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픔과 사별 및 상실감에 대처하기 (1부)

2020년 1월 13일 : 게재

이 페이지에서 다룰 내용

•개요

•사별 및 슬픔

•슬픔의 반응 유형

•복잡적인 슬픔에 영향을 주는 요소

•슬픔의 치료

•어린이와 슬픔

•비통과 상실에 대한 문화적 반응

개요

사람들은 사랑하는 사람을 잃을 때 대처하는 방식이 다양하다. 슬픔을 경험하는 사람들의 대다수는 잘 대처한다. 그렇지 못하는 사람들은 심한 슬픔을 느낄 것이고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 사랑하는 사람을 암으로 잃은 어떤 사람의 슬픔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 많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슬픔을 느끼는 사람의 성격.

•죽은 사람과의 관계

•사랑하는 사람의 암 경험과 질병의 진행 방식

•슬픔에 빠진 사람의 대처 능력과 정신 건강 이력

•슬픔에 빠진 사람이 받을 수 있는 지원의 양과 질

•슬픔에 빠진 사람의 문화적, 종교적 배경.

•슬픔에 빠진 사람의 사회적, 재정적 지위

이 요약본은 슬픔과 사별을 정의하고 다양한 유형의 슬픔에 대한 반응, 슬픔에 대한 치료, 슬퍼하는 어린이의 문제, 슬픔과 상실에 대한 문화적 반응을 설명한다. 이 요약봉은 암환자의 간병인을 도와주는 자원으로서 역할을 했으면 하는 의도이다.

사별死別과 슬픔

주요 내용

•사별이란 죽음을 통해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슬픔을 겪는 기간이다.

•슬픔이란 사랑하는 사람의 상실에 대한 정상적인 반응과정이다.

사별이란 죽음을 통해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슬픔을 겪는 기간이다.

슬픔과 애도는 사별의 기간 동안 일어난다. 슬픔과 애도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애도는 우리가 사람들 앞에서 슬픔을 드러내는 방식이다. 사람들이 슬퍼하는 방식은 믿음과 종교적 관습, 문화적 관습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슬퍼하는 사람들은 때때로 유족이라고도 부른다.

슬픔은 상실에 반응하는 정상적인 과정이다.

슬픔은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것에 대한 감정적인 반응이다. 일반적인 슬픔 반응은 다음과 같다.

•멍한 느낌뿐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다는 것을 믿을 수 없어 함

•사랑하는 사람과 떨어진 고통으로 인한 불안감의 증폭

•우울감이 뒤섞인 애도.

•슬픔을 수용하기

슬픔에 대한 반응의 유형

주요 내용

•예기 애도

-예기애도는 사망이 예상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예기애도는 가족에게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죽어가는 사람에게는 도움이 안 된다..

-예기애도는 항상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정상적인 애도

-정상적인 애도 또는 일반적인 슬픔은 상실 후 곧 시작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상이 사라진다.

-많은 유족들은 슬픔이 폭발하거나 극심한 고통을 받을 수 있다.

-슬픔은 단계적 과정으로 설명할 수도 있다.

•복합적인 슬픔

예기애도

죽음이 예상될 때 에기애도가 일어날 수도 있다.

예기애도는 죽음이 예상될 때, 그러나 사망하기 전에 일어난다. 그것은 죽어가는 사람들의 가족과 죽어가는 사람에게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예기애도는 가족 구성원들이 상실감에 대해 감정적으로 준비하는데 도움을 준다. "사랑한다."거나 "용서한다."고 말하는 등 죽어가는 사람과 전에 하지 못했던 일을 수습하는 시간이 될 수 있다.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후에 일어나는 슬픔처럼, 예기애도는 정신적, 감정적, 문화적, 사회적 반응을 포함한다. 그러나 예기애도는 죽은 후에 생기는 슬픔과는 다르다. 예기애도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우울감에 빠진다.

•죽어가는 사람에게 평소보다 더 큰 걱정이 된다.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이 어떤 것일지 상상한다.

•사망 후에 일어날 일에 대해 감정적으로 준비한다.

