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primary brain tumor incidence data (including some of the first benign brain and central nervous system tumor data that SEER began collecting in 2004) reported that the incidence of acoustic neuromas (also known as vestibular schwannomas) was stable (unchanged) from 2004 to 2010 (26).

뇌종양 발병 데이터(SEER가 2004년부터 수집하기 시작한 최초의 양성 뇌종양 및 중추신경계 종양 데이터 일부를 포함) 초기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청각 신경종(청신경초종이라고도 부름)의 발생률이 2004년부터 2010년까지 안정적(불변)이었다고 보고되었다.

•A 2018 national study that examined trends in brain tumor incidence among adults aged 20–59 years in Australia found that incidence rates for brain tumors overall and for individual vestibular schwannomas types, including glioma, were stable over three time periods—1982–1992, 1993–2002, and 2003–2013—including one (2003–2013) during which cell phone use was substantial (27).

호주에서의 20~59세 성인의 뇌종양 발생 추세를 조사한 2018년 국가 연구 결과, 휴대폰 사용이 상당했던 2003~2013년을 포함한 1982–1992, 1993–2002, and 2003–2013의 3개 기간 동안의 총 뇌종양 발병률과 개별적인 발병률은 안정적이었다. (27).

•An analysis of U.S. cancer incidence during 1993–2013 found no change in the overall incidence rate of malignant CNS cancers among children ages 0 to 19 years in the United States (28).

1993~2013년 간 미국 암 발병률을 분석한 결과, 미국의 0세에서 19세 아동 중 악성 중추신경계 암의 전체 발병률에는 변화가 없었다(28)

What are the findings from experimental studies?

실험 연구에서 나온 결과는 무엇인가?

In 2011, two small studies were published that examined brain glucose metabolism in people after they had used cell phones. The results were inconsistent; whereas one study showed increased glucose metabolism in the region of the brain close to the antenna compared with tissue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rain (29), the other study (30) found reduced glucose metabolism on the side of the brain where the phone was used.

2011년, 휴대 전화를 사용한 후에 사람들의 뇌의 포도당 대사를 검사한 두 개의 소규모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결과는 일관성이 없었다. 한 연구에서는 안테나와 가까운 뇌의 부위의 포도당 대사는 전화기를 사용한 뇌의 반대쪽 조직과 비교하여 포도당 대사의 증가를 보인 반면, 다른 연구에서는 전화기를 사용한 뇌의 측면에서 포도당 대사의 감소를 발견했다.

The authors of these studies noted that the results were preliminary and that possible health outcomes from changes in glucose metabolism in humans were unknown. Such inconsistent findings are not uncommon in experimental studies of the biological effects of radiofrequency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people (4). Some factors that can contribute to inconsistencies across such studies include assumptions used to estimate doses, failure to consider temperature effects, and lack of blinding of investigators to exposure status.

이 연구의 저자들은 그 결과가 잠정 결과이며 인간의 포도당 대사 변화로 인한 가능한 건강면의 연구 결과는 알려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러한 결과의 일관성 부족은 인간에 대한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선의 생물학적 영향에 대한 실험 연구에서는 드문 일이 아니다. 이런 연구 전반에 일관성 부족을 야기할 수 있는 몇 가지 요인은 선량을 추정하는데 사용된 추정과 온도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추정 및 피폭 상태에 대한 조사자의 가림의 부족 등이다.

Another study investigated the flow of blood in the brain of people exposed to the radiofrequency radiation from cell phones and found no evidence of an effect on blood flow in the brain (31).

또 다른 연구는 휴대전화에서 나오는 무선주파수 방사선에 노출된 사람들의 뇌에서 혈액의 흐름을 조사한 결과, 뇌의 혈류량에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다(31)

Early studies involving laboratory animals showed no evidence that radiofrequency radiation increased cancer risk or enhanced the cancer-causing effects of known chemical carcinogens (32–35).

실험실 동물과 관련된 초기 연구에서는 방사능이 발암 위험을 증가시키거나 알려진 화학적 발암물질(32–35)의 암을 유발하는 효과를 증가시킨다는 어떤 증거도 보여주지 못했다.

Because of inconsistent findings from epidemiologic studies in humans and the lack of clear data from previous experimental studies in animals, in 1999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nominated radiofrequency radiation exposure associated with cell phone exposures for study in animal models by the U.S. National Toxicology Program (NTP), an interagency program that coordinates toxicology research and testing across th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nd is headquartered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part of NIH.

인간에 대한 역학 연구의 일관성이 없는 연구결과와 동물에 대한 이전의 실험 연구의 명확한 데이터가 부족하기 때문에, 1999년 미국 식품의약청은 국립 독성학 연구 프로그램(NTP)에 의한 동물 실험 연구를 위해 휴대폰 사용과 관련된 무선 주파수 방사선 노출의 연관성을 지목하였다. 이 프로그램(NTP)은 미국 보건복지부가 독성학 연구와 시험을 조정하는 부서 합작 프로그램이며, 국립보건원의 산하기관인 국립 환경 보건 과학 연구소에 본부를 두고 있다.

The NTP studied radiofrequency radiation (2G and 3G frequencies) in rats and mice (36, 37). This large project was conducted in highly specialized labs that specified and controlled sources of radiation and measured their effects. The rodents experienced whole-body exposures of 3, 6, or 9 watts per kilogram of body weight for 5 or 7 days per week for 18 hours per day in cycles of 10 minutes on, 10 minutes off. A research overview of the rodent studies, with links to the peer-review summary, is available on NTP website. The primary outcomes observed were a small number of cancers of Schwann cells in the heart and non-cancerous changes (hyperplasia) in the same tissues for male rats, but not female rats, nor in mice overall.

