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와 슬픔(2)

주요 내용

•어린이의 슬픔의 과정은 어른의 슬픔과 다르다.

•슬픔의 요인은 어린이가 슬픔에 대처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발육 단계에 따라 아이들은 죽음에 대한 이해와 죽을 수 있는 사건들에 대한 이해도가 달라진다.

•상실을 겪은 대부분의 아이들은 죽음에 대해 세 가지 공통적인 걱정을 한다.

. -내가 그 죽음의 원인을 제공한 게 아닌가?

-나에게도 그런 일이 일어날까?

-그(그녀)가 죽고 나면 누가 날 돌봐줄까?

•죽음에 대해 솔직하게 말하고 장례식에 아이를 참석시키는 것은 슬픔에 빠진 아이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죽음을 설명하고 질문에 답하라.

-올바른 어휘를 사용하라.

-아이도 추도식의 계획에 참가시키고 추도식에도 참가시킨다..

•슬픔에 빠진 어린이를 돕는 것에 관한 정보를 담은 책과 다른 자료들이 있다.

어린이의 슬픔의 과정은 어른의 슬픔과는 다르다.

아이들은 어른들과 같은 방식으로 상실에 반응하지 않는다. 어린이들의 슬픔이 다른 것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

•어린이들은 가끔 그리고 짧은 시간 동안만 슬픔을 드러내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이는 아이가 오랫동안 격한 감정을 지속할 수 없기 때문일 것이다. 아이의 슬픔은 1분 동안 슬퍼하고 그 다음부터는 장난스럽게 놀 수도 있다. 종종 가족들은 아이가 상실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거나 빨리 극복했다고 생각한다. 보통 두 가지 다 사실이 아니다. 아이들의 마음은 감정적으로 다루기 너무 힘든 것들로부터 그들을 보호한다.

•애도는 아동에게 수년간 지속되는 과정이다. 아이가 나이가 들어도 상실감이 반복적으로 생길 수 있다. 이것은 캠핑 갈 때와 학교를 졸업할 때, 결혼할 때, 또는 아이를 갖는 것과 같은 중요한 시기에 흔히 생기는 일이다.

•슬픔을 느끼는 어린이는 어른처럼 노골적으로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지 않을 수 있다. 슬픔에 빠진 아이들은 스스로를 격리시키거나 슬픔을 드러내는 대신 활동에 자신을 몰입할 수도 있다.

•어린이들은 어른들처럼 그들의 생각과 감정을 충분히 생각할 수 없다. 아이들은 슬픔에 대한 감정을 말로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분노의 강한 감정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 혹은 혼자 남겨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슬픔에 잠긴 아이들의 행동에서 나타날지도 모른다. 아이들은 종종 그들의 감정과 걱정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죽음의 게임을 한다. 이 게임들은 아이들에게 그들의 감정을 안전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다.

•슬픔에 잠긴 어른들은 스스로를 격리할 수 있으며, 다른 사람들과 그 상실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아이들은 주위 사람들(낯선 사람들까지)과 대화를 나누며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 또는 상실감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에 대한 단서를 얻고는 한다.

•어린이들은 헷갈리는 질문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는 "할아버지가 돌아가신 것은 알지만, 언제 집에 돌아오실까?"라고 물을 수도 있다. 이것은 현실을 시험하고 죽음에 대한 이야기가 변하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방법이다.

몇 가지 요인들이 아이가 슬픔에 대처하는 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아이마다 슬픔은 다르지만, 아이의 슬픔의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어린이의 나이와 발달 단계

•어린이의 성격.

•아이의 죽음에 대한 이전의 경험.

•자녀와 고인의 관계

•사망 원인

•가족 내에서 자녀의 행동방식과 의사소통하는 방식.

•상실 후 가정생활이 얼마나 안정적인가.

•어린이를 계속 돌보는 방법.

•아이에게 느낌과 기억을 공유하고 표현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지 여부

•부모의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법

•어린이가 다른 어른들과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는지 여부.

아이들은 발달 단계에 따라 죽음과 거의 죽을 뻔 했던 사건에 대한 이해가 서로 다르다.

유아기

유아들은 죽음을 인식하지 못하지만 상실감과 이별의 감정은 죽음에 대한 인식을 키우는 한 과정이다. 엄마와 헤어진 아이들은 행동이 느려지고 조용할 수도 있고, 미소나 속삭임에 반응하지 않을 수도 있고, 체중감소 같은 신체적 증상이 있을 수도 있고, 잠을 덜 잘 수도 있다.