예기애도는 가족에게 도움이 되겠지만 죽어가는 사람은 아니다.

예기애도는 가족 구성원들이 앞으로 닥칠 일에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된다. 죽어가는 환자에게는 예기애도는 감당하기 어려울 수도 있고, 다른 사람을 기피 할 수도 있다.

예기애도는 항상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연구자들은 예기애도는 드물다고 보고한다. 연구에 의하면 슬픈 중에 흔히 볼 수 있는 사망의 수용과 회복 기간은 환자가 실제 사망하기 전에 흔하지 않다. 유족들은 사망하기 전에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받아들이려고 하면 죽어가는 환자가 버림받은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고 느낄 수도 있다.

또한, 죽음 전에 느끼는 슬픔은 그 후에 느끼는 슬픔을 감소시키거나 더 짧은 시간 동안 지속되게 하지 않는다.

정상적인 애도

정상적이거나 일반적인 애도는 상실 후 곧 시작되고 증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라진다.

정상적인 슬픔이 진행되는 동안 유족은 상실을 받아들이는 쪽으로 움직이며 힘들어도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계속할 수 있다. 일반적인 슬픔의 반응은 다음과 같다.

•정서적인 망연자실과 충격, 불신 또는 부정. 이것들은 특히 죽음을 예상하지 못한 경우에 사망 직후에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는 것에 대한 불안감. 유족들은 그 사람을 다시 데려와 고인에 대한 생각에 잠기기를 바랄지도 모른다. 죽음의 이미지는 그 사람을 생각할 때마다 자주 일어날 수 있다.

•울음과 탄식, 꿈이나 환각으로 이어지는 고통과 고인과 함께 나누었던 장소나 사물 등을 찾는 고인에 대한 환각

•분노

• 슬픔과 수면 상실, 식욕 상실, 극심한 피로, 죄책감 및 삶에 대한 관심을 상실하는 기간. 이로 인해 일상생활이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정상적인 슬픔에서는 이런 증상이 덜 자주 일어나며 시간이 지날수록 덜 해진다고 느낄 것이다. 슬픔에서 회복시간은 정해지지 않다. 정상적인 슬픔을 느끼는 대부분의 유족들은 상실 후 6개월에서 2년 사이에 증상이 줄어든다.

많은 유족들은 슬픔이 폭발하거나 극심한 고통을 받을 수 있다.

슬픔의 폭발이나 극심한 고통은 짧은 기간(20~30분) 동안 지속된다. 때때로 이러한 감정의 폭발은 죽은 사람을 상기할 때 일어나고 어떨 때에는 이유도 없이 터져 나올 수도 있다.

슬픔은 때로는 단계적 과정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일반적인 애도 과정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몇 가지 이론이 있다. 전문가들은 사람들이 상실감에 대처하면서 겪는 여러 가지 유형의 단계와 횟수에 대해 설명했다. 이 때, 이 이론들 중 하나가 다른 이론들보다 더 정확하다는 것을 증명하기에는 충분한 정보가 없다.

많은 유족들이 상실에 대처하면서 비슷한 반응을 보이고 있지만 전형적인 슬픔에 대응방식은 없다. 슬픔은 개인적인 것이다.

복합적인 애도

애도에는 옳고 그른 방법은 없지만, 가장 흔한 것과 다른 애도의 패턴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것은 복합적인 애도라고 불려왔다.

연구에 나타난 복합적인 애도 반응은 다음과 같다.

•애도반응의 극소화: 자신의 슬픔으로 인한 고통이나 문제를 전혀 보이지 않거나 아주 약간의 징후만 보임.

•만성적 지속적인 애도: 일반적인 애도의 증상이 평소보다 훨씬 더 오래 지속되는 형태. 이러한 증상은 심각한 우울증과 불안감, 외상 후 스트레스와 많이 비슷하다.

복합적 애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주요 내용

•연구자들은 무엇이 복합적 애도를 일으킬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애도 반응을 연구한다.

