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ll Phones and Cancer Risk (2-1)

휴대 전화기와 암의 위험 (2-1)

Updated: January 9, 2019

갱신 : 2019년 1월 9일

On This Page

이곳에는

• Why is there concern that cell phones may cause cancer or other health problems?

휴대폰이 암이나 기타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가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가?

• What is radiofrequency radiation and how does it affect the human body?

고주파 방사선은 무엇이며 어떻게 인체에 영향을 미치나?

• How is radiofrequency radiation exposure measured in epidemiologic studies?

고주파 방사선 노출은 역학적 연구에서 어떻게 측정하나?

• What has epidemiologic research shown about the association between cell phone use and cancer risk?

역학적 연구에서는 휴대폰과 암의 위험 간의 연관성에 대해 어떤 의견을 보였나?

• What are the findings from experimental studies?

고주파 방사선의 실험연구의 결과는 어떠한가?

• Why are the findings from different studies of cell phone use and cancer risk inconsistent?

휴대폰 사용과 암 위험에 대한 다른 연구에서 나온 결과들이 왜 일관성이 없는가?

• What are other possible health effects from cell phone use?

휴대폰 사용의 기타 건강상 예상 가능한 영향은 무엇인가?

• What have expert organizations said about the cancer risk from cell phone use?

전문가 단체에서는 휴대폰 사용의 암 위험에 대해 무어라 말하는가?

• What studies are under way that will help further our understanding of the possible health effects of cell phone use?

휴대폰 사용의 가능한 건강 영향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연구는 어떤 것인가?

• Has radiofrequency radiation from cell phone use been associated with cancer risk in children?

휴대폰 사용에서 나오는 고주파 방사선은 어린이 암 위험과 연관성이 있는가?

• What can cell phone users do to reduce their exposure to radiofrequency radiation?

휴대폰 사용자는 고주파 방사선에 노출을 줄이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나?

• Where can I find more information about radiofrequency radiation from my cell phone?

어디에서 내 휴대폰의 고주파 방사선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나?

• How common is brain cancer? Has the incidence of brain cancer changed over time?

뇌 암은 요즘 얼마나 흔하며 그 발병률은 시간이 지나면서 달라졌나?

Why is there concern that cell phones may cause cancer or other health problems?

휴대폰이 암이나 기타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가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가?

There are three main reasons why people are concerned that cell phones (also known as “mobile” or “wireless” telephones) might have the potential to cause certain types of cancer or other health problems:

사람들이 휴대폰("모바일" 또는 "무선" 전화라고도 함)이 특정 종류의 암이나 다른 질환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하는 세 가지 주요 이유가 있다.

•Cell phones emit radiofrequency radiation (radio waves), a form of non-ionizing radiation, from their antennas. Parts of the body nearest to the antenna can absorb this energy.

휴대폰은 안테나에서 비이온화 방사선의 일종인 고주파(라디오파)를 방출한다. 안테나와 가장 가까운 신체 부분은 이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The number of cell phone users has increased rapidly. There were over 400 million cell phone subscribers in the United States in 2017, according to the Cellular Telecommunications and Internet Association. Globally, there are more than 5 billion cell phone users.

휴대전화 사용자 수가 급격히 증가해 왔다. 이동통신 및 인터넷 협회에 따르면 2017년 미국에는 4억 명 이상의 휴대전화 가입자가 있었다. 전 세계적으로 50억 명 이상의 휴대폰 사용자들이 있다.

•Over time, the number of cell phone calls per day, the length of each call, and the amount of time people use cell phones have increased. Because of changes in cell phone technology and increases in the number of base stations for transmitting wireless signals, the exposure from cell phone use—power output—has changed, mostly lowered, in many regions of the United States (1).

시간 경과에 따라 하루 휴대전화 통화 건수와 통화 시간의 길이 및 사람들의 사용 시간 등이 증가했다. 휴대전화 기술의 변화와 무선 신호 전송을 위한 기지국 수의 증가로 인해, 미국의 많은 지역에서 휴대폰 사용의 노출 즉 고주파의 출력은 대부분 낮아졌다.

The NCI fact sheet Electromagnetic Fields and Cancer includes information o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commonly known as Wi-Fi), cell phone base stations, and cordless telephones.

