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 and Cancer Prevention

와 암의 예방

Reviewed: November 17, 2019

갱신 : 2019년 11월 17일

On This Page

• What is tea?

차란 무엇인가?

• What are the ingredients of tea?

차의 성분은 무엇인가?

• How might tea help prevent cancer?

차는 어떻게 암의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나?

• Are there safety considerations regarding tea consumption?

차 마시기와 관련하여 안전상 고려할 점이 있나?

• What evidence from human studies links tea to cancer prevention?

차와 암 예방을 연관시키는 인간 대상의 실험 증거는 무엇인가?

• Does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recommend the use of tea to prevent cancer?

국립암연구소는 암의 예방을 위해 차 마시기를 권장하는가?

What is tea?

차란 어떤 식물인가?

Tea is one of the most ancient and popular beverages consumed around the world. Black tea accounts for about 75 percent of the world’s tea consumption (1). In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UK), and Europe, black tea is the most common tea beverage consumed; green tea is the most popular tea in Japan and China (2). Oolong and white tea are consumed in much lesser amounts around the world (2).

차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인기 있는 음료 중 하나이다. 홍차는 세계 차 소비량(1)의 약 75%를 차지한다. 미국, 영국, 유럽에서는 홍차가 가장 많이 소비되는 차이고, 일본과 중국에서 녹차가 가장 인기 있는 차이다. 우롱차와 백차는 전 세계적으로 훨씬 적은 양으로 소비된다.

Tea is made from the leaf of the plant Camellia sinensis. Shortly after harvesting, tea leaves begin to wilt and oxidize. During oxidation, chemicals in the leaves are broken down by enzymes, resulting in darkening of the leaves and the well-recognized aroma of tea. This oxidation process can be stopped by heating, which inactivates the enzymes. The amount of oxidation and other aspects of processing determine a tea’s type. Black tea is produced when tea leaves are wilted, bruised, rolled, and fully oxidized. In contrast, green tea is made from unwilted leaves that are not oxidized. Oolong tea is made from wilted, bruised, and partially oxidized leaves, creating an intermediate kind of tea. White tea is made from young leaves or growth buds that have undergone minimal oxidation. Dry heat or steam can be used to stop the oxidation process, and then the leaves are dried to prepare them for sale.

차는 카멜리아 시넨시스(차나무의 학명)의 잎으로 만들어진다. 수확 직후 찻잎이 시들면서 산화되기 시작한다. 산화하는 동안 잎의 화학물질이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잎이 검게 되고 잘 알려진 차향이 나온다. 이 산화과정은 가열하면 멈출 수 있는데, 이것은 효소의 작용을 멈추도록 한다. 숙성 중 산화의 양과 다른 면면들이 차의 종류를 결정한다. 홍차는 찻잎을 시들게 하여 손으로 문지르고 덖어서 잎이 말려서 완전히 산화될 때 생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녹차는 산화되지 않은 신선한 잎으로 만들어진다. 우롱차는 시들게 하여 손으로 문질러 부분적으로 산화된 잎으로 만들어져서 반 발효차가 된다. 백차는 산화가 거의 안 된 어린잎이나 새싹으로 만든다. 건조한 열이나 증기를 사용하여 산화 작용을 멈추게 한 다음 잎을 말려서 판매를 한다.

Tea is brewed from dried leaves and buds (either in tea bags or loose), prepared from dry instant tea mixes, or sold as ready-to-drink iced teas. So-called herbal teas are not really teas but infusions of boiled water with dried fruits, herbs, and/or flowers.

차는 마른 잎과 새싹(티백이나 헐렁한 것 중 하나)을 우려내거나, 마른 인스턴트 차 혼합물로 준비하거나, 음료 스타일의 아이스티로 판매한다. 소위 허브 차는 진짜 차가 아니라 말린 과일과 허브 그리고/또는 꽃에 끓인 물을 부은 것이다.

What are the ingredients of tea?

차란 무엇인가?