NTP는 큰쥐와 생쥐(36, 37)를 대상으로 무선주파수 방사선(2그레이 및 3그레이의 주파수)을 연구했다. 이 대규모 프로젝트는 방사선 발생원을 지정하고 통제하고 그 영향을 측정하는 고도로 전문화된 실험실에서 수행되었다. 설치류들은 10분 동안 노출되고 10분 동안 꺼지는 주기로 하루에 18시간 동안 일주일에 5일 혹은 7일간 체중 kg 당 3, 6, 9 와트의 전신 노출을 경험했다. 설치류 연구의 연구 개요는 전문가 동료의 점검 요약본의 링크와 더불어, NTP 웹사이트에서 이용할 수 있다. 관찰된 일차적인 결과는 큰 쥐의 수컷의 슈완 세포에서 몇 군데 암이 보였으나 암컷에서는 나타나지 않았고, 생쥐의 경우 어떤 쥐에도 보이지 않았다.

These experimental findings raise new questions as to the potential for radiofrequency radiation to result in cellular changes and offer potential avenues for further laboratory studies. Cancers in the heart are extremely rare in humans, where the primary outcomes of potential concern with respect to radiofrequency radiation exposure from cell phones are tumors in the brain and central nervous system. Schwann cells of the heart in rodents are similar to the kind of cells in humans that give rise to acoustic neuromas (also known as vestibular schwannomas), which some studies have suggested are increased in people who reported the heaviest use of cell phones. The NTP has stated that they will continue to study this exposure in animal models to further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biological underpinnings of the effects reported above.

이러한 실험 결과는 무선주파수 방사선이 세포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새로운 의문을 제기하며 향후 실험실 연구를 위한 잠재적 방안을 제공한다. 인간에게 심장의 암은 지극히 희귀하며, 휴대전화의 무선주파수 방사선 피폭에 관련된 잠재적 관심의 일차적 결과는 뇌와 중추신경계의 종양이다. 설치류에서 심장의 슈완 세포는 청신경종(청신경초종이라고도 함)을 일으키는 인간의 세포와 유사하며, 일부 연구에서는 휴대전화의 사용을 가장 많이 했다고 보고한 사람에게서 이 세포가 증가한다고 시사하였다. NTP는 위에서 보고한 효과의 생물학적 기초에 대한 이해를 더욱 진전시키기 위해 동물 실험에서 이러한 노출에 대한 연구를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Another animal study, in which rats were exposed 7 days per week for 19 hours per day to radiofrequency radiation at 0.001, 0.03, and 0.1 watts per kilogram of body weight was reported by investigators at the Italian Ramazzini Institute (38). Among the rats with the highest exposure levels, the researchers noted an increase in heart schwannomas in male rats and non-malignant Schwann cell growth in the heart in male and female rats. However, key details necessary for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were missing: exposure methods, other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and nutritional/feeding aspects. The gaps in the report from the study raise questions that have not been resolved.

이탈리아의 라마찌니 연구소에서 쥐의 체중 1kg당 0.001와트와 0.03, 0.1와트의 무선주파수 방사선에 하루 19시간씩 주 7일 피폭시킨 또 다른 동물실험 결과가 나왔다. 가장 높은 수치로 노출된 쥐들 중에서, 연구원들은 수컷 큰 쥐의 심장 신경초종의 증가와 암 수컷 큰 쥐의 심장에서 양성 슈완 세포 증가에 주목했다. 그러나 결과 해석에 필요한 핵심 세부사항인 노출 방법, 기타 표준 운영 절차, 영양/급식 측면 등이 누락되었다. 연구 보고서마다 내용이 다른 것은 문제해결에는 많은 연구가 더 필요함을 제기한다.

Why are the findings from different studies of cell phone use and cancer risk inconsistent?

휴대폰 사용과 암 위험에 대한 여러 연구에서 나온 결과들이 왜 일관성이 없는가?

A few studies have shown some evidence of statistical association of cell phone use and brain tumor risks in humans, but most studies have found no association. Reasons for these discrepancies include the following:

몇몇 연구들은 인간의 휴대전화 사용과 뇌종양 위험의 통계적 연관성에 대한 증거를 보여주었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연관성을 찾지 못했다. 이러한 불일치의 이유는 다음과 같다.

• Recall bias, which can occur when data about prior habits and exposures are collected from study participants using questionnaires administered after diagnosis of a disease in some of the participants. It is possible that study participants who have brain tumors may remember their cell phone use differently from individuals without brain tumors. Many epidemiologic studies of cell phone use and brain cancer risk lack verifiable data about the total amount of cell phone use over time. In addition, people who develop a brain tumor may have a tendency to recall cell phone use mostly on the same side of the head where their tumor was found, regardless of whether they actually used their phone on that side of the head a lot or only a little.