•학계에서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애도 대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사망이 사전에 예상되었는지 여부

-유족들의 성격

-유족들의 종교적 신념

-유족이 남성 또는 여성인지 여부

-유족들의 나이

-유족들이 받은 사회적 지원의 다소

연구원들은 무엇이 복합적 애도를 유발할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애도 반응을 연구한다.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애도 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죽음이 사전에 예상되었는지 여부.

어떤 갑작스럽고 예기치 못한 상실이 더 어려운 슬픔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연구에 따르면, 자부심이 높고/또는 그들이 삶을 통제하고 있다는 느낌을 가진 유족들은 예상치 못한 손실을 입었음에도 정상적인 애도 반응을 보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자존감과/또는 삶을 통제할 수 없다는 의식을 가진 사람들은 예상치 못한 상실 후에 복합적 애도의 형태를 보일 가능성이 더 많다. 여기에는 더 많은 우울증과 신체적 질환이 포함된다.

유족들의 성격.

연구들은 특정한 성격 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상실 후 오랫동안 우울증을 겪을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여기에는 사랑하는 사람(배우자 등)에게 매우 의존하는 사람, 늘 그 생각을 하며 괴로움을 다루는 사람 등이 포함된다.

유족들의 종교적 신념.

몇몇 연구는 종교가 사람들이 슬픔에 더 잘 대처하도록 돕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다른 연구에서는 종교가 도움이 되지 않거나 더 많은 고통을 야기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종교는 교회에 자주 가는 사람들에 도움이 되는 것 같다. 슬픔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은 아마도 교회 신자들이 더 많은 사회적 지지를 받기 때문일 것이다.

유족이 남성인지 여성인지 여부.

일반적으로, 남성들은 배우자가 죽은 후보다 여성들보다 더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남성들은 상실 후 여성들보다 우울증이 더 심하고 건강상의 문제가 더 많은 경향이 있다. 일부 연구자들은 이것이 남성들이 상실 후 사회적 지원이 적기 때문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유족들의 나이.

일반적으로 젊은 유족들은 노년층보다 상실한 후 문제가 더 많다. 그들은 더 심각한 건강 장애와 애도 증상, 그리고 다른 정신적, 육체적 증상들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젊은 유족들은 고령의 유족들보다 더 빨리 회복될 수 있다. 왜냐하면 그들은 더 많은 자원과 사회적 지원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유족이 받는 사회적 지원의 다소.

사회적 지원이 부족하면 상실을 감수하는 데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커진다. 사회적 지원은 그 사람의 가족과 친구, 이웃, 그리고 심리적, 신체적, 재정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역사회 구성원들을 포함한다. 가까운 가족의 죽음 이후, 많은 사람들이 상실을 실감한다. 예를 들어 배우자의 죽음은 소득의 손실과 생활방식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이것들은 모두 사회적 지원과 관련이 있다.

슬픔의 치료

주요 내용

•정상적인 슬픔은 치료가 불필요할 수 있다.

•복합적 애도는 대화요법 같은 별도의 심리치료로 치료할 수 있다.

-복합적 애도 치료(CGT)는 임상시험에 도움이 되는 애도 치료의 일종이다.

-복합 애도에 대한 인지행동치료(CBT)는 임상시험에서 도움이 되었다.

•슬픔과 관련된 감정은 때때로 약물로 치료할 수 있다.

정상적인 슬픔은 치료가 불필요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유족들은 슬픔을 이겨내고 첫 6개월에서 2년 안에 회복한다. 연구원들은 정상적인 슬픔을 겪고 있는 유족들이 공식적인 치료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을지를 연구하고 있다. 그들은 또한 치료가 정상적인 슬픔의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의 복합적 애도를 예방할 수 있는지도 연구하고 있다.

심각한 애도 반응이나 고통의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에게 치료는 도움이 될 수 있다.

복합적 애도는 별도의 심리 치료를 할 수 있다.

연구원들은 슬픔의 정신적, 감정적, 사회적, 행동적 증상의 치료법을 연구하고 있다. 치료 방법으로는 토의와 듣기 및 상담이 있다.

복합 애도 치료(CGT)는 임상시험에서 도움이 되었던 애도 치료의 일종이다.

