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I (미국립암연구소) 최신 의학 뉴스

2017-2-21

Milestones in Cancer Research and Discovery (Text-Only Version)

암 연구와 신발견의 이정표

During the past 250 years, we have witnessed many landmark discoveries in our efforts to make progress against cancer, an affliction known to humanity for thousands of years. This timeline shows a few key milestones in the history of cancer research.

지난 250년 동안, 수천 년간 인간들에게 재앙이었던 암에 대한 진보를 이룩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수많은 기념비적인 발견을 목격하였다. 이 연대표를 통하여 암 연구의 역사상 몇 안 되는 주요 기념비적 발견들을 보여준다.

1775: Chimney Soot & Squamous Cell Carcinoma

1775년 ; 굴뚝의 검댕 및 편평세포 암

Percivall Pott identifies a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chimney soot and the incidence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scrotum among chimney sweeps. His report is the first to clearly link an environmental exposure to the development of cancer.

퍼시벌 포트는 굴뚝의 검댕에 노출과 굴뚝 청소부들의 음낭의 편평세포 암 발생과의 상관성을 찾아냈다. 그의 보고서는 환경적인 노출이 암의 발병에 명백한 관련성이 있음을 밝힌 첫 번째였다.

1863: Inflammation & Cancer

1863년 ; 염증과 암

Rudolph Virchow identifies white blood cells (leukocytes) in cancerous tissue, making the first connection between inflammation and cancer. Virchow also coins the term "leukemia" and is the first person to describe the excess number of white blood cells in the blood of patients with this disease.

루돌프 버쵸는 암성의 조직에서 백혈구를 발견하여, 처음으로 암과 염증 사이의 연관성을 입증하였다. 버쵸는 또한 “백혈구”라는 어휘를 처음 만들었고, 이 병에 걸린 환자의 혈액 속에 과도한 수의 백혈구를 밝혀낸 첫 번째 사람이다.

1882: The First Radical Mastectomy to Treat Breast Cancer

1882년 : 유방암 치료를 위한 첫 근치유방절제술

William Halsted performs the first radical mastectomy to treat breast cancer. This surgical procedure remains the standard operation for breast cancer until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윌리엄 할스테드는 유방암 치료를 위해 처음으로 근치유방절제술을 시술하였다. 이 외과적 시술은 20세기의 후반부까지 유방암 수술의 표준으로 남았다.

1886: Inheritance of Cancer Risk

1866년 : 암 위험의 유전

Brazilian ophthalmologist Hilário de Gouvêa provides the first documented evidence that a susceptibility to cancer can be inherited from a parent to a child. He reports that two of seven children born to a father who was successfully treated for childhood retinoblastoma, a malignant tumor of the eye, also developed the disease.

브라질 안과의사 일라리오 델 고베아는 암에 걸리기 쉬운 점이 부모에서 자녀에게 유전될 수 있다는 문서화된 증거를 제시하였다.

1895: The First X-Ray

1895년 : 최초의 X선 촬영

Wilhelm Roentgen discovers X-rays. The first X-ray picture is an image of one of his wife's hands.

빌헬름 뢴트겐은 X선을 발견하였다. 최초의 X선 사진은 자기 부인의 손의 영상이다.

1898: Radium & Polonium

1898년 : 라듐과 폴로늄

Marie and Pierre Curie discover the radioactive elements radium and polonium. Within a few years, the use of radium in cancer treatment begins.

마리&피에르 큐리 부부는 라듐과 폴로늄이라는 방사성 원소를 발견하였다. 몇 년이 지나지 않아 암 치료에서 라듐의 사용이 시작되었다.

1902: Cancer Tumors & Single Cells with Chromosome Damage

1902년 : 암의 종양과 염색체의 손상이 있는 단세포

Theodor Boveri proposes that cancerous tumors arise from single cells that have experienced chromosome damage and suggests that chromosome alterations cause the cells to divide uncontrollably.

테오도르 보베리는 암성의 종양은 염색체가 손상된 단세포로부터 발생한다고 하였고, 염색체의 변형은 세포로 하여금 무절제하게 분화하도록 한다는 사실을 시사하였다.

1903: The First Use of Radiation Therapy to Cure Cancer

1903 : 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사선요법의 최초의 이용

S.W. Goldberg and Efim London describe the use of radium to treat two patients with basal cell carcinoma of the skin. The disease was eradicated in both patients.