기억의 왜곡 : 일부 참가자의 질병 진단 후 시행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연구 참가자로부터 이전 습관 및 노출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기억의 왜곡을 떠올릴 수 있다. 뇌종양을 앓고 있는 연구 참가자들이 뇌종양이 없는 개인과 휴대폰 사용을 다르게 기억할 수도 있다. 휴대전화 사용량과 뇌종양 위험성에 대한 많은 역학 연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휴대전화 사용량의 총량에 대한 검증 가능한 데이터가 부족해진다. 게다가 뇌종양이 발병한 사람들은 실제로 휴대폰을 많이 사용했는지 아니면 조금밖에 사용하지 않았는지에 상관없이 대부분 종양이 발견된 같은 쪽의 머리에서 휴대폰을 사용하는 것을 상기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 Inaccurate reporting, which can happen when people say that something has happened more or less often than it actually did. People may not remember how much they used cell phones in a given time period.

부정확한 보고 : 이것은 사람들이 어떤 일이 실제로 일어났던 것보다 더 자주 일어났다고 말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사람들은 주어진 시간 동안 얼마나 많은 휴대전화를 사용했는지 기억하지 못한다.

• Morbidity and mortality among study participants who have brain cancer. Gliomas are particularly difficult to study, for example, because of their high death rate and the short survival of people who develop these tumors. Patients who survive initial treatment are often impaired, which may affect their responses to questions. Furthermore, for people who have died, next-of-kin are often less familiar with the cell phone use patterns of their deceased family member and may not accurately describe their patterns of use to an interviewer.

뇌종양을 앓고 있는 연구 참가자의 발병률 및 사망률 : 예를 들어, 신경교종은 높은 사망률과 이러한 종양에 걸리는 사람들의 짧은 생존 때문에 특히 연구하기가 어렵다. 초기 치료에서 살아남은 환자들은 종종 손상되어 질문에 대한 그들의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게다가, 사망한 사람들의 경우, 옆집 사람들은 종종 죽은 가족의 휴대전화 사용 패턴에 덜 익숙하고 인터뷰 진행자에게 그들의 사용 패턴을 정확하게 설명하지 못할 수도 있다.

• Participation bias, which can happen when people who are diagnosed with brain tumors are more likely than healthy people (known as controls) to enroll in a research study. Also, controls who did not or rarely used cell phones were less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Interphone study than controls who used cell phones regularly. For example, the Interphone study reported participation rates of 78% for meningioma patients (range among the individual studies 56–92%), 64% for glioma patients (range 36–92%), and 53% for control subjects (range 42–74%) (6).

참여의 편향 : 뇌종양 진단을 받은 사람이 건강한 사람(대조군)보다 연구에 등록할 가능성이 더 높을 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않거나 거의 사용하지 않는 실험의 대조군의 사람들은 정기적으로 휴대폰을 사용하는 대조군들보다 인터폰 연구에 참여할 가능성이 적었다. 예를 들어 인터폰 연구는 뇌종양 환자의 경우 78%의 참여율(개별 연구 56–92%), 혈종 환자의 경우 64%(범위 36–92%), 대조군의 경우 53%(범위 42–74%)을 보고했다.

• Changing technology and methods of use. Older studies evaluated radiofrequency radiation exposure from analog cell phones. Today, cell phones use digital technology, which operates at a different frequency and a lower power level than analog phones. Digital cell phones have been in use for more than two decades in the United States, and cellular technology continues to change (3). Texting and other applications, for example, are common uses of cell phones that do not require bringing the phone close to the head. Furthermore, the use of hands-free technology, such as wired and wireless headsets, is increasingExit Disclaimer and may reduce exposure by distancing the phone from the body (39, 40).

기술 및 사용 방법 변화 : 이전의 연구들은 아날로그 휴대전화의 무선주파수 방사선 노출을 평가했다. 오늘날 휴대전화는 아날로그 전화와 다른 주파수와 낮은 전력 수준으로 작동하는 디지털 기술을 사용한다. 디지털 휴대전화는 미국에서 20년 이상 사용되어 왔으며, 휴대전화 기술은 계속 변화하고 있다(3). 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 및 기타 애플리케이션은 휴대전화를 머리에 가까이 가져다 놓을 필요가 없는 일반적인 휴대폰 사용이다. 더욱이 유선 및 무선 헤드셋과 같은 핸즈프리 기술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전화기를 신체(39, 40)와 거리를 두어 노출을 줄일 수 있다.

What are other possible health effects from cell phone use?

휴대폰 사용으로 인한 다른 가능한 건강 영향은 무엇인가?

A broad range of health effects have been reported with cell phone use. Neurologic effects are of particular concern in young persons since the brain is the primary exposed organ. However, studies of memory, learning, and cognitive function have generally produced inconsistent results (41–44).

휴대 전화 사용으로 인한 광범위한 건강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뇌가 주로 노출된 기관이기 때문에 신경학적 효과는 젊은이들에게 특히 중요하다. 그러나 기억과 학습 및 인지 기능에 대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낳았다(41–44)

The most consistent health risk associated with cell phone use is distracted driving and vehicle accidents (45, 46).

휴대 전화 사용과 관련된 가장 일관된 건강상 위험은 주의가 산만한 운전과 차량 사고이다(45, 46).

What have expert organizations said about the cancer risk from cell phone use?

전문 기관에서는 휴대폰 사용으로 인한 암 위험에 대해 뭐라고 말했는가?

In 2011,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a component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ppointed an expert Working Group to review all available evidence on the use of cell phones. The Working Group classified cell phone use as “possibly carcinogenic to humans,” based on limited evidence from human studies, limited evidence from studies of radiofrequency radiation and cancer in rodents, and inconsistent evidence from mechanistic studies (4).