복합적 애도 치료(CGT)에는 세 가지 단계가 있다.

•첫 번째 단계에는 상실에 대해 이야기하고 회복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유족들은 이 두 가지 일에 힘쓰라는 가르침을 받는다.

• 두 번째 단계에는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다시 들려줌으로써 상실에 대처하는 것이 포함된다. 이는 자신의 상실을 생각하지 않으려는 유족들에게 도움이 된다.

• 마지막 단계는 회복을 위한 진전을 살펴보고 유족들이 향후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을 준다. 치료를 끝내는 것에 대한 유족들의 심정도 논의된다.

복합적 애도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에서 CGT를 대인관계심리치료(IPT)와 비교했다. IPT는 그 사람의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중점을 두는 심리치료의 일종으로 우울증 치료에 도움이 된다. 복합적 애도 환자에게는 IPT보다 CGT가 더 도움이 되었다.

복합적 애도에 대한 인지행동치료(CBT)는 임상시험에서 도움이 되었다.

인지행동치료(CBT)는 사람의 생각과 행동이 연결되는 방식과 함께 작용한다. CBT는 환자가 부정적인 생각을 대체하고 특정한 행동의 보상을 변화시킴으로써 태도와 행동을 바꾸는 기술을 배우도록 돕는다.

한 임상실험은 CBT를 복합적 애도에 대한 상담과 비교했다. 그 결과 CBT로 치료받은 환자들은 상담 그룹에 있는 환자들보다 증상과 일반적인 정신적 고통에 더 많은 향상을 보였다.

슬픔과 관련된 우울증은 때로 약으로 치료되기도 한다.

슬픔과 함께 일어나는 우울증에 대한 표준 약물 치료법은 없다. 일부 의료 전문가들은 우울증이 슬픔의 정상적인 부분이며 치료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슬픔과 관련된 우울증을 약물로 치료할지는 환자와 의료전문가가 결정할 일이다.

슬픔과 관련된 우울증에 대한 항 우울제를 임상 실험한 결과 우울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하지만 슬픔과 무관한 우울증에 사용할 때보다 항 우울제는 안도감도 덜 주고 효력을 내는데 시간도 더 오래 걸린다.

Grief, Bereavement, and Coping With Loss (PDQ®)Patient Version(1)

2020년 1월 13일 : 게재

On This Page

•Overview

•Bereavement and Grief

•Types of Grief Reactions

•Factors that Affect Complicated Grief

•Treatment of Grief

•Children and Grief

•Cultural Responses to Grief and Loss

Overview

People cope with the loss of a loved one in different ways. Most people who experience grief will cope well. Others will have severe grief and may need treatment. There are many things that can affect the grief process of someone who has lost a loved one to cancer. They include:

•The personality of the person who is griev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person who died.

•The loved one's cancer experience and the way the disease progressed.

•The grieving person’s coping skills and mental health history.

•The amount of support the grieving person has.

•The grieving person’s cultural and religious background.

• The grieving person’s social and financial position.

This summary defines grief and bereavement and describes the different types of grief reactions, treatments for grief, important issues for grieving children, and cultural responses to grief and loss. It is intended as a resource to help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Bereavement and Grief

Key Points

•Bereavement is the period of sadness after losing a loved one through death.

•Grief is the normal process of reacting to the loss.

Bereavement is the period of sadness after losing a loved one through death.

Grief and mourning occur during the period of bereavement. Grief and mourning are closely related. Mourning is the way we show grief in public. The way people mourn is affected by beliefs, religious practices, and cultural customs. People who are grieving are sometimes described as bereaved.

Grief is the normal process of reacting to the loss.

Grief is the emotional response to the loss of a loved one. Common grief reactions include the following:

•Feeling emotionally numb.

•Feeling unable to believe the loss occurred.

•Feeling anxiety from the distress of being separated from the loved one.

•Mourning along with depression.

•A feeling of acceptance.

Types of Grief Reactions

Key Points

•Anticipatory Grief

-Anticipatory grief may occur when a death is expected.

-Anticipatory grief may help the family but not the dying person.

-Anticipatory grief does not always occur.