S.W골드버그와 에핌 런던은 2명의 피부의 기저세포 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라듐을 사용하였음을 발표하였다. 2명의 환자 모두 그 병이 박멸되었다.

1909: Immune Surveillance

1909년 : 면역감시

"Paul Ehrlich proposes that the immune system usually suppresses tumor formation, a concept that becomes known as the ""immune surveillance"" hypothesis. This proposal prompts research, which continues today, to harness the power of the immune system to fight cancer.

폴 에맇는 면역체계란 보통 “면역감시” 가설로 알려지게 되는 개념인 종양 형성을 억제한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은 오늘날까지도 계속되는 암과 싸우는 면역체계의 힘을 이용하는 연구를 촉진한다.

1911: Cancer in Chickens

1911년 : 병아리의 암

Peyton Rous discovers a virus that causes cancer in chickens (Rous sarcoma virus), establishing that some cancers are caused by infectious agents.

페이턴 로스는 병아리에게 암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로스 육종 바이러스)를 발견하여, 일부 암들은 감염원들 때문에 생긴다는 이론을 세웠다.

1915: Cancer in Rabbits

1915년 토끼의 암

Katsusaburo Yamagiwa and Koichi Ichakawa induce cancer in rabbits by applying coal tar to their skin, providing experimental proof that chemicals can cause cancer.

요마기와 가츠사부로와 이치카와 코이치는 토끼의 피부에 콜타르를 칠하여 토끼에게 암을 유도함으로써 화학물질이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실험적 증거를 제공하고 있다.

1928: The Pap Smear

1928년 : 팹 도말 (칠하는 것)

George Papanicolaou discovers that cervical cancer can be detected by examining cells from the vagina under a microscope. This breakthrough leads to the development of the Pap test, which allows abnormal cervical cells to be detected and removed before they become cancerous.

게오르게 파파니콜로는 자궁경부암은 현미경으로 질에서 채취한 세포들을 검사하여 찾아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 쾌거는 팹 검사의 발달로 이어졌고, 이것은 비정상 자궁경부 세포가 암성을 띄기 전에 탐지 및 제거될 수 있도록 하였다.

1932: The Modified Radical Mastectomy for Breast Cancer

1932년 : 변형 근치유방절제술

David H. Patey develops the modified radical mastectomy for breast cancer. This surgical procedure is less disfiguring than the radical mastectomy and eventually replaces it as the standard surgical treatment for breast cancer.

데이빗 H. 파테이는 근치유방절제술을 변형하였다. 이 외과적 시술은 근치유방절제술보다 덜 흉하게 하여, 유방암에 대한 표준 외과적 치료로서 근치유방절제술을 실질적으로 대체하였다.

1937: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1937년 : 미국 국립암연구소

Legislation signed by President Franklin D. Roosevelt establishes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국립암연구소 (NCI)를 창설하는 입법을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이 서명하였다.

1937: Breast-Sparing Surgery Followed by Radiation

1937년 : 유방 보전 수술 후 방사선 치료가 이어짐

Sir Geoffrey Keynes describes the treatment of breast cancer with breast-sparing surgery followed by radiation therapy. After surgery to remove the tumor, long needles containing radium are inserted throughout the affected breast and near the adjacent axillary lymph nodes.

제프리 케인즈 경이 유방보전 수술 후에 방사선 치료를 하여 유방암을 치료하도록 제시하였다. 종양을 제거하는 수술 후, 라듐을 장착한 긴 바늘을 수술한 유방과 부근의 림프절에 삽입한다.

1941: Hormonal Therapy

1941년 ; 호르몬요법

Charles Huggins discovers that removing the testicles to lower testosterone production or administering estrogens causes prostate tumors to regress. Such hormonal manipulation—more commonly known as hormonal therapy—continues to be a mainstay of prostate cancer treatment.

찰스 히긴스는 테스토스테론 (남성 호르몬의 일종)의 생산을 줄이기 위해 고환을 절제하거나 에스트로겐 (여성 호르몬)을 투여하여 전립선암의 관해를 유도하였다. 호르몬요법으로 더 알려진 그런 호르몬의 조작은 지금까지 전립선암 칠의 주류로 남아있다.