국립암연구소의 전자기 분야 및 암 관련 자료표에는 무선 지역 네트워크(일반적으로 Wi-Fi라 함)와 휴대전화 기지국 및 무선 전화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What is radiofrequency radiation and how does it affect the human body?

고주파 방사선은 무엇이며 어떻게 인체에 영향을 미치나?

Radiofrequency radiation is a form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Electromagnetic radiation can be categorized into two types: ionizing (e.g., x-rays, radon, and cosmic rays) and non-ionizing (e.g., radiofrequency and extremely low frequency, or power frequency). Electromagnetic radiation is defined according to its wavelength and frequency, which is the number of cycles of a wave that pass a reference point per second. Electromagnetic frequencies are described in units called hertz (Hz).

고주파 방사선은 전자기 방사선의 한 형태다. 전자기 방사선은 이온화(예: X선, 라돈, 우주광선)와 비이온화(예: 무선주파수 및 초저주파수 또는 전력의 상용주파수)의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전자기 방사선은 파장과 주파수에 따라 정의되는데, 이는 초당 기준점을 통과하는 파장의 주기(사이클)의 수이다. 전자기 주파수는 헤르츠(Hz)라는 단위로 설명된다.

The energy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s determined by its frequency; ionizing radiation is high frequency, and therefore high energy, whereas non-ionizing radiation is low frequency, and therefore low energy. The NCI fact sheet Electromagnetic Fields and Cancer lists sources of radiofrequency radiation. More information about ionizing radiation can be found on the Radiation page.

전자기 방사선의 에너지는 주파수에 의해 결정된다. 이온화(전리)방사선은 고주파, 따라서 고에너지인 반면 비이온방사선은 저주파, 따라서 저에너지다. 국립암연구소 자료표의 전자기장과 암에는 고주파수 방사선의 공급원을 목록으로 정리하였다. 이온화(전리)방사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방사선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The frequency of radiofrequency electromagnetic radiation ranges from 30 kilohertz (30 kHz, or 30,000 Hz) to 300 gigahertz (300 GHz, or 300 billion Hz). Electromagnetic fields in the radiofrequency range are used for telecommunications applications, including cell phones, televisions, and radio transmissions. The human body absorbs energy from devices that emit radiofrequency electromagnetic radiation. The dose of the absorbed energy is estimated using a measure called the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which is expressed in watts per kilogram of body weight.

고주파수 전자기 방사선의 주파수는 30 킬로헤르츠(30 kHz, 또는 30,000 Hz)에서 300 기가헤르츠(300 GHz, 또는 3,000억 Hz)까지이다. 고주파수 영역의 전자기장은 휴대전화와 텔레비전, 무선 송신을 포함한 장거리통신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 인체는 고주파수 전자기 방사선을 방출하는 장치에서 에너지를 흡수한다. 흡수된 에너지의 선량은 체중의 kg당 와트로 표현되는 특정 흡수율(SAR)이라는 측정치를 사용하여 추정한다.

Exposure to ionizing radiation, such as from x-rays, is known to increase the risk of cancer. However, although many studies have examined the potential health effects of non-ionizing radiation from radar, microwave ovens, cell phones, and other sources, there is currently no consistent evidence that non-ionizing radiation increases cancer risk in humans (2).

엑스레이에서 나오는 것과 같은 이온화 방사선에 노출되면 암의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에서 레이더와 전자레인지, 휴대전화 및 기타 공급원에서 나오는 비이온화 방사선의 잠재적 건강 영향을 조사했지만, 현재 비이온화 방사선이 사람의 암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일관된 증거는 없다(2).

The only consistently recognized biological effect of radiofrequency radiation in humans is heating. The ability of microwave ovens to heat food is one example of this effect of radiofrequency radiation. Radiofrequency exposure from cell phone use does cause heating to the area of the body where a cell phone or other device is held (e.g., the ear and head). However, it is not sufficient to measurably increase body temperature. There are no other clearly established effects on the human body from radiofrequency radiation.

인간에게서 유일하게 지속적으로 인지 가능한 고주파수 방사선의 생물학적 효과는 열기이다. 전자레인지에서 음식을 데울 수 있는 능력은 고주파수 방사선의 이런 효과의 한 예다. 휴대전화 사용으로 인한 고주파수 노출은 휴대전화나 다른 기기가 접촉하는 부위(예: 귀와 머리)까지 가열되는 원인이 된다. 하지만, 측정 가능한 체온 증가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고주파수 방사선에 의한 인체에 분명하게 확립된 영향은 없다.