•Normal Grief

-Normal or common grief begins soon after a loss and symptoms go away over time.

-Many bereaved people will have grief bursts or pangs.

-Grief is sometimes described as a process that has stages.

•Complicated Grief

Anticipatory Grief

Anticipatory grief may occur when a death is expected.

Anticipatory grief occurs when a death is expected, but before it happens. It may be felt by the families of people who are dying and by the person dying. Anticipatory grief helps family members get ready emotionally for the loss. It can be a time to take care of unfinished business with the dying person, such as saying “I love you” or “I forgive you.”

Like grief that occurs after the death of a loved one, anticipatory grief involves mental, emotional, cultural, and social responses. However, anticipatory grief is different from grief that occurs after the death. Symptoms of anticipatory grief include the following:

•Depression.

•Feeling a greater than usual concern for the dying person.

•Imagining what the loved one's death will be like.

• Getting ready emotionally for what will happen after the death.

Anticipatory grief may help the family but not the dying person.

Anticipatory grief helps family members cope with what is to come. For the patient who is dying, anticipatory grief may be too much to handle and may cause him or her to withdraw from others.

Anticipatory grief does not always occur.

Some researchers report that anticipatory grief is rare. Studies showed that periods of acceptance and recovery usually seen during grief are not common before the patient’s actual death. The bereaved may feel that trying to accept the loss of a loved one before death occurs may make it seem that the dying patient has been abandoned.

Also, grief felt before the death will not decrease the grief felt afterwards or make it last a shorter time.

Normal Grief

Normal or common grief begins soon after a loss and symptoms go away over time.

During normal grief, the bereaved person moves toward accepting the loss and is able to continue normal day-to-day life even though it is hard to do. Common grief reactions include:

•Emotional numbness, shock, disbelief, or denial. These often occur right after the death, especially if the death was not expected.

•Anxiety over being separated from the loved one. The bereaved may wish to bring the person back and become lost in thoughts of the deceased. Images of death may occur often in the person’s everyday thoughts.

•Distress that leads to crying; sighing; having dreams, illusions, and hallucinations of the deceased; and looking for places or things that were shared with the deceased.

•Anger.

• Periods of sadness, loss of sleep, loss of appetite, extreme tiredness, guilt, and loss of interest in life. Day-to-day living may be affected.

In normal grief, symptoms will occur less often and will feel less severe as time passes. Recovery does not happen in a set period of time. For most bereaved people having normal grief, symptoms lessen between 6 months and 2 years after the loss.

Many bereaved people will have grief bursts or pangs.

Grief bursts or pangs are short periods (20-30 minutes) of very intense distress. Sometimes these bursts are caused by reminders of the deceased person. At other times they seem to happen for no reason.

Grief is sometimes described as a process that has stages.

There are several theories about how the normal grief process works. Experts have described different types and numbers of stages that people go through as they cope with loss. At this time, there is not enough information to prove that one of these theories is more correct than the others.

Although many bereaved people have similar responses as they cope with their losses, there is no typical grief response. The grief process is personal.

Complicated Grief

There is no right or wrong way to grieve, but studies have shown that there are patterns of grief that are different from the most common. This has been called complicated grief.

Complicated grief reactions that have been seen in studies include:

•Minimal grief reaction: A grief pattern in which the person has no, or only a few, signs of distress or problems that occur with other types of grief.

•Chronic grief: A grief pattern in which the symptoms of common grief last for a much longer time than usual. These symptoms are a lot like ones that occur with major depression, anxiety, or post-traumatic stress.

Factors that Affect Complicated Grief

Key Points

•Researchers study grief reactions to try to find out what might increase the chance that complicated grief will occur.

•Studies have looked at how the following factors affect the grief response:

-Whether the death is expected or unexpected.

-The personality of the bereaved.

-The religious beliefs of the bereaved.

-Whether the bereaved is male or female.

-The age of the bereaved.

-The amount of social support the bereaved has.

Researchers study grief reactions to try to find out what might increase the chance that complicated grief will occur.

Studies have looked at how the following factors affect the grief response:

Whether the death is expected or unexpected.