1947: Antimetabolites

1947년 ; 항대사물질 (대사길항물질)

Sidney Farber shows that treatment with the antimetabolite drug aminopterin, a derivative of folic acid, induces temporary remissions in children with acute leukemia. Antimetabolite drugs are structurally similar to chemicals needed for important cellular processes, such as DNA synthesis, and cause cell death by blocking those processes.

시드니 파브는 엽산의 파생물인 항대사물질 약물인 아미노프테린으로 치료하여 소아의 급선 백혈병의 일시적 관해를 유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항대사물질의 약물은 DNA 합성과 같은 중요한 세포과정에 필요한 화학물질과 구조적으로 유사하며, 이 과정을 차단함으로써 세포의 사망을 유발한다.

1949: Nitrogen Mustard

1949년 : 나이트로젠 머스타드 (독가스의 일종으로 암을 치료함)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approves nitrogen mustard (mechlorethamine) for the treatment of cancer. Nitrogen mustard belongs to a class of drugs called alkylating agents, which kill cells by chemically modifying their DNA.

미국 식약청 (FDA)은 암 치료제로서 나이트로젠 머스타드 (메클로레타민)를 승인한다. 나이트로젠 머스타드는 알킬화제라는 계열의 약물에 속하며, DNA를 화학적으로 변형시켜 세포를 죽인다.

1950: Cigarette Smoking & Lung Cancer

1950년 : 흡연과 폐암

Ernst Wynder, Evarts Graham, and Richard Doll identify cigarette smoking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lung cancer.

에른스트 인더와 에바츠 그래함 및 리차드 돌이 흡연은 폐암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1953: The First Complete Cure of a Human Solid Tumor

1953년 : 최초의 인간 고형암의 완치

Roy Hertz and Min Chiu Li achieve the first complete cure of a human solid tumor by chemotherapy when they use the drug methotrexate to treat a patient with choriocarcinoma, a rare cancer of the reproductive tissue that mainly affects women.

로이 허츠와 민 치우 리는 주로 여성들에게 영향을 주는 생식조직의 희귀 암인 융모암 환자를 치료하는데 메토트렉세이트라는 약물을 사용하여 화학요법으로 인간의 고형암을 최초로 완치하는 쾌거를 이룩했다.

1958: Combination Chemotherapy

1958년 : 배합 화학요법

NCI researchers Emil Frei, Emil Freireich, and James Holland and their colleagues demonstrate that combination chemotherapy with the drugs 6-mercaptopurine and methotrexate can induce partial and complete remissions and prolong survival in children and adults with acute leukemia.

국립암연구소의 연구원인 에밀 프레이와 에밀 프리드리히 및 제임스 홀랜드와 그의 동료들은 6-메카프토퓨린과 메토트렉세이트의 배합 화학요법이 급성 백혈병의 어린이와 성인들의 부분 및 완전 관해를 유도할 수 있고, 생존을 연장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1960: The Philadelphia Chromosome

1960년 : 필라델피아 염색체

Peter Nowell and David Hungerford describe an unusually small chromosome in the cancer cells of patients with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ML). This chromosome, which becomes known as the Philadelphia chromosome, is found in the leukemia cells of 95% of patients with CML.

피터 노엘과 데이빗 헝거포드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 (CML) 환자들의 암세포에서 유달리 비정상적인 작은 염색체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필라델피아 염색체로 알려지게된 이 염색체는 CML 환자의 백혈병 세포 95%에서 발견된다.

1964: A Focus on Cigarette Smoking

1964년 : 흡연에 관한 주의

The U.S. Surgeon General issues a report stating that cigarette smoking is an important health hazard in the United States and that action is required to reduce its harmful effects.

미국 위생국장은 흡연은 미국의 중대한 건강상의 위험요소이며 흡연의 유해한 영향을 줄이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1964: The Epstein-Barr virus

1964년 ;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For the first time, a virus—the Epstein-Barr virus (EBV)—is linked to a human cancer (Burkitt lymphoma). EBV is later shown to cause several other cancers, including nasopharyngeal carcinoma, Hodgkin lymphoma, and some gastric (stomach) cancers.

처음으로, 한 바이러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EBV)가 인간의 암에 연관되었다. EBV는 나중에 상인두암과 호지킨 림프종 및 일부 소화기계 (위) 암을 포함한 몇 가지 다른 암을 일으킨다고 알려졌다.