Tea is composed of polyphenols, alkaloids (caffeine, theophylline, and theobromine), amino acids, carbohydrates, proteins, chlorophyll, volatile organic compounds (chemicals that readily produce vapors and contribute to the odor of tea), fluoride, aluminum, minerals, and trace elements (3). The polyphenols, a large group of plant chemicals that includes the catechins (4), are thought to be responsible for the health benefits that have traditionally been attributed to tea, especially green tea. The most active and abundant catechin in green tea is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The active catechins and their respective concentrations in green tea infusions are listed in the table below.

차는 폴리페놀과 알칼로이드(카페인, 엽록소, 테오브로민), 아미노산, 탄수화물, 단백질, 엽록소, 휘발성 유기 화합물(증기를 쉽게 생산하여 차의 향기에 기여하는 화학 물질), 불소, 알루미늄, 미네랄, 미량 원소(3)로 구성되어 있다. 카테킨(4)을 포함한 식물의 화학 물질인 폴리페놀은 전통적으로 차, 특히 녹차에 기인하는 건강상의 이점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녹차에서 가장 활발하고 풍부한 카테킨은 에피갈로케킨-3갈레이트(EPCG)이다. 활성 카테킨과 녹차에 녹아 있는 각각의 농도는 아래 표에 열거되어 있다.

Catechin Concentrations of Green Tea Infusions

녹차에 녹아있는 카테켄의 농도

Catechin in Green Tea Infusion

Catechin Concentration

(mg/L)*

Catechin Concentration

(mg/8 fl oz)*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117-442

25-106

Epigallocatechin (EGC)

203-471

49-113

Epicatechin-3-gallate (ECG)

17-150

4-36

Epicatechin (EC)

25-81

6-19

*mg = milligram; L = liter; fl oz = fluid ounce. See reference 5.

녹차에 용해된 카테켄

카테킨 농도

(mg/L)*

카테킨 농도

(mg/8플로스)*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117-442

25-106

에피갈로카테킨(EPC)

203-471

49-113

에피카테켄 3-갈레이트(ECG)

17-150

4-36

에피카테켄(EC)

25-81

6-19

Black tea contains much lower concentrations of these catechins than green tea (6). The extended oxidation of black tea increases the concentrations of thearubigins and theaflavins, two types of complex polyphenols (2). Oolong tea contains a mixture of simple polyphenols, such as catechins, and complex polyphenols (2). White and green tea contain similar amounts of EGCG but different amounts of other polyphenols (7).

홍차는 녹차(6)보다 훨씬 낮은 농도의 카테킨을 함유하고 있다. 홍차의 산화 시간이 길기 때문에 두 종류의 복합 폴리페놀(2)인 티아루비긴과 티아플라빈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우롱차에는 카테킨과 같은 단순한 폴리페놀과 복잡한 폴리페놀(2)이 혼합되어 있다. 백차와 녹차에는 EGCG의 양은 비슷하지만 다른 폴리페놀(7)의 양은 다르다.

Although iced and ready-to-drink teas are becoming popular worldwide, they may not have the same polyphenol content as an equal volume of brewed tea (8). The polyphenol concentration of any particular tea beverage depends on the type of tea, the amount used, the brew time, and the temperature (3). The highest polyphenol concentration is found in brewed hot tea, less in instant preparations, and lower amounts in iced and ready-to-drink teas (3). As the percentage of tea solids (i.e., dried tea leaves and buds) decreases, so does the polyphenol content (9). Ready-to-drink teas frequently have lower levels of tea solids and lower polyphenol contents because their base ingredient may not be brewed tea (10). The addition of other liquids, such as juice, will further dilute the tea solids (9). Decaffeination reduces the catechin content of teas (11).

