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lteritinib Improves Survival in AML with FLT3 Mutations

질테리티닙으로 FLT3 변이의 급성골수성 백혈병 환자의 생존을 향상시킨다.

November 27, 2019, by NCI Staff

2019년 11월 27일 : 국립암연구소 제공

Treatment with the targeted drug gilteritinib (Xospata) can improve survival compared with chemotherapy for some people with acute myeloid leukemia (AML), new results from a large clinical trial show.

표적요법제인 질테리티닙(상표명 : 소스파타)으로 치료하면 일부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환자에 대한 항암치료에 비해 생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이는 대규모 임상실험의 새로운 결과물이다.

All participants enrolled in the trial had AML with specific mutations in the FLT3 gene that had come back after prior treatment (relapsed) or had not responded to treatment (refractory disease). Gilteritinib treatment increased median overall survival by close to 4 months compared with standard chemotherapy. Participants who received gilteritinib also had higher rates of complete remission and fewer serious side effects than those who received chemotherapy.

이 시험에 등록된 모든 참가자들은 사전 치료 후 재발했거나 치료(난치성 질환)에 반응하지 않은 FLT3 유전자에 특정한 돌연변이가 있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였다. 질테리티닙 치료는 표준 화학 요법과 비교해 4개월 가까이 중위수 전체 생존을 증가시켰다. 질테리티닙 투여를 받은 참가자들은 화학요법을 받은 참가자들보다 완전 관해율이 더 높았고 심각한 부작용도 적었다.

The findings were published October 31 i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이 연구결과는 10월 31일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에 실렸다.

In November 2018, the Food and Drug Association (FDA) approved gilteritinib to treat adults with FLT3-mutated relapsed or refractory AML, based on interim results of the response rate from this trial. At that time, FDA also approved a companion diagnostic test to detect FLT3-activating mutations.

2018년 11월 식품의약품안전청(FDA)은 이 시험의 중간 반응율에 근거하여 FLT3-변이로 인한 재발 혹은 난치성 AML 성인을 치료할 수 있는 질테리티닙을 승인했다. 당시 연방식약청은 FLT3 활성화를 시키는 돌연변이를 찾아내기 위한 동반 진단 테스트도 승인했다.

The new trial results “convincingly show that this is the way forward, this is the way we should be treating patients with this type of AML,” said the trial’s lead investigator Alexander Perl, M.D., of the Abramson Cancer Center at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펜실베이니아 대학 에이브람슨 암센터의 알렉산더 펄 선임연구원은 "새로운 실험 결과는 이것이 앞으로 나아갈 길이며, 우리가 이 종류의 AML 환자를 치료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확실하게 보여준다."고 말했다.

“Relapsed/refractory AML is a really terrible disease, and this is a clear finding of improved survival in those treated with a targeted therapy versus conventional chemotherapy,” said Christopher Hourigan, M.D., D.Phil. , chief of the Laboratory of Myeloid Malignancies at 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It’s a clear, incremental advance in the standard of care.”

국립 심장, 폐 및 혈액 연구소의 골수 악성종양 연구소 소장 크리스토퍼 호리건 박사는 "재발 및 난치성 만성골수성 백혈병은 정말 끔찍한 질병이며, 기존의 화학요법 대 표적요법으로 치료받은 사람들의 생존이 개선되었다는 것을 분명히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이것은 치료 기준의 명확하고 점진적인 진전" 이라고 말했다.

Targeting FLT3 Improves Survival

FLT3를 표적 삼으면 생존이 향상된다.

People who have AML with certain FLT3 mutations often have aggressive disease and poor overall survival, Dr. Perl explained.

특정 FLT3 돌연변이의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 걸린 사람들은 종종 암이 공격적이고 전반적인 생존이 나쁘다고 펄 박사는 설명했다.

These mutations in the FLT3 gene cause the FLT3 protein to always be active in leukemia cells, which can fuel their proliferation and survival. This is why researchers have considered FLT3 to be a good target for cancer treatment.

FLT3 유전자의 이러한 돌연변이는 FLT3 단백질이 백혈병 세포 내에서 늘 활성을 띄게 하는데, 이것은 백혈병 세포의 증식과 생존을 부채질할 수 있다. 연구원들이 FLT3를 암 치료의 좋은 표적으로 간주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Gilteritinib, a type of targeted cancer therapy called a tyrosine kinase inhibitor, kills leukemia cells by binding to the mutant FLT3 protein and blocking its activity.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라는 표적치료제의 일종인 질테리티닙은 돌연변이가 생긴 FLT3 단백질에 결합하여 활동을 차단함으로써 백혈병 세포를 죽인다.

Other FLT3 inhibitors are being tested or are approved for treatment of AML. In 2017, the FDA approved midostaurin (Rydapt) for adults receiving chemotherapy for newly diagnosed AML with FLT3 mutations.

다른 FLT3 억제제는 시험 중이거나 AML의 치료 승인을 받고 있다. 2017년 FDA는 새로이 진단을 받은 FL3 돌연변이 AML에 대해 화학요법을 받는 성인 환자 치료용으로 미도스타우린(상표명 : 리대프트)을 승인했다.

However, for relapsed and refractory AML, “gilteritinib has been the most successful in the clinic in terms of its response rate as a single agent, its tolerability, the duration of response, and its ability to avoid some of the common resistance mechanisms to FLT3 inhibitors,” Dr. Perl said.