1971: The National Cancer Act

1971년 : 국가 암 관련 법 제정

On December 23, President Richard M. Nixon signs the National Cancer Act, which authorizes the NCI Director to coordinate all activities of the National Cancer Program, establish national cancer research centers, and establish national cancer control programs.

71년 12월 23일, 닉슨 대통령이 전미 암 프로그램의 모든 행위를 조정하는 국립암연구소 소장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국가 암 관련법에 서명하였다.

1976: The DNA of Normal Chicken Cells

1976년 정상적인 병아리 세포의 DNA

Dominique Stehelin, Harold Varmus, J. Michael Bishop, and Peter Vogt discover that the DNA of normal chicken cells contains a gene related to the oncogene (cancer-causing gene) of avian sarcoma virus, which causes cancer in chickens. This finding eventually leads to the discovery of human oncogenes.

도미니크 스트헬린과 해럴드 바무스, J. 마이클 비숍 및 피터 보그트는 공동으로 정상적인 병아리의 세포의 DNA가 병아리의 암을 유발하는 조류육종바이러스의 암 유발 유전자와 관련된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1978: Tamoxifen

1978년 : 타목시펜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approves tamoxifen, an antiestrogen drug originally developed as a birth control treatment, for the treatment of breast cancer. Tamoxifen represents the first of a class of drugs known as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s, or SERMs, to be approved for cancer therapy.

식약청 (FDA)은 원래 산아제한 치료제로 개발된 항에스트로겐 약물인 타목시펜을 유방암 치료제로 승인하였다. 타목시펜은은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혹은 SERM으로 알려진 계열의 약제 중 최초로, 암 치료용으로 승인을 받았다.

1979: The TP53 Gene

1979년 : TP53 유전자

The TP53 gene (also called p53), the most commonly mutated gene in human cancer, is discovered. It is a tumor suppressor gene, meaning its protein product (p53 protein) helps control cell proliferation and suppress tumor growth.

대부분 인간의 암에서 가장 흔하게 돌연 변이된 유전자인 TP53 유전자 (또한 p53으로 불리는)가 발견되었다. 이것은 종양 억제 유전자로, 그 단백질 생성물 (p53 단백질)이 세포의 확산을 조절하며 종양의 성장을 억제한다는 뜻이다.

1984: HER2 Oncogene Identified

1984년 : HER2 종양유전자를 확인하다.

Researchers discover a new oncogene in rat cells that they call “neu.” The human version of this gene, called HER2 (and ErbB2), is overexpressed in about 20% to 25% of breast cancers (known as HER2-positive breast cancers) and is associated with more aggressive disease and a poor prognosis.

연구자들은 생쥐 세포에서 자신들이 “neu”라고 부르는 새로운 종양 유전자를 발견하였다. HER2 ( 및 ErbB2)라는 이 유전자의 인간 버전은 (HER2-양성 유방암으로 알려진) 유방암의 약 20%∼25%에서 과다 발현되고 있고, 보다 공격적인 암과 나쁜 예후와 연관이 있다.

1984: HPV 16 & 18

1984년 인유두종 바이러스 16 및 18

DNA from human papillomavirus (HPV) types 16 and 18 is identified in a large percentage of cervical cancers, establishing a link between infection with these HPV types and cervical carcinogenesis.

인유두종 바이러스 (HPV) 타입 16과 18에서 나온 DNA가 상당한 비율의 자궁경부암에서 발견되었고, 이런 인유두종 바이러스 타입의 감염과 자궁경부 발암의 연관성을 입증하였다.

1985: Breast-Conserving Surgery

1985년 : 유방보전술

Results from an NCI-supported clinical trial show that women with early-stage breast cancer who were treated with breast-conserving surgery (lumpectomy) followed by whole-breast radiation therapy had similar rates of overall survival and disease-free survival as women who were treated with mastectomy alone.

국립암연구소 (NCI)의 지원을 받은 임상시험의 결과가 보여주는 바는, 유방보전수술 후 전유방 방사선요법을 받은 여성들은 유방절제술만d로 치료를 받은 여성들에비해 전반적 생존과 무병 생존에서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1986: HER2 Oncogene Cloning

1986년 : HER2 종양 유전자 복제하기

The human oncogene HER2 (also called neu and erbB2) is cloned. Overexpression of the protein product of this gene, which occurs in about 20% to 25% of breast cancers (known as HER2-positive breast cancers), is associated with more aggressive disease and a poor prognosis.