2011년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 암 연구 기구(IARC)는 휴대전화 사용에 관한 모든 이용 가능한 증거를 검토하기 위해 전문가 워킹그룹을 선임했다. 워킹 그룹은 휴대 전화 사용을 인간 연구 증거와 무선 주파수 방사선과 설치류 암 연구에 의한 증거와 기계론적 연구(4)의 일관되지 않은 증거 등 증거의 수적 한계와 기계론적 증거의 한계에 근거하여 "인간에게 발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류했다.

The Working Group indicated that, although the human studies were susceptible to bias, the findings could not be dismissed as reflecting bias alone, and that a causal interpretation could not be excluded. The Working Group noted that any interpretation of the evidence should also consider that the observed associations could reflect chance, bias, or confounding rather than an underlying causal effect. In addition, the Working Group stated that the investigation of risk of cancer of the brain associated with cell phone use poses complex methodologic challenges in the conduct of the research and in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findings.

연구 그룹은 인간 연구가 편향에 취약하지만, 그 결과는 편견만을 반영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없으며, 인과적 해석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연구 그룹은 근거에 대한 해석도 관찰된 연관성이 근본적인 인과적 효과보다는 우연과 편향 또는 교란 요인을 반영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연구 그룹은 휴대 전화 사용과 관련된 뇌의 암 위험의 조사는 연구 수행과 발견의 분석과 해석에 복잡한 방법론적 문제를 제기한다고 말했다.

In 2011, the American Cancer Society (ACS) stated that the IARC classification means that there could be some cancer risk associated with radiofrequency radiation, but the evidence is not strong enough to be considered causal and needs to be investigated further. Individuals who are concerned about radiofrequency radiation exposure can limit their exposure, including using an ear piece and limiting cell phone use, particularly among children.

2011년 미국 암학회(ACS)는 IARC의 분류가 무선주파수 방사선과 관련된 발암 위험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증거가 충분히 강하지 않아 인과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무선주파수 방사선 노출을 우려하는 개인은 특히 어린이들 사이에서 이어피스를 사용하고 휴대폰 사용을 제한하는 등 노출을 제한할 수 있다.

In 2018, the ACS issued a statement on the draft NTP reports noting that the findings were still inconclusive, and that, so far, a higher cancer risk in people has not been seen, but that people who are concerned should wear an earpiece when using a cell phone.

2018년, ACS는 NTP 보고서 초안에 대한 성명서를 발표했는데, 그 결과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으며, 지금까지 사람들의 암 발병률이 더 높은 것은 보지 못했지만, 휴대전화를 사용할 때는 이어폰을 착용해야 한다는 점 즉 휴대폰을 귀에 직접 대지 않아야 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NIEHS) states that the weight of the current scientific evidence has not conclusively linked cell phone use with any adverse health problems, but more research is needed.

국립환경보건과학원(NIEHS)은 현재의 과학적 증거의 무게가 휴대 전화 사용과 어떤 불리한 건강상의 문제를 결정적으로 연계시킨 것은 아니지만,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notes that studies reporting biological changes associated with radiofrequency radiation have failed to be replicated and that the majority of human epidemiologic studies have failed to show a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radiofrequency radiation from cell phones and health problems. The FDA, which originally nominated this exposure for review by the NTP in 1999, issued a statement on the draft NTP reports released in February 2018, saying “based on this current information, we believe the current safety limits for cell phones are acceptable for protecting the public health.” FDA and the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share responsibility for regulating cell phone technologies.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무선주파수 방사선과 관련된 생물학적 변화를 보고하는 연구 결과를 복제해 냄으로써 증명하는데 실패하였으며, 대다수의 인간 역학 연구는 휴대전화에 의한 무선주파수 방사선에 대한 노출과 건강 문제 사이의 연관성을 증명하지 못했다고 지적한다. 당초 1999년 NTP를 지명하여 휴대폰 노출을 검토하였지만, FDA는 2018년 2월 발표한 NTP 보고서 초안에 대해 "이 현재까지의 정보(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휴대 전화에 대한 현재의 안전 한계는 공중보건 보호를 위해 허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FDA와 연방통신위원회는 휴대전화 기술을 규제하는 책임을 공유한다.

The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states that no scientific evidence definitively answers whether cell phone use causes cancer.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휴대전화 사용이 암을 유발하는지 여부에 대한 명확한 과학적 증거가 없다고 밝혔다.

The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FCC) concludes that currently no scientific evidence establishes a definite link between wireless device use and cancer or other illnesses.

연방통신위원회(FCC)는 현재 어떤 과학적 증거도 무선기기 사용과 암 또는 기타 질병 사이의 확실한 연관성을 확증하지 못하고 있다고 결론짓는다.

In 2015, the European Commission Scientific Committee on Emerging and Newly Identified Health Risks concluded that, overall, the epidemiologic studies on cell phone radiofrequency electromagnetic radiation exposure do not show an increased risk of brain tumors or of other cancers of the head and neck region (2). The Committee also stated that epidemiologic studies do not indicate increased risk for other malignant diseases, including childhood cancer (2).

2015년, 유럽에서 새롭게 떠오르거나 새로이 확인된 건강 위험에 관한 위원회(European Commission Scientific Committee on the Emerging and Newified Health Risks)는 전반적으로 휴대전화 무선 주파수 전자기 방사선 피폭에 대한 역학 연구가 뇌종양 또는 머리와 목 부위(두경부)의 다른 암의 위험 증가(2)를 보여주지 않는다고 결론지었다. 위원회는 또한 전염병 연구는 소아암(2)을 포함한 다른 악성 질환의 위험 증가를 보여주지 않는다고 명시했다.