2-3세

이 나이의 아이들은 종종 죽음과 잠을 혼동하고 3살부터 불안감을 느낄 수 있다. 그들은 말을 하지 않고 전반적인 고통을 느끼는 것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3-6세

이 나이에 아이들은 죽음을 일종의 잠으로 본다. 그 사람은 살아있지만 제한된 방식으로만 살아있다고 생각한다. 아이가 죽음과 인생을 완전히 분리할 수는 없다. 아이들은 그 사람이 묻혔을지언정 그 사람은 아직 살아 있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아이는 고인에 대한 질문을 할 수 있다(예를 들어, 고인은 어떻게 먹느냐, 변소에 어떻게 가는지, 숨을 쉬는지, 어떻게 노는지 등). 어린 아이들은 죽음이 육체적인 것이라는 것을 알지만, 그것이 최종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 아이의 죽음에 대한 이해는 아마도 "마법적 사고"를 수반할 것이다. 예를 들어, 아이는 자신의 생각이 다른 사람을 아프게 하거나 죽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5세 미만의 아이들을 괴롭히는 것은 먹고, 자고, 대소변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6-9세

이 나이대의 아이들은 흔히 죽음에 대해 매우 호기심을 갖고 있으며, 죽으면 신체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에 대해 질문할 수도 있다. 죽음은 해골과 귀신, 천사, 보기맨(귀신의 일종)과 같이 살아 있는 사람과 별개의 인간이나 영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들은 죽음을 최종적이고 무섭지만 대부분 노인에게 일어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슬픔에 빠진 아이들은 학교에 대한 두려움이 생기거나, 학습에 문제가 있거나, 반사회적이거나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거나, 자신의 건강에 대해 지나치게 걱정하게 되고, 상상적인 증상을 호소하게 될 수 있다. 이 나이의 아이들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스스로를 격리하거나 너무 집착하고 다른 사람에게 착 달라붙을 수도 있다.

남자아이들은 종종 그들의 슬픔을 공개적으로 드러내는 대신 더 공격적이고 파괴적이 된다.

한 부모가 죽으면, 아이들은 죽은 부모와 살아 있는 부모 모두에게 버림받았다고 느낄 수 있는데, 왜냐하면 남은 부모의 슬픔이 아이를 감정적으로 부양할 수 없게 만들 수도 있다.

9세 이상

9세 이상의 어린이는 죽음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그것을 형벌로 보지 않는다. 아이가 12살이 되면 죽음은 최종적이고 누구에게나 일어나는 것으로 이해한다.

슬픔과 그 발달단계

연령

죽음의 이해도

슬픔의 표현 양식

유아~2세

죽음을 아직 이해할 수 없다.

조용함, 심술궂음, 활동량 감소, 수면 감소, 체중 감소.

엄마와의 이별이 변화를 초래

2~6세

죽음은 수면과 같다.

많은 질문을 한다(대소변은 어떻게 보는지 혹은 어떻게 먹는지 등)

먹기와 잠자기 및 대소변 조절의 장애

내버려질 수 있다는 두려움.

죽은 사람은 계속 살아있고 단지 방법이 다를 뿐이다.

"마법적 사고"(내가 당신이 싫다고 했을 때나 죽었으면 좋겠다고 말했을 때처럼 내가 죽음을 초래한 일을 생각하거나 했나?)

죽음은 끝이 아니다

죽은 사람은 살아 돌아올 수 있다

6-9 세

죽음은 사람이나 정령(해골, 유령, 부기맨)으로 생각된다.

Curious about death.

죽음은 끝이고 무서운 것이다

특별한 질문을 한다.

학교에 대한 두려움이 생긴다

상상 속의 병에 대한 걱정을 한다

죽음은 다른 사람에게 생기지 나에게는 해당이 없다

버려진 느낌을 가질 수 있다.

9세 이상

E모든 사람은 죽는다.

격한 감정과 죄책감, 분노, 부끄러움

자신의 건강에 대한 불안감 증가

감정이 수시로 변한다.

죽음은 끝장이다.

거부당함의 두려움 때문에 친구들과 달라지고 싶어 하지 않는다

식습관의 변화.

수면장애.

퇴행적 행동(외부활동에 대한 흥미상실)

충동적 행동

살아있음에 대한 죄책감(특히 형제자매나 친구의 죽음과 연관되었을 때)

상싱을 겪은 대부분의 아이들은 죽음에 대한 세 가지 공통적인 우려를 가지고 있다.

상실에 대처하는 아이들은 종종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질문을 한다.

내가 죽음을 초래했나?