인간 종양유전자 HER2 (혹은 neu 및 erbB2로도 불린다)가 복제되었다. 유방암의 20%∼25%에서 일어나는 이 유전자의 단백질 생성의 과다 발현은 보다 공격적인 성격의 암과 나쁜 예후와 연관이 있다.

1993: Guaiac Fecal Occult Blood Testing (FOBT)

1993년 : 구아이악 대변잠혈검사 (FOBT)

Results from an NCI-supported clinical trial show that annual screening with guaiac fecal occult blood testing (FOBT) can reduce colorectal cancer mortality by about 33%.

국립암연구소 후원이 임상시험 결과에서 대변잠혈검사로 매년 검진을 하면 대장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약 33% 정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1994: BRCA1 Tumor Suppressor Gene Cloning

1994년 : BRCA1 종양 억제 유전자 복제

The tumor suppressor gene BRCA1 is cloned. Specific inherited mutations in this gene greatly increase the risks of breast and ovarian cancer in women and the risks of several other cancers in both men and women.

종양 억제 유전자 BRCA이 복제되었다. 이 유전자의 특수한 유전적 돌연변이는 여성의 유방암 및 자궁암의 위험을 크게 증가시키고, 남녀 공히 몇몇의 암의 위험도 증가시킨다.

1995: BRCA2 Tumor Suppressor Gene Cloning

1995년 : BRCA2 종양 억제 유전자 복제

The tumor suppressor gene BRCA2 is cloned. Similar to BRCA1, inheriting specific BRCA2 gene mutations greatly increases the risks of breast and ovarian cancer in women and the risks of several other cancers in both men and women.

종양 억제 유전자 BRCA2가 복제되었다. BRCA1과 유사하게, 유전성 특수BRCA2 유전자 돌연변이는 여성의 유방 및 자궁암 위험과 남녀의 몇 몇 다른 암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1996: Anastrozole

1996년 : 아나스트로졸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approves anastrozole for the treatment of estrogen receptor-positive advanced breast cancer in postmenopausal women. Anastrozole is the first aromatase inhibitor (a drug that blocks the production of estrogen in the body) to be approved for cancer therapy.

식약청은 폐경 후 여성의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의 진행성 유방암치료용 으로 아나스트로졸을 승인하였다. 아나스트로졸은 암 치료용으로 승인을 받은 최초의 아로마타제 억제제 (인체 내에서 여성호르몬의 생산을 차단하는 약제)이다.

1997: Rituximab

1997년 : 리툭시맙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approves rituximab, a monoclonal antibody, for use in patients with treatment-resistant, low-grade or follicular B-cell non-Hodgkin lymphoma (NHL). Rituximab is later approved as an initial treatment for these types of NHL, for another type of NHL called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and for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식약청은 단성 복제 항체인 리툭시맙을 승인하여 치료에 저항하는 환자들과 저등급 혹은 여포성 B-세포 비 호지킨 림프종 용으로 사용하였다. 리툭시맙은 나중에 비 호지킨 림프종에 대한 첫 번째 치료용으로 승인을 받았다.

1998: NCI-Sponsored Breast Cancer Prevention Trial

1998년 : NCI 후원 유방암 예방 임상시험

Results of the NCI-sponsored Breast Cancer Prevention Trial show that the antiestrogen drug tamoxifen can reduce the incidence of breast cancer among women who are at increased risk of the disease by about 50%.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approves tamoxifen to reduce the incidence of breast cancer in women at increased risk.

NCI가 후원한 유방암 임상시험의 결과는 항 에스트로겐 약물 타목시펜은 약 50%로 발병의 위험이 있는 여성들 중 유방암의 발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FDA는 위험도가 높은 여성들의 유방암 발병을 줄이기 위해 타목시펜을 승인하였다.

1998: Trastuzumab

1998년 : 트라스투주맙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approves trastuzumab, a monoclonal antibody that targets cancer cells that overproduce the protein HER2, for the treatment of women with HER2-positive metastatic breast cancer. Trastuzumab is later approved for the adjuvant (post-operative) treatment of women with HER2-positive early-stage breast cancer.

