace of tobacco products and devices that deliver nicotine poses new challenges to tobacco control.[42-46] Examples of nontraditional tobacco products in the U.S. market include small cigars, water pipe tobacco smoking (“hookah”), and new types of flavored, smokeless tobacco products modeled after Swedish snus. Prominent among non–tobacco-containing nicotine delivery devices are electronic cigarettes (or “e-cigarettes”) that have experienced a rapid upsurge in use and are now marketed by the major U.S. tobacco companies.[42,43] Monitoring this expansion in products, how the products are used (e.g., product switching, multiple use, and use for tobacco cigarette smoking cessation), and the harms and benefits associated with their use compared to tobacco cigarettes is critical to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tobacco control strategies.

담배 제품과 니코틴을 공급하는 기구들 시장의 확장은 담배관리에 대한 새로운 도전이다. 미국 시장에 있는 비전통적 담배 제품의 실례는 소형 시가와 물파이프 담배 (“쿠카”), 및 새로운 형태의 향을 가미한 스웨덴의 스누스를 본딴 무연 담배 제품 등이다. 담배를 넣지 않은 니코틴 공급 장치 중 눈에 띄는 것은 사용량에서 급성장을 보이며, 현재 주요 미국 담배회사들이 마케팅 활동을 하는 전자담배이다. 제품의 이런 확산을 모니터링해 보면, 제품이 사용되는 방식과 그것들의 사용에 따른 폐해와 이득은 권련과 비교할 때 보다 효과적인 담배 관리 전략의 개발에 치명적이다.




Research to determine the potential risks and benefits of these new products is just beginning to emerge. In a three-arm trial in New Zealand, 657 adult tobacco cigarette smokers who wanted to quit smoking were all referred to a smoking cessation quit line and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nicotine e-cigarettes, nicotine patches, or placebo e-cigarettes.[47] After 3 months of intervention and 3 additional months of follow-up, the primary outcome of 6-month continuous abstinence was 7.3%, 5.8%, and 4.1%, respectively. These quit rates were low in all three arms of the study, and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provide preliminary evidence that e-cigarettes resulted in rates of smoking cessation comparable to those of the nicotine patch, a smoking cessation pharmacotherapy of established efficacy. The trial results also suggested that nicotine e-cigarettes could expand the reach of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s. Compared with the group assigned to the nicotine patch, the group assigned to e-cigarettes had higher adherence to treatment (78% vs. 46%; P < .0001) and were more likely to report that they would recommend their assigned product to a friend wanting to quit (88% vs. 56%; no P-value reported).[47]

이런 신제품들의 잠재적인 폐해와 효험을 알아내기 위한 연구는 이제 막 부상하기 시작한다. 뉴질랜드에서 실시한 3부문 실험에서, 금연을 원하는 657명의 담배 흡연자들이 금연 라인에 소개되었고, 무작위로 니코틴 전자담배와 니코틴 패치, 혹은 플라시보 전자담배에 배정하였다. 3개월의 개입과 또 다른 3개월의 후속관리 후, 6개월의 지속적인 금연의 주요 결과는 각각 7.35, 5.85, 및 4.1%였다. 이런 금연율은 세 부문의 연구에서 모두 낮았으며,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었지만 전자담배가 니코틴 패치와 효험이 확실한 금연약물요법에 필적할만한 금연율을 보였다는 점이다. 실험결과는 니코틴 전자담배가 금연 개입의 영역까지 확장될 수 있음도 보여주었다. 니코틴 패치에 배정된 그룹과 비교했을 때, 전자담배에 배정된 그룹이 더 높은 치료에 집착을 보였고, 그들은 더 많이 금연을 원하는 친구에게 배정된 제품을 소개하겠다고 보고하였다.

저작권자 © 암스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