아이들은 종종 그들이 "마법의 힘"을 가졌다고 생각한다. 만약 엄마가 짜증이 나서 "넌 너 때문에 죽을 거야"라고 말하고 나중에 죽는다면, 아이는 그 때문에 어머니가 실제로 죽은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또 아이들이 다투면 "네가 죽었으면 좋겠다."고 말할 수도 있다. 만약 그 아이가 죽는다면, 살아남은 아이는 그 생각이 죽음을 불렀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나에게도 그런 일이 일어날까?

또 다른 아이의 죽음은 아이에게는 견디기 힘든 일일지도 모른다. 만일 아이가 (부모나 의사 둘 중 어느 한쪽이) 죽음을 막았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면, 그 아이 역시 죽을 수 있다는 것을 두려워할 수도 있다.

누가 날 돌봐줄까?

아이들은 부모와 다른 어른들에게 의지해 살기 때문에, 슬퍼하는 아이는 중요한 사람이 죽은 후에 누가 자신을 돌볼까 궁금해 할 수도 있다.

죽음에 대해 솔직하게 말하고 장례식에 아이를 참석시키는 것은 슬픔에 빠진 아이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죽음을 설명하고 질문에 답하라.

죽음에 대해 말하는 것은 아이들이 상실감에 대처하는 법을 배우도록 돕는다. 아이들과 죽음에 대해 이야기할 때, 간단히 묘사하라. 아이들은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만큼 세세하게 진실을 말해야 한다. 아이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질문에 답하라.

아이들은 자기들도 죽을지, 살아남은 부모가 없어질지 걱정하곤 한다. 그들은 안전하고 돌볼 것이라는 말을 들을 필요가 있다.

올바른 언어를 사용하라.

아이와 죽음에 대해 이야기할 때, "암" "죽었다" "죽음"과 같은 정확한 단어를 포함하라. 다른 단어나 구절(예: "그는 죽었다", "그는 자고 있다", 또는 "우리는 그를 잃었다")을 사용하는 것은 아이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그들이 오해하게 할 수 있다.

아이도 추도식의 계획에 참가시키고 추도식에도 참가시킨다.

사망 시 아이들은 계획과 추도식에 참여하게 되면 기분이 좋아질 수 있다. 이 사건들은 아이들이 사랑하는 사람을 기억하는데 도움을 준다. 아이들은 이러한 의식에 참여하도록 강요당하지 말고, 아이들이 편안하게 참여할 수 있을 때 참여하도록 격려해야 한다. 아이가 장례식에 참석하거나, (초상집에서) 밤새우기 또는 제사에 참석하기 전에 아이에게 무엇을 기대해야 하는지 충분히 설명하라. 친숙한 성인이나 가족 구성원이 생존 부모의 슬픔으로 인해 할 수 없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슬픔과 상실에 대한 문화적 반응

주요 내용

•문화권마다 죽음에 대처하는 방법이 다르다.

•슬픔에 대한 개인의 사적인 경험은 문화권에 차이가 없다.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에 대처하는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인 문제는 의례와 신앙과 역할 등이 포함된다.

문화권에 따라 죽음에 대처하는 방식이 다르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슬픔은 모든 연령대와 문화를 가진 사람들에게서 일어난다. 그러나 문화권마다 죽음에 대한 신화나 신비가 달라 유족들의 태도, 신앙, 관행에 영향을 미친다.

개인적이고 사적인 슬픔의 경험은 모든 문화에서 비슷하다.

모든 문화권의 사람들이 개인적으로 슬픔을 느끼는 방법은 비슷하다. 서로 다른 문화가 슬픔을 표현하기 위해 서로 다른 애도 의식과 전통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사실로 밝혀졌다.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대하는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이슈에는 의례와 믿음과 역할이 포함된다.

가족 구성원들이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에 대응하는 것을 돕는 것은 가족의 문화와 그들이 죽음을 존중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의 질문은 간병인이 그 사람의 문화에 필요한 것을 배우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죽음과 고인의 신체, 죽음을 기리기 위한 문화적 의식은 무엇인가?

•사후에 일어나는 일에 대한 가족의 신앙은 무엇인가?

•가족이 느끼는 정상적인 슬픔의 표현과 상실감의 수용은 무엇인가?

•가족은 사망을 다루는데 있어 각 가족의 역할로 간주되는 것은 무엇인가?

•특정 유형의 죽음이 수용 가능성이 낮은가(예: 자살) 또는 특정 유형의 죽음이 그 문화(예: 어린이의 죽음)에 특히 어려운가?