비록 아이스티와 음료 형 차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지만, 그것들은 같은 양의 우린 차(8)와 같은 폴리페놀 함량을 가지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어떤 특정한 차 음료의 폴리페놀 농도는 차의 종류, 사용량, 우린 시간, 온도(3)에 따라 달라진다. 가장 높은 폴리페놀 농도는 우린 뜨거운 차, 그다음에 즉석 조제 가능한 차, 마지막으로 아이스티와 음료 형 차(3)에서 발견된다. 차 고형분(즉, 말린 차 잎과 새싹)의 비율이 감소함에 따라 폴리페놀 함량(9)도 감소한다. 음료 형 차는 기본 성분이 우린 차(10)가 아닐 수 있기 때문에 고형분 함량과 폴리페놀 함량이 더 낮은 경우가 많다. 주스와 같은 다른 액체를 첨가하면 차의 고형물(9)이 더욱 희석된다. 카페인을 제거하면 차(11)의 카테킨 함량을 감소시킨다.

Dietary supplements containing green tea extracts are also available (1). In a U.S. study that evaluated 19 different green tea supplements for tea catechin and caffeine content, the product labels varied in their presentation of catechin and caffeine information, and some values reported on product labels were inconsistent with analyzed values (1).

녹차 추출물을 함유한 식이 보충제(1)도 이용 가능하다. 차의 카테킨과 카페인 함량에 대한 19가지 녹차 보충제를 평가한 미국의 연구에서, 제품에 따라 카테킨과 카페인의 정보 표시가 달랐으며, 제품 라벨에 쓰인 일부 성분의 값은 분석된 값과 일치하지 않았다.

How might tea help prevent cancer?

차가 암의 예방에 어떻게 도움이 될까?

Among their many biological activities, the predominant polyphenols in green tea―EGCG, EGC, ECG, and EC―and the theaflavins and thearubigins in black teas have antioxidant activity (12). These chemicals, especially EGCG and ECG, have substantia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may protect cells from DNA damage caus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12). Tea polyphenols have also been shown to inhibit tumor cell proliferation and induce apoptosis in laboratory and animal studies (1, 13). In other laboratory and animal studies, tea catechins have been shown to inhibit angiogenesis and tumor cell invasiveness (14). In addition, tea polyphenols may protect against damage caused by ultraviolet (UV) B radiation (13, 15), and they may modulate immune system function (16). Furthermore, green teas have been shown to activate detoxification enzymes, such as glutathione S-transferase and quinone reductase, that may help protect against tumor development (16). Although many of the potential beneficial effects of tea have been attributed to the strong antioxidant activity of tea polyphenols, the precise mechanism by which tea might help prevent cancer has not been established (13).

녹차의 많은 생물학적 작용 중에서, 녹차 속의 현저한 폴리페놀인EGCG, EGC, ECG, EC와 그리고 블랙 티에 있는 티아플라빈과 티아루비긴은 항산화 작용을 한다(12). 이러한 화학물질들 특히 EGCG와 ECG는 상당한 활성산소 청소작용을 하고 있으며, 활성산소 (종)(12)에 의한 DNA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할 수 있다. 차의 폴리페놀은 또한 실험실 및 동물 연구(1, 13)에서 종양 세포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 분열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실험실 및 동물 연구에서는 차 카테킨이 혈관신생과 종양세포의 침윤(습)성(14)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차의 폴리페놀은 자외선(UV) B방사선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면역체계 기능(16)을 변조할 수 있다. 게다가 녹차는 종양 발육을 막아줄 수 있는 글루타티온 S-전달효소와, 퀴논 환원효소 등의 해독 효소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6). 차의 잠재적인 이로운 효과의 많은 부분이 차의 폴리페놀의 강력한 항산화 작용에 기인하고 있지만, 차가 암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정확한 메커니즘(기전)은 밝혀지지 않았다.

Are there safety considerations regarding tea consumption?

차 소비와 관련하여 안전 고려 사항이 있는가?