What studies are under way that will help further our understanding of the possible health effects of cell phone use?

휴대전화 사용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더 많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연구는 어떤 것인가?

A large prospective cohort study of cell phone use and its possible long-term health effects was launched in Europe in March 2010. This study, known as COSMOS, has enrolled approximately 290,000 cell phone users aged 18 years or older to date and will follow them for 20 to 30 years (47, 48).

휴대폰 사용이 장기적으로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대규모의 전향적 모집단 연구가 2010년 3월에 유럽에서 시작되었다. COOSMOS로 명명된 이 연구는 현재까지 약 29만 명의 18세 이상의 휴대전화 사용자를 등록시켰고, 20년에서 30년 동안 이를 추적할 것이다.

Participants in COSMOS will complete a questionnaire about their health, lifestyle, and current and past cell phone use. This information will be supplemented with information from health records and cell phone records.

COSMOS 시험의 참가자들은 그들의 건강과 생활양식 및 현재와 과거의 휴대폰 사용에 대한 설문지에 대답을 할 것이다. 이 정보는 건강 기록과 휴대전화 기록의 정보로 더 보완될 것이다.

The challenge of this ambitious study is to continue following the participants for a range of health effects over many decades. Researchers will need to determine whether participants who leave the study are somehow different from those who remain throughout the follow-up period.

이 야심찬 연구의 과제는 수십 년 동안 다양한 건강 효과에 대해 참가자들을 계속 관찰 추적할 것이다. 연구원들은 이 연구를 떠나는 참가자들이 관찰 기간 내내 남아 있는 참가자들과 어떻게 다른지 알아낼 필요가 있을 것이다.

Although recall bias is minimized in studies such as COSMOS that link participants to their cell phone records, such studies face other problems. For example, it is impossible to know who is using the listed cell phone or whether that individual also places calls using other cell phones. To a lesser extent, it is not clear whether multiple users of a single phone, for example family members who may share a device, will be represented on a single phone company account. Additionally, for many long-term cohort studies, participation tends to decline over time.

참가자를 휴대전화 기록과 연결하는 COSMOS와 같은 연구에서 기억 편향(왜곡)이 최소화되지만, 그러한 연구는 다른 문제에 직면한다. 예를 들어, 누가 목록에 있는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는지 또는 그 개인도 다른 휴대폰을 사용하여 전화를 거는지 아는 것은 불가능하다. 적은 범위 내에서, 예를 들어 기기를 공유할 수 있는 가족 구성원과 같은 한 전화기의 여러 사용자가 단일 전화 회사 계정에 표시될지는 명확하지 않다. 또한, 많은 장기적인 코호트(모집단) 연구의 경우, 참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Has radiofrequency radiation from cell phone use been associated with cancer risk in children?

휴대폰 사용으로 인한 무선주파수 방사선이 어린이들의 암 위험과 연관이 있었는가?

There are theoretical considerations as to why the possible risk should be investigated separately in children. Their nervous systems are still developing and, therefore, more vulnerable to factors that may cause cancer. Their heads are smaller than those of adults and consequently have a greater proportional exposure to the field of radiofrequency radiation that is emitted by cell phones. And, children have the potential of accumulating more years of cell phone exposure than adults do.

어린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왜 별도로 조사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론적 고려가 있다. 그들의 신경계는 여전히 발전하고 있으며 따라서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더 취약하다. 그들의 머리는 성인의 머리보다 작아서 결과적으로 휴대전화에 의해 방출되는 무선주파수 방사선에 대한 비례적 노출이 더 크다. 그리고 아이들은 어른들보다 더 오랜 세월의 휴대폰 노출이 축적될 가능성이 있다.

Thus far, the data from studies in children with cancer do not support this theory. The first published analysis came from a large case–control study called CEFALO, which was conducted in Denmark, Sweden, Norway, and Switzerland. The study included children who were diagnosed with brain tumors between 2004 and 2008, when their ages ranged from 7 to 19 years. Researchers did not find an association between cell phone use and brain tumor risk either by time since initiation of use, amount of use, or by the location of the tumor (21).

지금까지, 암에 걸린 어린이들의 연구에서 나온 데이터는 이 이론을 뒷받침하지 못한다. 첫 번째 발표된 분석은 덴마크와 스웨덴, 노르웨이, 스위스에서 수행된 대규모 환자-대조군 연구인 CEFALO에서 나왔다. 이 연구는 2004년과 2008년 사이에 뇌종양 진단을 받은 아이들을 포함했는데, 그 당시 그들의 나이는 7세에서 19세 사이였다. 연구자들은 사용 개시, 사용량 또는 종양 위치(21)를 기준으로 휴대전화 사용과 뇌종양 위험 사이의 연관성을 발견하지 못했다.

Several studies that will provide more information are under way. Researchers from the Centre for Research in Environmental Epidemiology in Spain are conducting another international case–control study—Mobi-KidsExit Disclaimer—that will include 2000 young people (aged 10–24 years) with newly diagnosed brain tumors and 4000 healthy young people. The goal of the study is to learn more about risk factors for childhood brain tumors.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몇 가지 연구가 진행 중이다. 스페인 환경 역학 연구 센터의 연구원들은 새롭게 진단을 받은 뇌종양과 4,000명의 건강한 젊은이들을 포함하는 또 다른 국제 사례 통제 연구인 Mobi-Kids를 수행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표는 소아 뇌종양의 위험 요인에 대해 더 많이 배우는 것이다.

