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ieving Mouth Sores from Cancer Treatment: The Discovery of Palifermin

암 치료로 인한 악성 구내염 완화하기 : 팔리퍼민의 발견

Updated: April 11, 2018

2018년 4월 11일

Research and collaboration by NCI scientists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palifermin, a very successful treatmen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outh sores (known as oral mucositis). This drug vastly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ho are undergoing intensive cancer treatment.

국립암연구소의 과학자들의 연구와 공동 작업에 힘입어 구내염(구강 점막염으로 알려진)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매우 성공적인 치료제인 팔라퍼민의 개발에 성공하였다. 이 약은 강력한 암 치료를 진행 중인 환자의 삶의 질을 대단히 향상시킨다.

Relief for Painful Mouth Sores Due to Cancer Treatment

암 치료로 인한 구내염 통증의 완화

Chemotherapy and radiation kill rapidly growing cells, including those in the mouth and hair. As a result, some cancer patients undergoing these treatments develop painful mouth sores and ulcers, called oral mucositis. This inflammation of the mucous membranes in the mouth and throat can cause considerable pain when eating, speaking, or drinking.

화학요법과 방사선은 입과 머리칼에 있는 세포를 포함하여 빠르게 자라는 세포를 죽인다. 그 결과 이런 치료를 받고 있는 일부 환자들은 구강 점막염이라 부르는 고통스러운 구내염과 궤양이 발병한다. 이 입과 목의 점막의 염증은 먹고, 말하거나 마실 때 상당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The sores also leave patients open to potentially life-threatening infections. Patients with severe mucositis may need intravenous nutrition, antibiotics to fight infections, pain medicines, and longer hospital stays. For years, doctors wondered what could be done to relieve oral mucositis in patients receiving cancer treatment.

이 염증으로 인한 상처는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는 감염에 그냥 노출된다. 심한 점막염 환자는 정맥을 통한 영양 공급과 감염과 싸우기 위한 항생제, 진통제 및 꽤 장기간의 입원이 필요할 수 있다. 수년 동안, 의사들은 암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점막염 완화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두고 고민을 해왔다.

A Chance Discovery Leads to a Possible Solution

우연한 발견이 가능한 해법의 열쇠가 되다.

In the late 1980’s, NCI scientists Jeffrey Rubin, M.D., Ph.D., Stuart Aaronson, M.D., and Paul Finch, Ph.D., were conducting research to identify proteins that play a role in cancer cell growth. They studied epithelial cells, which line the surfaces of the body’s organs, because many tumors are derived from these cells.

1980년대 후반에, 국립암연구소 소속의 과학자 제프리 루빈 박사와 스튜아트 아론슨 박사 및 폴 핀치 박사는 암세포의 성장에 어던 역할을 하는 단백질을 찾아내는 연구를 하고 있었다. 그들은 인체의 장기의 표면의 내벽을 형성하는 상피세포를 연구하였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종양은 이런 세포에서 시작하기 때문이다.

Instead of finding a culprit of uncontrolled cancer growth, the scientists identified and isolated another molecule, that they called keratinocyte growth factor (KGF), that turned out to be expressed in epithelial wounds.

통제 불가한 암 성장의 용의자를 발견하는 대신, 과학자들은 상피의 상처에 나타나는(발현되는) 것으로 판명된 각질형성세포 성장인자(KGF)라 부르는 또 다른 분자를 발견하여, 분리하였다.

Subsequent research showed that KGF aids the healing process by stimulating the growth of epithelial cells in tissues such as the skin and mouth. And additional research showed that treating cancer patients with KGF before cancer treatment had a strong protective effect, limiting the damage cancer treatments can inflict on the rapidly dividing cells of the mouth.

후속 연구에서, KGF는 피부와 입 같은 조직의 상피세포의 성장을 자극함으로써 치유의 과정을 돕는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그리고 추가적인 연구에서, 암 치료 전에 각질형성세포 성장인자(KGF)로 암 환자를 치료하면 강한 예방 효과로, 암 치료가 입안의 빠르게 분화하는 세포에 끼치는 손상을 제한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These studies suggested that KGF could potentially be used to treat or prevent oral mucositis.