Tea as a food item i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by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afety studies have looked at the consumption of up to 1200 mg of EGCG in supplement form in healthy adults over 1- to 4-week time periods (17, 18). The adverse effects reported in these studies included excess intestinal gas, nausea, heartburn, stomach ache, abdominal pain, dizziness, headache, and muscle pain (17, 18). In a Japanese study, children aged 6 to 16 years consumed a green tea beverage containing 576 mg catechins (experimental group) or 75 mg catechins (control group) for 24 weeks with no adverse effects (19). The safety of higher doses of catechins in children is not known.

음식물로서 차는 일반적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의해 안전하다고 인정된다. 안전에 관한 연구는 1~4주 동안 건강한 성인의 식이보충제 형태로 최대 1200mg의 EGCG를 섭취하는 것을 조사했다(17, 18). 이러한 연구에서 보고된 부작용으로는 과다한 장내 가스와 메스꺼움, 속 쓰림, 복통, 현기증, 두통, 근육통(17, 18) 등이 있었다. 일본의 한 연구에서 6세에서 16세 사이의 어린이들에게 576mg의 카테킨(실험군) 또는 75mg의 카테킨(통제군)을 함유한 녹차 음료를 24주 동안 섭취시켰지만 부작용은 없었다(19). 어린이들에 대한 더 많은 양의 카테킨 섭취의 안전성은 알려져 있지 않다.

As with other caffeinated beverages, such as coffee and colas, the caffeine contained in many tea products could potentially cause adverse effects, including tachycardia, palpitations, insomnia, restlessness, nervousness, tremors, headache, abdominal pain, nausea, vomiting, diarrhea, and diuresis (20). However, there is little evidence of health risks for adults consuming moderate amounts of caffeine (about 300 to 400 mg per day). A review by Health Canada concluded that moderate caffeine intakes of up to 400 mg per day (equivalent to 6 mg per kilogram [kg] body weight) were not associated with adverse effects in healthy adults (21). The amount of caffeine present in tea varies by the type of tea; the caffeine content is higher in black teas, ranging from 64 to 112 mg per 8 fl oz serving, followed by oolong tea, which contains about 29 to 53 mg per 8 fl oz serving (4). Green and white teas contain slightly less caffeine, ranging from 24 to 39 mg per 8 fl oz serving and 32 to 37 mg per 8 fl oz serving, respectively (22). Decaffeinated teas contain less than 12 mg caffeine per 8 fl oz serving (22). Research on the effects of caffeine in children is limited (20). In general, caffeine doses of less than 3.0 mg per kg body weight have not resulted in adverse effects in children (20). Higher doses have resulted in some behavioral effects, such as increased nervousness or anxiety and sleep disturbances (21).

커피나 콜라 같은 다른 카페인 음료와 마찬가지로, 많은 차 제품에 함유된 카페인은 잠재적으로 심계항진과 두근거림, 불면증, 초조, 신경과민, 떨림, 두통, 복통, 구역질, 구토, 설사, 이뇨 등을 포함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적당한 양의 카페인(하루에 약 300~400mg)을 섭취하는 성인의 건강 위험의 증거는 거의 없다. 캐나다 보건부의 리뷰는 하루에 최대 400mg의 적당한 카페인 섭취(kg당 6mg[kg] 체중에 상당)는 건강한 성인의 부작용과 관련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21) 차 안에 존재하는 카페인의 양은 차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 홍차의 카페인 함량은 8 fl oz 1인분 당 64 ~ 112 mg에 이르며, 그 다음으로 우롱차가 8 fl oz 1인분 당 약 29 ~ 53 mg을 함유하고 있다(4). 녹차와 백차는 카페인을 약간 적게 함유하고 있는데, 8 fl oz 1인분 당 24~39mg, 8 fl oz 1인분 당 32~37mg이 각각 포함되어 있다. 카페인을 제거한 홍차는 8파운드당 12mg 미만의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다. 어린이 대상 카페인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실험 자료가 많지 않다(20). 일반적으로 체중 kg당 3.0mg 미만인 카페인 복용량은 어린이(20)에게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았다. 복용량이 많아지면 신경과민이나 불안감 증가와 수면장애(21)와 같은 일부 행동효과가 나타난다.