FDA는 HER2 양성의 전이 유방암 환자의 치료를 위해, HER2 단백질을 과잉으로 생산하는 암세포를 표적으로 삼는 모노클론 (단성 복제) 항체인 트라스투주맙을 승인하였다. 트라스투주맙은 나중에 HER2 양성의 초기 유방암 환자의 보조요법 (수술 후)제로 승인을 받았다.

2001: Imatinib Mesylate

2001년 : 이마티닙 메실레이트 (메실산 이마티닙)

Results of a clinical trial show that the drug imatinib mesylate, which targets a unique protein produced by the Philadelphia chromosome, is effective against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ML). Later, it is also shown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GIST).

임상시험의 결과, 필라델피아 염색체에 의해 생산된 독특한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는 이마티닙 메실레이트라는 약제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에 효과적임을 나타냈다. 나중에는, 이 약은 또한 소화관의 기질 종양의 치료에도 유효함을 보였다.

2003: NCI-Sponsored Prostate Cancer Prevention Trial (PCPT)

2003년 : 국립암연구소 후원의 전립선암 예방 시험

Results of the NCI-sponsored Prostate Cancer Prevention Trial (PCPT) show that the drug finasteride, which reduces the production of male hormones in the body, lowers a man's risk of prostate cancer by about 25%.

NCI 후원의 전립선암 예방시험 (PCPT)에서. 인체 내에서 남성호르몬 생산을 감소시키는 피나스테라이드라는 약이 약 25% 정도로 남성들의 전립선 암의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2006: NCI's Study of Tamoxifen and Raloxifene (STAR)

2006년 : 국립암연구소의 타목시펜과 라록시펜의 연구 (STAR)

Results of NCI's Study of Tamoxifen and Raloxifene (STAR) show that postmenopausal women at increased risk of breast cancer can reduce their risk of developing the disease if they take the antiestrogen drug raloxifene. The risk of serious side effects is lower with raloxifene than with tamoxifen.

NCI의 타목시펜과 라록시펜에 대한 연구에서, 유방암 위험도가 증가하는 폐경기 여성들은 만일 자신들이 항에스트로겐 약물 라록시펜을 복용하면 암에 걸릴 위험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2006: Gardasil

2006년 : 가디실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approves the human papilloma virus (HPV) vaccine Gardasil, which protects against infection by the two types of HPV that cause approximately 70% of all cases of cervical cancer. NCI scientists developed the underlying technology used to make Gardasil.

식약청 (FDA)은 전체 ㅈ궁경ㅂ암의 약 70%를 유발하는 두 가지 유형의 인유두종바이러스 (HPV)에 의한 감염을 막아주는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 가다실을 승인하였다.

2009: Cervarix

2009년 ; 서바릭스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approves Cervarix, a second vaccine that protects against infection by the two types of the human papilloma virus (HPV) that cause approximately 70% of all cases of cervical cancer worldwide. NCI scientists developed the underlying technology used to make Cervarix.

식약청은 세계적으로 모든 자궁경부암의 약 70%를 유발하는 두 종류의 인유두종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을 막아주는 두 번째 백신인 서바릭스를 승인하였다. NCI의 과학자들은 서바릭스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기본 기술을 개발하였다.

2010: The First Human Cancer Treatment Vaccine

2010년 : 최초의 인간 암 치료 백신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approves sipuleucel-T, a cancer treatment vaccine that is made using a patient's own immune system cells (dendritic cells), for the treatment of metastatic prostate cancer that no longer responds to hormonal therapy. It is the first (and so far only) human cancer treatment vaccine to be approved.

식약청 (FDA)은 더 이상 호르몬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전이 전립선암의 치료를 위해 환자 자신의 면역체계 세포(수지상 [나무 가지 모양] 세포)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암 치료 백신인 시플루셀-T를 승인하였다. 이것은 지금까지 승인을 받은 최초의 인간의 암 치료 백신이다.

2010: NCI-Sponsored Lung Cancer Screening Tiral (NLST)

2010년 : NCI 후원의 폐암 검진 임상시험

Initial results of the NCI-sponsored Lung Cancer Screening Trial (NLST) show that screening with low-dose helical computerized tomography (CT) reduced lung cancer deaths by about 20% in a large group of current and former heavy smokers.