How is radiofrequency radiation exposure measured in epidemiologic studies?

고(무선)주파 방사선 노출은 역학적 연구에서 어떻게 측정하나?

Epidemiologic studies use information from several sources, including questionnaires and data from cell phone service providers, to estimate radiofrequency radiation exposure. Direct measurements are not yet possible outside of a laboratory setting. Estimates take into account the following:

역학 연구는 무선주파 방사선 피폭 추정을 위해 설문지와 휴대전화 서비스 제공업체의 데이터를 포함한 여러 근원들의 정보를 이용한다. 직접 측정은 실험실 환경 밖에서 아직 가능하지 않다. 추정치에는 다음의 것들이 고려된다.

•How “regularly” study participants use cell phones (the number of calls per week or month)

연구 참가자의 휴대전화 사용 빈도(주간 또는 월간 통화 수)

•The age and the year when study participants first used a cell phone and the age and the year of last use (allows calculation of the duration of use and time since the start of use)

연구 참가자가 휴대전화를 처음 사용한 연령 및 년도와, 마지막 사용연령과 연도.

•The average number of cell phone calls per day, week, or month (frequency)

일, 주 또는 월 평균 휴대폰 통화 수(빈도)

•The average length of a typical cell phone call

일반적인 휴대폰 통화의 평균 기간

•The total hours of lifetime use, calculated from the length of typical call times, the frequency of use, and the duration of use

일반적인 통화 시간, 사용 빈도 및 사용 기간을 기준으로 계산된 평생 사용 시간

What has epidemiologic research shown about the association between cell phone use and cancer risk?

역학적 연구에서는 휴대폰과 암의 위험 간의 연관성에 대해 어떤 의견을 보였나?

Researchers have carried out several types of epidemiologic studies in human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a relationship between cell phone use and the risk of malignant (cancerous) brain tumors, such as gliomas, as well as benign (noncancerous) tumors, such as acoustic neuroma (tumors in the cells of the nerve responsible for hearing that are also known as vestibular schwannomas), meningiomas (usually benign tumors in the membranes that cover and protect the brain and spinal cord), and parotid gland tumors (tumors in the salivary glands) (3).

연구자들은 휴대폰 사용과 청각 신경종(전방 신경초종이라는 청각을 책임진 신경 세포의 종양)과 수막종(뇌와 척수를 덮어서 보호하는 횡격막 내의 양성 종양) 및 이하선 종양(침샘에 생긴 종양) 같은 양성 종양뿐만 아니라 신경교종 같은 악성 뇌종양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몇 종류의 인간 대상의 역학 연구를 실시하였다.

In one type of study, called a case–control study, cell phone use is compared between people with these types of tumors and people without them. In another type of study, called a cohort study, a large group of people who do not have cancer at study entry is followed over time and the rate of these tumors in people who did and didn’t use cell phones is compared. Cancer incidence data can also be analyzed over time to see if the rates of brain tumors changed in large populations during the time that cell phone use increased dramatically. These studies have not shown clear evidence of a relationship between cell phone use and cancer. However, researchers have reported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s for certain subgroups of people.

환자-대조군 연구라고 불리는 한 연구 유형에서, 이러한 유형의 종양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들의 휴대폰 사용을 비교한다. 집단 연구라는 또 다른 종류의 연구에서, 임상시험 참가 시 암에 걸리지 않은 많은 사람의 그룹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과를 관찰하고, 휴대폰 보유자와 무 보유자 간의 종양 발생률을 비교한다. 암 발병률 데이터는 또한 휴대폰 사용이 급격히 증가한 기간 동안 다수의 사람들의 뇌종양 발병률이 변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분석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휴대 전화 사용과 암 사이의 관계에 대한 명확한 증거를 보여주지 못했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특정 하위집단에서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고하였다.

Three large epidemiologic studies have examined the possible association between cell phone use and cancer: Interphone, a case–control study; the Danish Study, a cohort study; and the Million Women Study, another cohort study.