It may seem that any sudden, unexpected loss might lead to more difficult grief. However, studies have found that bereaved people with high self-esteem and/or a feeling that they have control over life are likely to have a normal grief reaction even after an unexpected loss. Bereaved people with low self-esteem and/or a sense that life cannot be controlled are more likely to have complicated grief after an unexpected loss. This includes more depression and physical problems.

The personality of the bereaved.

Studies have found that people with certain personality traits are more likely to have long-lasting depression after a loss. These include people who are very dependent on the loved one (such as a spouse), and people who deal with distress by thinking about it all the time.

The religious beliefs of the bereaved.

Some studies have shown that religion helps people cope better with grief. Other studies have shown it does not help or causes more distress. Religion seems to help people who go to church often. The positive effect on grief may be because church-goers have more social support.

Whether the bereaved is male or female.

In general, men have more problems than women do after a spouse’s death. Men tend to have worse depression and more health problems than women do after the loss. Some researchers think this may be because men have less social support after a loss.

The age of the bereaved.

In general, younger bereaved people have more problems after a loss than older bereaved people do. They have more severe health problems, grief symptoms, and other mental and physical symptoms. Younger bereaved people, however, may recover more quickly than older bereaved people do, because they have more resources and social support.

The amount of social support the bereaved has.

Lack of social support increases the chance of having problems coping with a loss. Social support includes the person's family, friends, neighbors, and community members who can give psychological, physical, and financial help. After the death of a close family member, many people have a number of related losses. The death of a spouse, for example, may cause a loss of income and changes in lifestyle and day-to-day living. These are all related to social support.

Treatment of Grief

Key Points

•Normal grief may not need to be treated.

•Complicated grief may be treated with different types of psychotherapy (talk therapy).

-Complicated grief treatment (CGT) is a type of grief therapy that was helpful in a clinical trial.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for complicated grief was helpful in a clinical trial.

•Depression related to grief is sometimes treated with drugs.

Normal grief may not need to be treated.

Most bereaved people work through grief and recover within the first 6 months to 2 years. Researchers are studying whether bereaved people experiencing normal grief would be helped by formal treatment. They are also studying whether treatment might prevent complicated grief in people who are likely to have it.

For people who have serious grief reactions or symptoms of distress, treatment may be helpful.

Complicated grief may be treated with different types of psychotherapy (talk therapy).

Researchers are studying the treatment of mental, emotional, social, and behavioral symptoms of grief. Treatment methods include discussion, listening, and counseling.

Complicated grief treatment (CGT) is a type of grief therapy that was helpful in a clinical trial.

Complicated grief treatment (CGT) has three phases:

•The first phase includes talking about the loss and setting goals toward recovery. The bereaved are taught to work on these two things.

• The second phase includes coping with the loss by retelling the story of the death. This helps bereaved people who try not to think about their loss.

• The last phase looks at progress that has been made toward recovery and helps the bereaved make future plans. The bereaved's feelings about ending the sessions are also discussed.

In a clinical trial of patients with complicated grief, CGT was compared to interpersonal psychotherapy (IPT). IPT is a type of psychotherapy that focuses on the person's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is helpful in treating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omplicated grief, the CGT was more helpful than IP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for complicated grief was helpful in a clinical trial.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works with the way a person's thoughts and behaviors are connected. CBT helps the patient learn skills that change attitudes and behaviors by replacing negative thoughts and changing the rewards of certain behaviors.

A clinical trial compared CBT to counseling for complicated grief. Results showed that patients treated with CBT had more improvement in symptoms and general mental distress than those in the counseling group.

Depression related to grief is sometimes treated with drugs.

There is no standard drug therapy for depression that occurs with grief. Some health care professionals think depression is a normal part of grief and doesn't need to be treated. Whether to treat grief-related depression with drugs is up to the patient and the health care professional to decide.

Clinical trials of antidepressants for depression related to grief have found that the drugs can help relieve depression. However, they give less relief and take longer to work than they do when used for depression that is not related to grief.

PDQ®(Patient Version)

저작권자 © 암스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