What can cell phone users do to reduce their exposure to radiofrequency radiation?

휴대전화 사용자가 무선주파수 방사선에 대한 노출을 줄이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The FDA has suggested some steps that concerned cell phone users can take to reduce their exposure to radiofrequency radiation (49):

FDA는 관련 휴대전화 사용자가 무선주파수 방사선에 대한 노출을 줄이기 위해 취할 수 있는 몇 가지 조치를 제안했다(49).

•Reserve the use of cell phones for shorter conversations or for times when a landline phone is not available.

더 짧은 대화를 하거나 유선전화를 사용할 수 없는 시간에만 휴대 전화 사용을 한다.

•Use a device with hands-free technology, such as wired headsets, which place more distance between the phone and the head of the user.

전화와 사용자의 머리 사이에 더 많은 거리를 두는 유선 헤드셋과 같은 핸즈프리 기술이 적용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Hands-free kits reduce the amount of radiofrequency radiation exposure to the head because the antenna, which is the source of energy, is not placed against the head (40). Exposures decline dramatically when cell phones are used hands-free.

핸즈프리 키트(Hands-free kits)는 에너지의 원천인 안테나를 머리(40)에 대하지 않기 때문에 머리에 대한 무선주파수 방사선 피폭량을 감소시킨다. 휴대전화가 핸즈프리 상태로 사용되면 노출이 급격히 줄어든다.

Where can I find more information about radiofrequency radiation from my cell phone?

휴대전화에서 무선주파수 방사선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가?

The FCC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of cell phones produced and marketed within the last 1 to 2 years. The SAR corresponds with the relative amount of radiofrequency radiation absorbed by the head of a cell phone user (50). Consumers can access this information using the phone’s FCC ID number, which is usually located on the case of the phone, and the FCC’s ID search form.

연방통신위원회는 최근 1~2년 이내에 생산 및 시판된 휴대전화의 특정 흡수율(SAR)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SAR은 휴대 전화 사용자의 머리(50)에 의해 흡수되는 무선 주파수 방사선의 상대적 양과 일치한다. 소비자들은 보통 전화의 경우에 위치하는 전화의 연방통신위원회 ID 번호와 연방통신위원회의 ID 검색 양식을 사용하여 이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How common is brain cancer? Has the incidence of brain cancer changed over time?

뇌종양은 얼마나 일반적이며, 세월이 가면서 뇌종양의 발병 사례는 변했는가?

In the United States, 23,820 new diagnoses and 17,760 deaths from brain and other central nervous system cancers are estimated for 2019 (51). Brain cancer incidence rates have declined slightly in recent years and mortality (death) rates have increased slightly (52).

미국에서는 2019년(51)에 2만3820명이 새로운 진단을 받았고 뇌 및 기타 중추신경계 암으로 인한 사망자는 1만7760명으로 추산된다. 최근 몇 년간 뇌종양 발생률은 약간 감소했고 사망률은 약간 증가했다.

There is great variability in survival by brain tumor subtype, and by age at diagnosis. Overall, the 5-year relative survival for brain cancers diagnosed from 2008 through 2014 was 33.2% (53). This is the percentage of people diagnosed with brain cancer who will still be alive 5 years after diagnosis compared with the survival of a person of the same age and sex who does not have cancer.

뇌종양은 하위 유형과 진단 시 연령에 따라 생존에 큰 변화가 있다. 전체적으로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진단받은 뇌종양의 5년 상대 생존율은 33.2%(53)로 나타났다. 상대 생존율이란 암이 없는 동갑내기 동성의 성인 생존율과 비교하여 진단 후 5년이 지난 지금도 살아있을 뇌종양 진단을 받은 사람의 비율이다.

The risk of developing brain cancer increases with age. From 2011 through 2015, there were fewer than 4.5 brain cancer cases for every 100,000 people in the United States under age 65, compared with approximately 19.1 cases for every 100,000 people in the United States who were ages 65 or older (53).

나이가 들수록 뇌종양 발병 위험이 증가한다.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미국에서는 65세 미만 인구 10만 명당 뇌종양 환자가 4.5명 미만이었는데, 65세 이상 인구 10만 명당 뇌종양 환자는 약 19.1명(53)이었다.

Selected References

참고문헌

1. Lönn S, Forssén U, Vecchia P, Ahlbom A, Feychting M. Output power levels from mobile phones in different geographical areas; implications for exposure assessment.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4; 61(9):769-772.

[PubMed Abstract]

2. SCENIHR. 2015. Scientific Committee on Emerging and Newly Identified Health Risks: Potential health effects of exposure to electromagnetic fields (EMF): http://ec.europa.eu/health/scientific_committees/emerging/docs/scenihr_o_041.pdfExit Disclaimer, accessed August 15, 2015.

3. Ahlbom A, Green A, Kheifets L, et al. Epidemiology of health effects of radiofrequency exposure.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2004; 112(17):1741–1754.

[PubMed Abstract]

4.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Non-ionizing Radiation, Part 2: Radio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sExit Disclaimer. Lyon, France: IARC; 2013. IARC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 Volume 102.

5. Cardis E, Richardson L, Deltour I, et al. The INTERPHONE study: design, epidemiological methods, and description of the study population. European Journal of Epidemiology 2007; 22(9):647–664.