Aluminum, a neurotoxic element, is found in varying quantities in tea plants. Studies have found concentrations of aluminum (which is naturally taken up from soil) in infusions of green and black teas that range from 14 to 27 micrograms per liter (μg/L) to 431 to 2239 μg/L (4). The variations in aluminum content may be due to different soil conditions, different harvesting periods, and water quality (4). Aluminum can accumulate in the body and cause osteomalacia and neurodegenerative disorders, especially in individuals with renal failure (4). However, it is not clear how much of the aluminum in tea is bioavailable, and there is no evidence of any aluminum toxicity associated with drinking tea (4).

신경독성 원소인 알루미늄 성분은 차나무 마다 함유량이 다양하다. 연구 결과 녹차와 홍차에 녹아 있는 알루미늄의 농도는 리터당 14~27마이크로그램(μg/L)에서 431~2239μg/L(4)까지 다양하였다. 알루미늄 함량의 변화는 토양 조건, 수확 기간 및 수질(4)이 다르기 때문일 수 있다. 알루미늄은 체내에 축적되어 골연화증과 퇴행성 신경장애를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신부전증이 있는 사람(4)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차에 들어 있는 알루미늄의 생체이용률이 얼마인지는 확실치 않으며, 마시는 차(4)와 관련된 알루미늄 독성의 증거는 없다.

Black and green tea may inhibit iron bioavailability from the diet (4). This effect may be important for individuals who suffer from iron-deficiency anemia (4). The authors of a systematic review of 35 studies on the effect of black tea drinking on iron status in the UK concluded that, although tea drinking limited the absorption of non-heme iron from the diet, there was insufficient evidence to conclude that this would have an effect on blood measures (i.e., hemoglobin and ferritin concentrations) of overall iron status in adults (23). However, among preschool childre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observed between tea drinking and poor iron status (23). The interaction between tea and iron can be mitigated by consuming, at the same meal, foods that enhance iron absorption, such as those that contain vitamin C (e.g., lemons), and animal foods that are sources of heme iron (e.g., red meat) (4). Consuming tea between meals appears to have a minimal effect on iron absorption (4).

홍차와 녹차는 식사(4)에서 철의 생체이용률을 억제할 수 있다. 이 효과는 철분결핍성 빈혈(4)을 앓고 있는 개인에게 중요할 수 있다. 영국에서의 홍차 음주가 철분 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35개 연구를 체계적으로 검토한 저자들은, 비록 차 마시기가 식단에서 비 환원 헤마틴 철의 흡수를 제한했지만, 이것이 전반적인 혈액 측정(즉, 헤모글로빈과 페리틴 농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결론을 내릴 충분한 증거가 없다고 결론지었다. 성인의 철분 상태(23). 그러나 미취학 아동들 사이에서는 차 음료와 불량한 철분 상태(23)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관찰되었다. 차와 철의 상호 작용은 비타민 C(예: 레몬)를 함유한 식품과 헤마톤 철의 원료인 동물성 식품(예: 붉은 고기)(4)을 동시에 섭취함으로써 완화할 수 있다. 식사 사이에 차를 마시는 것은 철분 흡수(4)에 최소한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What evidence from human studies links tea to cancer prevention?

차를 암 예방과 연관시키는 인간 연구의 증거는 무엇인가?

Tea has long been regarded as an aid to good health, and many believe it can help reduce the risk of cancer. Most studies of tea and cancer prevention have focused on green tea (13). Although tea and/or tea polyphenols have been found in animal studies to inhibit tumorigenesis at different organ sites, including the skin, lung, oral cavity, esophagus, stomach, small intestine, colon, liver, pancreas, and mammary gland (24), the results of human studies—both epidemiologic and clinical studies—have been inconclusive.