세 곳의 대규모 역학 연구에서 휴대 전화 사용과 암 사이의 가능한 연관성을 조사했다. 세 곳의 연구란 1)인터폰 연구, 환자-대조군 연구 2)덴마크 연구, 코호트 연구 3) 백만 인의 여성 연구라는 또 다른 집단 연구를 말한다.

. Interphone

「인터폰 연구」

How the study was done: This is the largest health-related case–control study of cell phone use and the risk of head and neck tumors. It was conducted by a consortium of researchers from 13 countries. The data came from questionnaires that were completed by study participants.

연구 수행 방법: 이것은 휴대 전화 사용과 두경부 종양 위험성에 대한 가장 큰 건강 관련 사례-대조 연구다. 이 연구는 13개국의 연구자들로 구성된 컨소시엄에 의해 수행되었다. 이 자료는 연구 참가자들이 작성한 설문지로부터 나온 것이었다.

What the study showed: Most published analyses from this study have show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brain or other central nervous system cancers related to higher amounts of cell phone use. One analysi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lthough modest, increase in the risk of glioma among the small proportion of study participants who spent the most total time on cell phone calls. However, the researchers considered this finding inconclusive because they felt that the amount of use reported by some respondents was unlikely and because the participants who reported lower levels of use appeared to have a slightly reduced risk of brain cancer compared with people who did not use cell phones regularly (4–6).

연구 결과: 이 연구에서 발표된 대부분의 분석결과는 더 많은 휴대 전화 사용과 관련된 뇌나 다른 중추신경계 암의 증가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것임을 보여주지 못했다. 한 분석에서는 비록 미미하게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지만, 휴대폰 통화에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낸 소수의 연구 참가자들 사이에서 신경교종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일부 응답자가 보고한 사용량이 개연성이 적고 정기적으로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에 비해 뇌종양 위험이 약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이 발견이 결론을 지을만한 증거가 없다고 연구자들은 판단했다(4–6).

An analysis of data from all 13 countries participating in the Interphone study repo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intracranial distribution of tumors within the brain and self-reported location of the phone (7). However, the authors of this study noted that it is not possible to draw firm conclusions about cause and effect based on their findings.

「인터폰 연구」에 참여한 13개국 모두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뇌 종양의 두개頭蓋 내 분포와 전화사용 위치의 자체 보고 (7) 간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연관성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 연구의 저자들은 그들의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원인과 결과에 대한 확고한 결론을 도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했다.

Additional analyses of data from Interphone countries

「인터폰 연구」참가국 데이터의 추가 분석

An analysis of data from five Northern European countries in the Interphone study showed an increased risk of acoustic neuroma only in those who had used a cell phone for 10 or more years (8).

「인터폰 연구」에서 북유럽 5개국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0년 이상 휴대전화를 사용한 사람들(8)에서만 청각 신경종神經腫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subsequent analyses of Interphone data, investigators addressed issues of risk according to specific location of the tumor and estimated exposures. One analysis of data from seven of the countries in the Interphone study found no relationship between brain tumor location and regions of the brain that were exposed to the highest level of radiofrequency radiation from cell phones (9). However, another study, using data from five of the countries, reported suggestions of an increased risk of glioma and, to a lesser extent, of meningioma developing in areas of the brain experiencing the highest exposure (10).

「인터폰 연구」 데이터의 후속 분석에서 조사자들은 종양의 특정 위치와 그 추정 피폭에 의한 암의 위험 문제를 다루었다. 「인터폰 연구」에서 7개국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휴대 전화(9)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무선주파수 방사선에 노출된 뇌종양 위치와 뇌 부위 사이의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5개국의 데이터를 이용한 또 다른 연구에서는 가장 높은 노출(10)을 경험하는 뇌의 영역에서 발병하는 신경교종 위험 증가와 약간 적기는 하지만 뇌수막종의 발병 증가를 보고하였다.

Danish Study

「덴마크 연구」

How the study was done: This cohort study, conducted in Denmark, linked billing information from more than 358,000 cell phone subscribers with brain tumor incidence data from the Danish Cancer Registry.

연구 수행 방법: 덴마크에서 실시된 이 코호트 연구는 358,000명 이상의 휴대폰 가입자들의 청구 정보를 덴마크 암 등록부의 뇌종양 발생 데이터와 연결시켰다.