죽음과 슬픔, 애도는 정상적인 삶의 사건이다. 모든 문화는 죽음을 다루기 위한 그들의 필요를 가장 잘 충족시키는 관행을 가지고 있다. 서로 다른 문화가 죽음에 반응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간병인들은 이러한 문화권의 환자들이 그들 자신의 정상적인 애도 과정을 끝마치도록 도울 수 있다.

Children and Grief(2)

Key Points

•A child's grief process is different from an adult's.

•Several factors can affect how a child will cope with grief.

•Children at different stages of development have different understandings of death and the events near death.

•Most children who have had a loss have three common worries about death

. -Did I make the death happen?

-Is it going to happen to me?

-Who is going to take care of me?

•Talking honestly about the death and including the child in rituals may help the grieving child.

-Explain the death and answer questions.

-Use the correct language.

-Include the child in planning and attending memorial ceremonies.

•There are books and other resources with information on helping a grieving child.

A child's grief process is different from an adult's.

Children do not react to loss in the same ways as adults. These are some of the ways children's grief is different:

•Children may seem to show grief only once in a while and for short times. This may be because a child is not able to feel strong emotions for long periods of time. A grieving child may be sad one minute and playful the next. Often families think the child doesn’t really understand the loss or has gotten over it quickly. Usually, neither is true. Children’s minds protect them from what is too much for them to handle emotionally.

•Mourning is a process that continues over years in children. Feelings of loss may occur again and again as the child gets older. This is common at important times, such as going to camp, graduating from school, getting married, or having children.

•Grieving children may not show their feelings as openly as adults. Grieving children may throw themselves into activities instead of withdrawing or showing grief.

•Children cannot think through their thoughts and feelings like adults. Children have trouble putting their feelings about grief into words. Strong feelings of anger and fears of death or being left alone may show up in the behavior of grieving children. Children often play death games as a way of working out their feelings and worries. These games give children a safe way to express their feelings.

•Grieving adults may withdraw and not talk to other people about the loss. Children, however, often talk to the people around them (even strangers) to see how they react and to get clues for how they should respond to the loss.

•Children may ask confusing questions. For example, a child may ask, "I know grandpa died, but when will he come home?" This is a way of testing reality and making sure the story of the death has not changed.

Several factors can affect how a child will cope with grief.

Although grief is different for each child, several factors can affect the grief process of a child:

•The child's age and stage of development.

•The child's personality.

•The child's previous experiences with death.

•The child's relationship with the deceased.

•The cause of death.

•The way the child acts and communicates within the family.

•How stable the family life is after the loss.

•How the child continues to be cared for.

•Whether the child is given the chance to share and express feelings and memories.

•How the parents cope with stress.

•Whether the child has ongoing relationships with other adults.

Children at different stages of development have different understandings of death and the events near death.

Infants

Infants do not recognize death, but feelings of loss and separation are part of developing an awareness of death. Children who have been separated from their mother may be sluggish and quiet, may not respond to a smile or a coo, may have physical symptoms (such as weight loss), and may sleep less.

Age 2-3 years

Children at this age often confuse death with sleep and may feel anxiety as early as age 3. They may stop talking and appear to feel overall distress.

Age 3-6 years

At this age children see death as a kind of sleep; the person is alive, but only in a limited way. The child cannot fully separate death from life. Children may think that the person is still living, even though he or she might have been buried. The child may ask questions about the deceased (for example, how does the deceased eat, go to the toilet, breathe, or play?). Young children know that death is physical, but think it is not final.

The child’s understanding of death may involve "magical thinking". For example, the child may think that his or her thoughts can cause another person to become sick or die.

Grieving children under 5 may have trouble eating, sleeping, and controlling the bladder and bowel.

Age 6-9 years

Children at this age are often very curious about death, and may ask questions about what happens to the body when it dies. Death is thought of as a person or spirit separate from the person who was alive, such as a skeleton, ghost, angel, or bogeyman. They may see death as final and scary but as something that happens mostly to old people (and not to themselves).

Grieving children can become afraid of school, have learning problems, show antisocial or aggressive behavior, or become overly worried about their own health and complain of imaginary symptoms. Children this age may either withdraw from others or become too attached and clingy.

Boys often become more aggressive and destructive (for example, acting out in school), instead of showing their sadness openly.

When one parent dies, children may feel abandoned by both the deceased parent and the living parent, whose grief may make him or her unable to emotionally support the child.

Age 9 and older

Children aged 9 and older know that death cannot be avoided and do not see it as a punishment. By the time a child is 12 years old, death is seen as final and something that happens to everyone.