차는 오랫동안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여겨져 왔고, 많은 사람들은 차가 암의 위험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믿는다. 차와 암 예방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녹차(13)에 집중되어 있다. 차 및/또는 차 폴리페놀은 피부, 폐, 구강, 식도, 위, 소장, 대장, 간, 췌장 및 유선(24)을 포함한 다양한 장기 부위에서 종양 발생을 억제하는 동물 연구에서 발견되었지만, 인간 연구의 결과는 역학 및 임상 연구 모두 결론에 도달하지 못했다.

Epidemiologic Studies

역학 연구

More than 50 epidemiologic studies of the association between tea consumption and cancer risk have been published since 2006.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have often been inconsistent, but some have linked tea consumption to reduced risks of cancers of the colon, breast, ovary, prostate, and lung (6, 25–57). The inconsistent results may be due to variables such as differences in tea preparation and consumption, the types of tea studied (green, black, or both), the methods of tea production, the bioavailability of tea compounds, genetic variation in how people respond to tea consumption, the concomitant use of tobacco and alcohol, and other lifestyle factors that may influence a person’s risk of developing cancer, such as physical activity or weight status.

차 소비와 암 위험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50개 이상의 역학 연구결과가 2006년부터 발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종종 일관성이 없었지만, 일부 결과는 차 소비와 대장과 유방, 난소, 전립선, 폐암의 위험 감소를 연관시켰다(6, 25–57). 연구결과의 일관성 부족은 대상 차의 생산방식과 소비자나 소비량 등 소비의 차이, 연구 대상 차의 종류(녹차, 홍차 또는 둘 다), 차 생산 방법, 차 화합물의 생물 이용 가능성, 차 소비에 대한 유전적 변화, 흡연과 음주를 수반하는 차의 이용 등의 변수 때문이다, 그리고 신체 활동이나 체중의 상태와 같은 생활양식이 그 사람의 암 발병 위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Clinical Trials

임상 시험

Several clinical trials have investigated the role of tea and tea polyphenols in cancer prevention (58–66). However, few trials have examined the effects of tea or tea polyphenols on cancer incidence or mortality.

여러 임상실험에서 차와 차 폴리페놀의 암 예방 역할(58–66)을 조사하였다. 그러나 차나 차의 폴리페놀이 암 발생률이나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실험은 거의 없다.

Two randomized trials evaluated the effects of tea extracts on premalignant oral lesions (58, 59). One of the trials was a double-blind interventional trial involving 59 people with leukoplakia, which is a putative precursor lesion for oral cancer (58). The trial’s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either 3 grams of a mixed tea product, given both orally and topically, or a placebo. After 6 months, 38 percent of the participants in the treatment group had partial regression of their oral lesions compared with 10 percent of the participants in the placebo group. In addition, fewer participants in the treatment group than in the placebo group had an increase in lesion size (3 percent in the treatment group versus 7 percent in the placebo group). Furthermore, mucosal cell proliferation decreased in the treatment group, suggesting a possible protective effect of tea on the development of oral cancer. In contrast, in the second trial, 39 people with high-risk premalignant oral lesions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one of three doses of a green tea extract—500 mg per square meter of body surface area (mg/m2), 750 mg/m2, or 1000 mg/m2—or a placebo three times daily for 12 weeks (59). At the end of the trial, no differences in lesion responses or histology were found between the groups.

두 번의 무작위 실험은 차 추출물이 구강 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다(58, 59). 이 실험 중 하나는 경구 암에 대한 전구병변(58)인 백반증 환자 59명이 참여한 이중 맹검 개입 시험이었다. 시험 참가자들은 무작위로 3그램의 혼합 차 제품 또는 플라시보(위약)를 경구복용과 도포로 투여하도록 배정받았다. 6개월 후, 치료 그룹의 참여자들 중 38%가 그들의 구강 병변이 부분적으로 사라진 반면, 위약 그룹의 참여자들은 10%가 부분적으로 사라졌다. 또한 병변의 크기 증가는 위약군보다 치료군 참여자들에게 더 적었다 (치료군 3%, 위약군 7%). 게다가, 점막 세포의 증식이 치료 그룹에서 감소하여, 차가 구강암 발병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두 번째 실험에서 고 위험성 구강병변을 가진 39명을 무작위로 배정하여 12주 동안 매일 3회 체표 면적의 제곱미터 당 500mg(mg/m2) 또는 1회 1000mg/m2의 녹차 추출물 3회와 위약(mg/m2) 중 하나를 받았다. 실험이 끝날 때, 그룹들 간에 병변 반응이나 조직학적 차이점은 발견되지 않았다.