그러나 재발 및 난치성 AML의 경우, "질테리티닙은 단일 물질로서의 치료 반응률과 약물 내성, 반응 지속 시간 및 FLT3 억제제에 대한 일반적인 내성 메커니즘의 일부를 피할 수 있는 능력 면에서 클리닉에서 가장 성공적이었다."고 펄 박사가 말했다.

The 371 participants in the trial, called ADMIRAL,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gilteritinib or standard chemotherapy.

ADMIRAL로 불리는 이 실험의 참가자 371명은 질테리티닙이나 표준 화학요법을 받도록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Not only did patients who received gilteritinib live longer than those who received chemotherapy (median overall survival of 9.3 months versus 5.6 months), they were also more likely to achieve a complete remission with full or partial return of their white blood cell counts to normal levels (34% of the patients who received gilteritinib versus 15% of those who received chemotherapy).

질테리티닙 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화학요법을 받은 환자들보다 더 오래 살았을 뿐만 아니라(중위수 전체 생존은 9.3개월 대 5.6개월), 백혈구 수치의 완전 또는 부분적인 회복으로 완전관해에 도달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질테리티닙을 투여 받은 환자의 관해율이 34% 대 항암치료를 받은 사람의 관해율이 15%).

The most common severe side effects for those in the gilteritinib group were fever with reduction of certain white blood cells, anemia, and low platelet count. Approximately 11% of patients taking gilteritinib stopped taking it because of side effects.

질테리티닙 그룹의 사람들에게 가장 흔한 심각한 부작용은 특정 백혈구 수의 감소와 빈혈, 혈소판 수의 감소였다. 질테리티닙을 복용하는 환자의 약 11%가 부작용 때문에 복용을 중단했다.

Gilteritinib is also given in pill form, Dr. Perl said, which makes it easier and more convenient to take than chemotherapy.

길테리티닙은 알약 형태로도 제공되므로 화학요법보다 복용하기 쉽고 편리하다고 펄 박사는 말했다.

Further Studies Needed to Continue Progress

연구를 계속 진행하기 위해 추가 연구 필요

The trial results are “not the final word on how to treat relapsed or refractory AML,” Dr. Perl said. Despite the improvement in survival, he stressed, long-term survival in this study was still low in both treatment groups.

펄 박사는 "재발성 또는 난치성 AML 치료법에 대한 최종적인 언급이 아니다"고 말했다. 생존율의 향상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 중 장기적인 생존율은 양 치료 집단에서 여전히 낮다고 펄 박사는 강조했다.

“We are certainly making strides, but we really have a long way to go to improve outcomes for patients with relapsed or refractory AML that has FLT3 mutations,” he said.

그는 "우리는 확실히 진전을 보이고 있지만 FLT3 돌연변이를 일으킨 재발 또는 난치성 AML 환자들의 치료결과를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

Ongoing studies are giving gilteritinib earlier in the disease course and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ies, as well as investigating why some patients with FLT3 mutations either don’t respond or develop resistance to gilteritinib.

진행 중인 연구에서는 질테리티닙을 더 초기에 다른 치료법들과 결합하여 질테리티닙을 투여할 뿐만 아니라, 왜 FLT3 돌연변이의 일부 환자들이 질테리티닙에 반응하지 않거나 내성을 보여주는지를 조사하고 있다.

In addition, clinical trials are comparing gilteritinib with other FLT3 inhibitors. In one clinical trial, for example, patients with untreated FLT3-mutant AML will receive either gilteritinib or midostaurin in combination with chemotherapy.

또한 임상시험에서는 질테리티닙을 다른 FLT3 억제제와 비교하고 있다. 예를 들어, 치료하지 않은 FLT3-변이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들은 화학 요법과 결합하여 질테리티닙이나 미도스타우린 치료를 받게 된다.

Researchers are also testing gilteritinib as a maintenance therapy for patients with FLT3-mutated AML who are in remission after initial treatment with chemotherapy or after a stem cell transplant.

“Gilteritinib is a good backbone to build on,” Dr. Perl said, “but, alone, it isn’t the final answer.”

연구자들은 또한 화학요법으로 초기 치료를 받은 후 또는 줄기세포 이식을 한 후 관해 중인 FLT3-변이 AML 환자들을 위한 유지 치료법으로도 질테리티닙을 실험하고 있다.

Dr. Hourigan agreed. He also noted the poor long-term survival of patients in the trial and stressed that more progress needs to be made.

호리건 박사가 동의했다. 또 임상시험에서 환자의 장기 생존이 미흡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더 많은 진전을 이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We need to be smart about how we combine gilteritinib with other molecularly targeted drugs, how we time it with chemotherapy and transplantation, and how we continue building on this finding,” he said. “It’s great that gilteritinib can improve survival of patients compared with conventional therapy—that is the hope of precision medicine. We would like that survival to be much longer.”

그는 "질테리티닙과 다른 분자 표적제를 결합하는 방법과 화학요법이나 이식술과의 투여시점 잡는 기술, 그리고 이 발견에 근거하여 연구를 계속하는 방법에 대해 현명해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질테리티닙이 종래의 치료법에 비해 환자의 생존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은 대단한 일이며, 이것이 정밀의학의 희망이다. 우리는 그 생존기간이 훨씬 더 길었으면 좋겠다."고도 말했다.

저작권자 © 암스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