이런 연구가 제시하는 바는, KGF는 구강 점막염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것이었다.

NCI Collaboration Speeds Drug Development to Treat Mouth Sores

국립암연구소의 공동연구는 구내염 치료제의 개발을 가속화했다.

To speed the translation of this discovery from the laboratory to patients, NCI sought out a commercial partner to develop KGF into a drug treatment. In an example of a successful public-private partnership, NCI worked with Amgen, a biotechnology company, to develop the drug palifermin (Kepivance). Palifermin is a modified version of human KGF that is manufactured in a lab.

연구실로부터 환자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국립암연구소는 KGF를 약물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해 상업적 파트너를 찾아 나섰다. 성공적인 민관 합작의 표본으로, 국립암연구소는 바이오 기술 회사인 암젠(Amgen)과 공동으로 팔리퍼민 (상표명 : 케피반스)이라는 약을 개발하였다. 팔리퍼민은 연구소에서 생산되는 인간 각질형성세포 성장인자의 수정판이다.

In a key clinical trial involving multiple NCI-designated cancer centers, over 200 cancer patients received either palifermin or a placebo with their cancer treatment. This study showed that, for patients with blood cancers who were receiving high-dose radiation and chemotherapy, those given palifermin had a much lower incidence of the most debilitating form of oral mucositis. Compared to patients who received placebo, patients who received palifermin also needed less pain medicine and intravenous nutrition.

국립암연구소가 지정한 다수의 암센터들이 관여한 한 핵심 임상시험에서, 200여명의 암 환자들이 암 치료제와 더불어 팔리퍼민이나 플라시보(가짜 약)를 처방받았다. 이 연구에서, 고용량 방사선과 화학요법을 받고 있던 혈액 암 환자들에게 팔리퍼민을 투여한 사람들은 가장 사람을 약화시키는 유형의 구강 점막염의 발병이 훨씬 낮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플라시보를 투여 받은 환자들과 비교하여, 팔리퍼민을 투여 받은 환자들 역시 진통제와 정맥 영양 공급의 필요가 줄었다.

Palifermin Improves Quality of Life for Cancer Patients

팔리퍼민은 암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Based on these findings, in 2004,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approved palifermin for the treatment of oral mucositis in patients with blood cancers who are receiving intensive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followed by a stem cell (blood or bone marrow) transplant.

이런 발견에 의거하여, 2004년에 식약청(FDA)은 줄기세포 (혈액이나 골수)이식에 이어 강력한 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을 받고 있는 혈액 암 환자의 구강 점막염의 치료제로 팔리퍼민을 승인하였다.

Currently, palifermin is only approved for use in patients with blood cancers. Additional studies have suggested that it is safe and effective in reducing severe oral mucositis in patients treated for other cancers, particularly head and neck cancers. NCI scientists are currently studying its use for other conditions, such as graft-versus-host disease (GVHD), a complication that occurs in bone marrow or stem cell transplant patients.

현재, 팔리퍼민은 혈액 암 환자에 대한 사용에만 승인을 받았다. 추가적인 연구에서, 팔리퍼민은 다른 암들 특히 두경부 암을 치료 중인 환자의 심한 구강 점막염을 완화하는데 안전하고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하였다. 국립암연구소 과학자들은 현재 이식 대 숙주 병(GVHD)과 골수나 줄기세포 이식 환자에게 나타나는 합병증 같은 다른 질환에 대한 이용도를 연구 중이다.

Because of NCI research, clinicians now have a remarkably successful treatmen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ral mucositis, vastly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ho are undergoing intensive cancer treatment.

국립암연구소의 연구 때문에, 임상 전문의들은 이제 구강 점막염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엄청나게 성공적인 치료제를 가지고, 강력한 암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의 삶의 질을 널리 향상시키고 있다.

저작권자 © 암스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