Two other randomized trials examined the effects of tea on urine levels of 8-hydroxydeoxyguanosine (8-OHdG), a biomarker of oxidative DNA damage that may be a predictor of increased cancer risk. Urinary 8-OHdG levels are higher in individuals with lung cancer than in control subjects, and human breast, lung, liver, kidney, brain, stomach, and ovarian tumor tissue has a higher content of 8-OHdG than adjacent nontumor tissue (60). In one trial, 133 adult heavy smok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drink 4 cups of one of the following beverages each day for 4 months: decaffeinated green tea, decaffeinated black tea, or water (60). Among those who drank green tea,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31 percent decrease in urinary levels of 8-OHdG; in the black tea group, there was no change in urinary 8-OHdG levels (60). In the second trial, 124 individuals at increased risk of liver cancer due to hepatitis B virus infection and aflatoxin exposure took a placebo or 500 mg or 1000 mg of a green tea polyphenol supplement daily (61). The two supplement doses were reported to be equivalent to 2 or 4 cups, respectively, of green tea infusions. No other tea or tea products were consumed. Compared with those in the placebo group, individuals who took the green tea supplement at either dose for 3 months had substantially lower urinary 8-OHdG levels (61). Although these trials indicate that green tea polyphenols from tea or supplements can reduce urinary 8-OHdG levels, it is unclear if reduced 8-OHdG levels are associated with reduced cancer risk.

다른 두 가지 무작위 실험은 암 위험 증가의 예측 변수가 될 수 있는 산화 DNA 손상의 바이오마커인 8-하이드록시데옥시구아노신(8-OHdG)의 소변 수치에 미치는 차의 영향을 조사했다. 소변의 8-OHdG 수치는 대조군 대상보다 폐암에 걸린 개인에게서 더 높으며, 사람의 유방과 폐, 간, 신장, 뇌, 위, 난소 종양 조직은 인접한 비 종양 조직(60)보다 8-OHdG의 함량이 높았다. 한 시험에서는 성인 중 흡연자 133명을 무작위로 배정하여 4개월 동안 매일 4컵의 음료(무 카페인 녹차, 무 카페인 홍차, 물(60)을 마시게 했다. 녹차를 마신 사람 중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8-OHdG의 요로 수치가 31% 감소했으며, 홍차 그룹에서는 8-OHdG 수준(60)에 변화가 없었다. 2차 시험에서는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과 아플라톡신 노출로 간암 위험이 높아진 124명에게 매일 녹차 폴리페놀 보충제(61) 500mg 또는 1000mg을 복용시켰다. 두 가지 보충제 투여량은 각각 녹차 2잔 또는 4잔의 투여량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다른 차나 차 제품은 투여하지 않았다. 플라시보 그룹과 비교하여, 3개월 동안 어느 한 투여량이라도 녹차 보충제를 복용한 그룹은 요도 8-OHdG 수치가 상당히 낮았다(61). 이러한 실험은 차나 차 보충제의 폴리페놀이 8-OHdG 수치를 낮출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지만, 8-OHdG 수치가 줄어든 것이 암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Additional trials have investigated whether green tea catechins or green tea extracts alter prostate cancer risk. In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60 men took 200 mg of green tea catechin or a placebo three times daily for 1 year (62). These men had high-grade prostatic intraepithelial neoplasia, which is thought to be a precursor of prostate cancer. After 1 year, fewer prostate cancers were detected in the green tea catechin group (1 cancer in 30 men) compared with the placebo group (9 cancers in 30 men) (62). Two other clinical trials, both uncontrolled studies, investigated the use of green tea extracts to reduce prostate-specific antigen levels in men with prostate cancer and found no evidence of such a reduction (63, 64).