NCI 후원의 폐암 검진 임상시험의 첫 결과로, 저용량 나선형 컴퓨터 단층촬영 (CT)을 이용한 검진은 대형의 현재 및 과거의 골초 그룹에서 약 20%까지 폐암 사망률을 감소시킴을 보여주었다.

2011: Ipilimumab

211년 : 이필리무맙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approves the use of ipilimumab, a monoclonal antibody, for the treatment of inoperable or metastatic melanoma. Ipilimumab stimulates the immune system to attack cancer cells by removing a "brake" that normally controls the intensity of immune responses.

식약청은 수술이 불가하거나 혹은 전이 흑색종의 치료용으로 모노클론 항체인 이필리무맙의 사용을 승인하였다. 이필리무맙은 면역반응의 강도를 정상적으로 조절하는 “브레이크”를 제거함으로써 암세포를 공격하기 위해 면역체계를 자극한다.

2012: NCI-Sponsored PLCO Cancer Screening Trial

2012년 : NCI 후원의 PLCO 암 검진 임상시험

Results of the NCI-sponsored PLCO Cancer Screening Trial confirm that screening people 55 years of age and older for colorectal cancer using flexible sigmoidoscopy reduces colorectal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In the PLCO, screened individuals had a 21% lower risk of developing colorectal cancer and a 26% lower risk of dying from the disease than the control subjects.

유연한 s상결장경검사를 사용한 55세 이상의 사람들의 결장암 검진은 결장암의 발병과 사망률을 줄인다는 사실을 NCI 후원의 PLCO 암 검진 임상시험의 결과가 확인하였다.

2013: Ado-Trastuzumab Emtansine (T-DM1)

2013년 : 아도-트라스투주맙 엠탄신 (T-DM1)

The FDA approves ado-trastuzumab emtansine (T-DM1)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HER2-positive breast cancer who were previously treated with trastuzumab and/or a taxane drug. T-DM1 is an immunotoxin (an antibody-drug conjugate) that is made by chemically linking the monoclonal antibody trastuzumab to the cytotoxic agent mertansine, which inhibits cell proliferation by blocking the formation of microtubules.

식약청은 이전에 트라스투주맙 및/혹은 탁산 약제로 치료를 받은 HER2 양성의 유방암환자의 치료용으로 아도-트라스투주맙 엠탄신 (T-DM1)을 승인하였다. T-DM1은 모노클론 항체 트라스투주맙을 세포 독성제 메르탄신에 화학적으로 연결시켜서 만들어진 항체독소이며, 메르탄신은 미세소관 (혹은 미소관)의 형성을 차단함으로써 세포의 확산을 억제한다.

2014: Analyzing DNA in Cancer

2014년 : 암의 DNA 분석하기

Researchers from The Cancer Genome Atlas (TCGA) project, a joint effort by NCI and the National Human Genome Research Institute to analyze the DNA and other molecular changes in more than 30 types of human cancer, find that gastric (stomach) cancer is actually four different diseases, not just one, based on differing tumor characteristics. This finding from TCGA and other related projects may potentially lead to a new classification system for cancer, in which cancers are classified by their molecular abnormalities as well as their organ or tissue site of origin.

30종 이상의 인간의 암에 대한 DNA와 다른 분자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국립암연구소와 국립 인간 지놈 연구소가 합동으로 연구하는 암 지놈 지도 (TCGA) 프로젝트의 과학자들은, 위암이 다른 종양의 특성을 가진 한 종류가 아닌 실제로는 4종류의 별개의 암이라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암 지놈 지도 프로젝트와 기타 관련 프로젝트가 찾아낸 이 발견은 암에 대한 새로운 분류 체계로 바꾸어야 할지도 모른다. 말하자면 암은 원발 부위의 장기나 조직뿐만 아니라 그 분자의 비정상성으로 분류해야 한다는 것이다.

2014: Pembrolizumab

2014년 : 펨브롤리주맙

The FDA approves pembrolizumab for the treatment of advanced melanoma. This monoclonal antibody blocks the activity of a protein called PD1 on immune cells, which increases the strength of immune responses against cancer.

FDA는 진행성 흑색종의 치료용으로 펨브롤리주맙을 승인하였다. 이 모노클론 항체 (펨브롤리주맙)는 암에 대적하는 면역반응의 힘을 증강시키는 면역세포에 있는 PD1이라는 한 단백질의 작용을 차단한다.

저작권자 © 암스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