Grief and Developmental Stages

Age

Understanding of Death

Expressions of Grief

Infancy to 2 years

Is not yet able to understand death.

Quietness, crankiness, decreased activity, poor sleep, and weight loss.

Separation from mother causes changes.

2-6 years

Death is like sleeping.

Asks many questions (How does she go to the bathroom? How does she eat?).

Problems in eating, sleeping, and bladder and bowel control.

Fear of being abandoned.

Dead person continues to live and function in some ways.

"Magical thinking" (Did I think or do something that caused the death? Like when I said I hate you and I wish you would die?).

Death is not final.

Dead person can come back to life.

6-9 years

Death is thought of as a person or spirit (skeleton, ghost, bogeyman).

Curious about death.

Death is final and scary.

Asks specific questions.

May have fears about school.

Worries about imaginary illnesses.

Death happens to others, it won’t happen to me.

May feel abandoned.

9 and older

Everyone will die.

Strong emotions, guilt, anger, shame.

Increased anxiety over own death.

Mood swings.

Death is final.

Fear of rejection; not wanting to be different from peers.

Changes in eating habits.

Sleeping problems.

Regressive behavior (loss of interest in outside activities).

Impulsive behavior.

Feels guilty about being alive (especially related to death of a brother, sister, or peer).

Most children who have had a loss have three common worries about death.

Children coping with a loss often have these three questions:

Did I make the death happen?

Children often think that they have "magical powers". If a mother is irritated and says, "You’ll be the death of me" and later dies, her child may wonder if he or she actually caused the mother’s death. Also, when children argue, one may say (or think), "I wish you were dead." If that child dies, the surviving child may think that those thoughts caused the death.

Is it going to happen to me?

The death of another child may be very hard for a child. If the child thinks that the death may have been prevented (by either a parent or a doctor) the child may fear that he or she could also die.

Who is going to take care of me?

Since children depend on parents and other adults to take care of them, a grieving child may wonder who will care for him or her after the death of an important person.

Talking honestly about the death and including the child in rituals may help the grieving child.

Explain the death and answer questions.

Talking about death helps children learn to cope with loss. When talking about death with children, describe it simply. Each child should be told the truth using as much detail as he or she is able to understand. Answer questions in language the child can understand.

Children often worry that they will also die, or that their surviving parent will go away. They need to be told that they will be safe and taken care of.

Use the correct language.

When talking with the child about death, include the correct words, such as "cancer," "died," and "death." Using other words or phrases (for example, “he passed away,” “he is sleeping,” or “we lost him”) can confuse children and cause them to misunderstand.

Include the child in planning and attending memorial ceremonies.

When a death occurs, children may feel better if they are included in planning and attending memorial ceremonies. These events help children remember the loved one. Children should not be forced to be involved in these ceremonies, but encourage them to take part when they feel comfortable doing so. Before a child attends a funeral, wake, or memorial service, give the child a full explanation of what to expect. A familiar adult or family member may help with this if the surviving parent's grief makes him or her unable to.

Cultural Responses to Grief and Loss

Key Points

•Cultures have different ways of coping with death.

•Individual, personal experiences of grief are similar in different cultures.

•Cultural issues that affect people who are dealing with the loss of a loved one include rituals, beliefs, and roles.

Cultures have different ways of coping with death.

Grief felt for the loss of loved ones occurs in people of all ages and cultures. Different cultures, however, have different myths and mysteries about death that affect the attitudes, beliefs, and practices of the bereaved.

Individual, personal experiences of grief are similar in different cultures.

The ways in which people of all cultures feel grief personally are similar. This has been found to be true even though different cultures have different mourning ceremonies and traditions to express grief.

Cultural issues that affect people who are dealing with the loss of a loved one include rituals, beliefs, and roles.

Helping family members cope with the death of a loved one includes showing respect for the family’s culture and the ways they honor the death. The following questions may help caregivers learn what is needed by the person's culture:

•What are the cultural rituals for coping with dying, the deceased person’s body, and honoring the death?

•What are the family’s beliefs about what happens after death?

•What does the family feel is a normal expression of grief and the acceptance of the loss?

•What does the family consider to be the roles of each family member in handling the death?

•Are certain types of death less acceptable (for example, suicide), or are certain types of death especially hard for that culture (for example, the death of a child)?

Death, grief, and mourning are normal life events. All cultures have practices that best meet their needs for dealing with death. Caregivers who understand the ways different cultures respond to death can help patients of these cultures work through their own normal grieving process.

저작권자 © 암스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