What the study showed: No association was observed between cell phone use and the incidence of glioma, meningioma, or acoustic neuroma, even among people who had been cell phone subscribers for 13 or more years (11–13).

연구 결과: 휴대폰 가입자가 13년 이상(11~13년)인 사람들 사이에서도 휴대전화 사용과 신경교종과 뇌수막종 혹은 청각신경종 발생 간에는 어떤 연관성도 관찰되지 않았다.

Million Women Study

「백만 여성 연구」

How the study was done: This prospective cohort study conducted in the United Kingdom used data obtained from questionnaires that were completed by study participants.

연구 수행 방법: 영국에서 수행된 이 예비 코호트 연구는 연구 참가자들이 완료한 설문지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사용했다.

What the study showed: Self-reported cell phone use was not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glioma, meningioma, or non-central nervous system tumors. Although the original published findings reported an association with an increased risk of acoustic neuroma (14), this association disappeared after additional years of follow-up of the cohort (15).

연구 결과: 자가 보고된 휴대 전화 사용관련 정보는 신경교종과 뇌수막종 또는 비 중추신경계 종양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없었다. 당초 발표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청각신경종 위험 증가의 연관성이 보고되었으나, 코호트의 추가 추적(15년) 이후 이 연관성은 없어졌다.

In addition to these three large studies, other, smaller epidemiologic studies have looked for associations between cell phone use and cancer. These include:

이 세 가지 큰 연구 외에, 다른 소규모 역학 연구에서는 휴대 전화 사용과 암 사이의 연관성을 찾아냈다. 여기에는 다음의 것이 포함된다.

•Two NCI-sponsored case–control studies, each conducted in multiple U.S. academic medical centers or hospitals between 1994 and 1998 that used data from questionnaires (16) or computer-assisted personal interviews (17). Neither study showed a relationship between cell phone use and the risk of glioma, meningioma, or acoustic neuroma.

두 건의 국립암연구소가 지원한 사례-대조군 연구는, 즉 여러 미국의 의료 기관이나 병원에서 1994년과 1998년에 설문지(16) 또는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개인적인 인터뷰(17)에서 얻은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두 연구 모두 휴대폰 사용과 신경교종과 뇌수막종, 또는 청각 신경종의 위험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지 못했다.

•The CERENAT study, another case–control study conducted in multiple areas in France from 2004 to 2006 using data collected in face-to-face interviews using standardized questionnaires (18). This study found no association for either gliomas or meningiomas when comparing regular cell phone users with non-users. However, the heaviest users had significantly increased risks of both gliomas and meningiomas.

「CERENAT 연구」는 표준화된 설문지(18)를 사용하여 인터뷰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2004년부터 2006년까지 프랑스의 여러 지역에서 실시한 또 다른 사례-제어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일반 휴대전화 사용자와 비사용자를 비교할 때 신경교종 또는 뇌수막종에 대한 연관성을 발견하지 못했다. 그러나 가장 많이 휴대폰을 사용한 사람들은 신경교종과 뇌수막종의 위험을 상당히 증가시켰다.

•A pooled analysis of two case–control studies conducted in Sweden that repor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rends of increasing brain cancer risk for the total amount of cell phone use and the years of use among people who began using cell phones before age 20 (19).

스웨덴에서 실시된 두 건의 사례-대조군 연구에 대한 공동분석에서 휴대폰 사용 총량과 20세 이전에 휴대폰을 사용하기 시작한 사람들의 사용기간에 따른 뇌종양 위험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증가 추세를 보고하였다.

•Another case–control study in Sweden, part of the Interphone pooled studies, did not find an increased risk of brain cancer among long-term cell phone users between the ages of 20 and 69 (20).

「인터폰 공동 연구」의 일부였던 스웨덴에서의 또 다른 환자-대조군 연구에서는 20세에서 69세 사이의 장기 휴대전화 사용자들 사이에서 뇌종양의 위험 증가를 발견하지 못했다(20).

•The CEFALO study, an international case–control study of children diagnosed with brain cancer between ages 7 and 19, which found no relationship between their cell phone use and risk for brain cancer (21).