[PubMed Abstract]

6. The INTERPHONE Study Group. Brain tumour risk in relation to mobile telephone use: results of the INTERPHONE international case-contro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2010; 39(3):675–694.

[PubMed Abstract]

7. Grell K, Frederiksen K, Schüz J, et al. The intracranial distribution of gliomas in relation to exposure from mobile phones: Analyses from the INTERPHONE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2016; 184(11):818-828.

[PubMed Abstract]

8. Schoemaker MJ, Swerdlow AJ, Ahlbom A, et al. Mobile phone use and risk of acoustic neuroma: results of the Interphone case-control study in five North European countries. British Journal of Cancer 2005; 93(7):842-848.

[PubMed Abstract]

9. Larjavaara S, Schüz J, Swerdlow A, et al. Location of gliomas in relation to mobile telephone use: a case-case and case-specular analysi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2011; 174(1):2–11.

[PubMed Abstract]

10. Cardis E, Armstrong BK, Bowman JD, et al. Risk of brain tumours in relation to estimated RF dose from mobile phones: results from five Interphone countrie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11; 68(9):631-640.

[PubMed Abstract]

11. Johansen C, Boice J Jr, McLaughlin J, Olsen J. Cellular telephones and cancer: a nationwide cohort study in Denmark.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1; 93(3):203–207.

[PubMed Abstract]

12. Schüz J, Jacobsen R, Olsen JH, et al. Cellular telephone use and cancer risk: update of a nationwide Danish cohort.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6; 98(23):1707–1713.

[PubMed Abstract]

13. Frei P, Poulsen AH, Johansen C, et al. Use of mobile phones and risk of brain tumours: update of Danish cohort study. British Medical Journal 2011; 343:d6387.

[PubMed Abstract]

14. Benson VS, Pirie K, Schüz J, et al. Mobile phone use and risk of brain neoplasms and other cancers: Prospec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2013; 42(3): 792-802.

[PubMed Abstract]

15. Benson VS, Pirie K, Schüz J, et al. Authors' response to: the case of acoustic neuroma: comment on mobile phone use and risk of brain neoplasms and other canc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2014; 43(1):275. doi: 10.1093/ije/dyt186Exit Disclaimer.

16. Muscat JE, Malkin MG, Thompson S, et al. Handheld cellular telephone use and risk of brain cancer. JAMA 2000; 284(23):3001–3007.

[PubMed Abstract]

17. Inskip PD, Tarone RE, Hatch EE, et al. Cellular-telephone use and brain tumor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01; 344(2):79-86.

[PubMed Abstract]

18. Coureau G, Bouvier G, Lebailly P, et al. Mobile phone use and brain tumours in the CERENAT case-control study.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14; 71(7):514-522.

[PubMed Abstract]

19. Hardell L, Carlberg M, Hansson Mild K. Pooled analysis of case-control studies on malignant brain tumours and the use of mobile and cordless phones including living and deceased subj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Oncology 2011; 38(5):1465–1474.

[PubMed Abstract]

20. Lönn S, Ahlbom A, Hall P, et al. Long-term mobile phone use and brain tumor risk.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2005; 161(6):526–535.

[PubMed Abstract]

21. Aydin D, Feychting M, Schüz J, et al. Mobile phone use and brain tumo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multicenter case-control study.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1; 103(16):1264–1276.

[PubMed Abstract]

22. Inskip PD, Hoover RN, Devesa SS. Brain cancer incidence trends in relation to cellular telephone use in the United States. Neuro-Oncology 2010; 12(11):1147–1151.

[PubMed Abstract]

23. Deltour I, Johansen C, Auvinen A, et al. Time trends in brain tumor incidence rates in Denmark, Finland, Norway, and Sweden, 1974–2003.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9; 101(24):1721–1724.

[PubMed Abstract]

24. Deltour I, Auvinen A, Feychting M, et al. Mobile phone use and incidence of glioma in the Nordic countries 1979–2008: consistency check. Epidemiology 2012; 23(2):301–307.

[PubMed Abstract]

25. Little MP, Rajaraman P, Curtis RE, et al. Mobile phone use and glioma risk: comparison of epidemiological study results with incidence trends in the United States. British Medical Journal 2012; 344:e1147.

[PubMed Abstract]

26. Kshettry VR, Hsieh JK, Ostrom QT, Kruchko C, Barnholtz-Sloan JS. Incidence of vestibular schwannoma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Neuro-oncology 2015; 124(2):223-228.

[PubMed Abstract]

27. Karipidis K, Elwood M, Benke G, et al. Mobile phone use and incidence of brain tumour histological types, grading or anatomical location: a population-based ecological study. BMJ Open 2018; 8(12):e024489.

[PubMed Abstract]

28. Withrow DR, Berrington de Gonzalez A, Lam CJ, Warren KE, Shiels MS. Trends in pediatric central nervous system tumor incidence in the United States, 1998-2013.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 Prevention 2018 Nov 21. pii: cebp.0784.2018. doi: 10.1158/1055-9965.EPI-18-0784

[PubMed Abstract]

29. Volkow ND, Tomasi D, Wang GJ, et al. Effects of cell phone radiofrequency signal exposure on brain glucose metabolism. JAMA 2011; 305(8):808–813.

[PubMed Abstract]

30. Kwon MS, Vorobyev V, Kännälä S, et al. GSM mobile phone radiation suppresses brain glucose metabolism. Journal of Cerebral Blood Flow and Metabolism 2011; 31(12):2293-301.