추가적인 실험은 녹차 카테킨이나 녹차 추출물이 전립선암 위험을 변화시키는지 여부를 조사했다. 이중 맹목적이고 위약을 조절하는 연구에서 60명의 남성이 1년(62) 동안 매일 세 번씩 녹차 카테킨이나 위약 200mg을 복용했다. 이 남성들은 전립선암의 전조로 여겨지는 수준 높은 전립선내막신피증을 가지고 있었다. 녹차 카테킨 집단에서 검출된 전립선암은 1년 후 위약군(남성 9개암 30개)(62)에 비해 적었다. 다른 두 가지 임상 실험, 둘 다 통제되지 않은 연구는 전립선암에 걸린 남성의 전립선별 항원 수치를 줄이기 위해 녹차 추출물의 사용을 조사했는데, 그러한 감소의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63, 64)

Another trial examined the effect of tea polyphenols on serum pepsinogen levels in 163 individuals with high serum pepsinogen levels (65). Serum pepsinogen is a biomarker of gastric atrophy and an indicator of increased risk for stomach cancer. The participants in this trial were given either one or six 100-mg capsules of tea polyphenols daily for 1 year. Each capsule was the equivalent of about 1.7 cups of tea. After 1 year, no decrease in serum pepsinogen levels was observed in either treatment group (65).

또 다른 실험에서는 혈청 펩시노겐 수치가 높은 163명의 개인에게서 차 폴리페놀이 혈청 펩시노겐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65) 세럼 펩시노겐은 위 위축증의 바이오마커로 위암의 위험 증가를 나타내는 지표다. 이 재판의 참가자들은 1년 동안 매일 1-6개의 차 폴리페놀 100mg 캡슐을 받았다. 각각의 캡슐은 약 1.7컵의 차와 맞먹는다. 1년 후 두 치료군(65)에서 혈청 펩시노겐 수치가 감소하지 않았다.

In yet another trial, a possible role for green tea supplements in treating precancerous lesions of the esophagus was investigated (66). In the trial, 200 Chinese participants with such lesions were treated with 5 mg of a decaffeinated green tea extract daily or a placebo. After 12 months, lesion histopathology was scored as improved, unchanged, or deteriorated. The trial found no difference between the treatment and placebo groups with regard to changes in the esophageal lesions or in abnormal cell proliferation (66).

그러나 또 다른 실험에서는 식도의 전치병 치료에 있어 녹차 보충제의 가능한 역할이 조사되었다(66) 실험에서, 그러한 병변을 가진 200명의 중국인 참가자들은 매일 5mg의 카페인 함유 녹차 추출물 또는 위약을 복용했다. 12개월 후, 병변 조직병리학은 개선, 변경 또는 악화로 점수가 매겨졌다. 실험 결과 식도 병변이나 비정상적인 세포 증식(66)에 관한 치료와 위약군 사이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Does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recommend the use of tea to prevent cancer?

국립암연구소는 암을 예방하기 위해 차를 사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는가?

NCI is a research institution. It develops evidence-based research results for others to interpret. In general, therefore, NCI does not make recommendations about specific medical or dietary interventions.

국립암연구소는 연구기관이다. 그것은 다른 사람들이 해석할 수 있도록 증거에 기반 한 연구 결과를 개발해 낸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국립암연구소는 특정 의료 또는 식이 요법 개입에 대한 권고사항을 제시하지 않는다.

Moreover, as noted above, the evidence regarding the potential benefits of tea consumption in relation to cancer is inconclusive at present.

더욱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암과 관련된 차 소비의 잠재적 편익에 관한 증거는 현재로서는 단정할 수 없다.

저작권자 © 암스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