7세에서 19세 사이의 뇌종양 진단을 받은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국제 규모의 환자-대조군 연구인 「CEFALO 연구」(21)에서 휴대폰 사용과 뇌종양의 위험성 사이의 관계를 발견하지 못했다(21)

Investigators have also conducted analyses of incidence trends to determine whether the incidence of brain or other cancers has changed during the time that cell phone use increased dramatically. These include:

조사관들은 또한 휴대폰 사용이 급격하게 증가한 기간 동안 뇌나 다른 암의 발병률이 변했는지 여부를 알아내기 위해 발병률 추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An analysis of data from NCI's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SEER) Program evaluated trends in cancer incidence in the United States. This analysis found no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brain or other central nervous system cancers between 1992 and 2006, despite the dramatic increase in cell phone use in this country during that time (22).

국립암연구소의 감시와 역학 및 최종 결과, 즉 SEER 프로그램의 데이터 분석에서 미국의 암 발생 추세를 평가했다. 이 분석에서는 1992년과 2006년 사이에 이 기간 동안 우리나라에서 휴대폰 사용이 급격히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뇌나 다른 중추신경계 암 발생률의 증가를 발견하지 못했다(22).

•An analysis of incidence data from Denmark, Finland, Norway, and Sweden for the period 1974–2008 similarly revealed no increase in age-adjusted incidence of brain tumors (23).

1974–2008년 동안 덴마크와 핀란드, 노르웨이 및 스웨덴의 발병률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연령 조정 뇌종양 발병률 증가 없었다고 밝혔다(23).

•A series of studies testing different scenarios (called simulations by the study authors) were carried out using incidence data from the Nordic countries to determine the likelihood of detecting various levels of risk as reported in studies of cell phone use and brain tumors between 1979 and 2008. The results were compatible with no increased risks from cell phones, as reported by most epidemiologic studies. The findings did suggest that the increase reported among the subset of heaviest regular users in the Interphone study could not be ruled out but was unlikely. The highly increased risks reported in the Swedish pooled analysis were strongly inconsistent with the observed glioma rates in the Nordic countries (24).

이 연구 저자들이 시뮬레이션이라고 명명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시험한 일련의 연구가 1979년에서 2008년까지 휴대폰의 사용과 뇌종양 연구에서 보고한 대로 다양한 수준의 암 위험의 탐지 가능성을 알아내기 위해 노르딕 3국의 발병 사례 데이터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는 대부분의 역학 연구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휴대전화 사용으로 인한 위험 증가는 없었다. 이 연구 결과는 인터폰 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정규 사용자들의 하위 집합들 사이에서 보고된 증가가 배제될 수 없지만 그럴 가능성은 낮다는 것을 암시했다. 스웨덴의 공동 분석에 보고된 높은 위험 증가율은 북유럽 국가(24)에서 관찰된 신경교종 비율과는 많이 일치하지 않았다.

•A 2012 study by NCI researchers (25) compared observed glioma incidence rates in U.S. SEER data with rates simulated from the small risks reported in the Interphone study (6) and the greatly increased risk of brain cancer among cell phone users reported in the Swedish pooled analysis (19). The authors concluded that overall, the incidence rates of glioma in the United States did not increase over the study period. They noted that the US rates could be consistent with the small increased risk seen among the subset of heaviest users in the Interphone study. The observed incidence trends were inconsistent with the high risks reported in the Swedish pooled stud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creased risks observed in the Swedish study are not reflected in U.S. incidence trends.

국립암연구소 연구자들은 2012년 미국의 SEER(감시, 역학 및 최종결과) 프로그램 데이터에서 관찰한 신경교종 발병률 데이터와 「인터폰 연구」에서 보고된 적은 위험에서 시뮬레이션 한 데이터를 비교하였고, 휴대폰 사용자들 중 뇌종양 발생률 증가가 있음을 스웨덴의 공동 공동분석에서 보고하였다. 저자들은 전체적으로 볼 때 미국의 신경교종 발생률이 연구 기간 동안 증가하지 않았다고 결론지었다. 그들은 미국의 발병률이 「인터폰 연구」에서 가장 다량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작은 위험 증가와 일관성이 있을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발병률 추세를 관찰하면 스웨덴 공동 연구에 보고된 높은 위험률과 일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스웨덴 연구에서 관찰된 위험 증가가 미국 발병률 추세에 반영되지 않음을 시사한다.

저작권자 © 암스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