[PubMed Abstract]

31. Kwon MS, Vorobyev V, Kännälä S, et al. No effects of short-term GSM mobile phone radiation on cerebral blood flow measured usin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Bioelectromagnetics 2012; 33(3):247-56.

[PubMed Abstract]

32. Hirose H, Suhara T, Kaji N, et al. Mobile phone base station radiation does not affect neoplastic transformation in BALB/3T3 cells. Bioelectromagnetics 2008; 29(1):55–64.

[PubMed Abstract]

33. Oberto G, Rolfo K, Yu P, et al. Carcinogenicity study of 217 Hz pulsed 900 MHz electromagnetic fields in Pim1 transgenic mice. Radiation Research 2007; 168(3):316–326.

[PubMed Abstract]

34. Zook BC, Simmens SJ. The effects of pulsed 860 MHz radiofrequency radiation on the promotion of neurogenic tumors in rats. Radiation Research 2006; 165(5):608–615.

[PubMed Abstract]

35. Lin JC. Cancer occurrences in laboratory rats from exposure to RF and microwave radiationExit Disclaimer. IEEE J of electromagnetics, RF, and microwaves in medicine and biology 2017; 1(1):2-13.

36. Gong Y, Capstick M, Kuehn S, et al. Life-time dosimetric assessment for mice and rats exposed in reverberation chambers of the 2-year NTP cancer bioassay study on cell phone radiation. IEEE Transactions on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2017; 59(6):1798-1808.

[PubMed Abstract]

37. Capstick M, Kuster N, Kuehn S, et al. A radio frequency radiation exposure system for rodents based on reverberation chambers. IEEE Transactions on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2017; 59(4):1041-1052.

[PubMed Abstract]

38. Falcioni L, Bua L, Tibaldi E, et al. Report of final results regarding brain and heart tumors in Sprague-Dawley rats exposed from prenatal life until natural death to mobile phone radiofrequency field representative of a 1.8 GHz GSM base station environmental emission. Environmental Research 2018; 165:496-503.

[PubMed Abstract]

39. Kühn S, Lott U, Kramer A, Kuster N. Assessment methods for demonstrating compliance with safety limits of wireless devices used in home and office environmentsExit Disclaimer. IEEE Transactions on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2007; 49(3):519-525.

40. Kühn S, Cabot E, Christ A, Capstick M, Kuster N. Assessment of the radio-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s induced in the human body from mobile phones used with hands-free kits. Physics in Medicine and Biology 2009; 54(18):5493-508.

[PubMed Abstract]

41. Brzozek C, Benke KK, Zeleke BM, Abramson MJ, Benke G. Radiofrequency electromagnetic radiation and memory performance: Sources of uncertainty in epidemiological cohort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18;15(4). pii: E592.

[PubMed Abstract]

42. Zhang J, Sumich A, Wang GY.Acute effects of radio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 emitted by mobile phone on brain function. Bioelectromagnetics 2017; 38(5):329-338.

[PubMed Abstract]

43. Foerster M, Thielens A, Joseph W, Eeftens M, Röösli M. A prospective cohort study of adolescents' memory performance and individual brain dose of microwave radiation from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2018; 126(7):077007.

[PubMed Abstract]

44. Guxens M, Vermeulen R, Steenkamer I, et al. Radio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s, screen time, and emotional and behavioural problems in 5-year-old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Hygiene and Environmental Health 2018 Oct 9. pii: S1438-4639(18)30502-9.

[PubMed Abstract]

45. Atchley P, Strayer DL. Small screen use and driving safety. Pediatrics 2017; 140(Suppl 2):S107-S111.

[PubMed Abstract]

46. Llerena LE, Aronow KV, Macleod J, et al. An evidence-based review: distracted driver. The Journal of Trauma and Acute Care Surgery 2015; 78(1):147-152

[PubMed Abstract]

47. Schüz J, Elliott P, Auvinen A, et al. An international prospective cohort study of mobile phone users and health (Cosmos): design considerations and enrolment. Cancer Epidemiology 2011; 35(1):37-43.

[PubMed Abstract]

48. Toledano MB, Auvinen A, Tettamanti G, et al. An international prospective cohort study of mobile phone users and health (COSMOS): Factors affecting validity of self-reported mobile phone use. International Journal of Hygiene and Environmental Health 2018; b221(1):1-8.

[PubMed Abstract]

49.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9). Radiation-Emitting Products: Reducing Exposure: Hands-free Kits and Other Accessories. Silver Spring, MD. Retrieved June 18, 2012.

50. U.S.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n.d.). FCC Encyclopedia: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for Cellular Telephones. Retrieved June 18, 2012.

51. Siegel RL, Miller KD, Jemal A. Cancer statistics, 2019.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2019; First published online: January 8, 2019. DOI: 10.3322/caac.21551Exit Disclaimer.

[PubMed Abstract]

52. Cronin KA, Lake AJ, Scott S, et al. Annual Report to the Nation on the Status of Cancer, part I: National cancer statistics. Cancer 2018; 124(13):2785-2800.

[PubMed Abstract]

53. Noone AM, Howlader N, Krapcho M, et al. (eds). SEER Cancer Statistics Review, 1975-2015, National Cancer Institute. Bethesda, MD, https://seer.cancer.gov/csr/1975_2015/, based on November 2017 SEER data submission, posted to the SEER web site, April 2018.

저작권자 © 암스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